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1.한국근대사

3.1운동과 국제사회

동방박사님 2022. 2. 15. 16:02
728x90

소개

한국근대사에서 커다란 이정표를 만든 3·1운동은 한국인 사회에서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주체가 등장했음을 만천하에 폭발적으로 알렸다. 한국인의 근대를 압축적으로 표출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청년학생과 여성이 운동 과정에서 스스로 활약하며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사서삼경이란 기본 텍스트를 바탕삼아 쌓아 온 유학 지식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해법을 찾는 대신, 서구적 지식체계와 가치관을 기본 바탕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한국인의 진로를 고민하는 새로운 지식인들이 사회 지도층으로 등장했음을 본격적으로 알린 사건이 3·1운동이었다. 문자로 한국의 역사가 기록된 이래 피지배층 내지는 민중이 자신의 이익과 권리를 위해 조합과 같은 단체를 조직하고, 일회성 또는 국지적인 한계를 벗어나 일상적으로 그러면서 전국 단위에서 활동하기 시작한 계기도 3·1운동이었다.

새로운 주체들은 독립 이후의 신한(新韓)에서 절대군주제를 다시 세우는 꿈을 꾸지 않았다. 민(民)이 주권을 갖는 민주공화주의를 추구하는 국가를 세워야겠다고 상상하였다. 새로운 주체들의 활동과 존재적 의미 그리고 그들이 추구한 가치관은 오늘날까지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3·1운동은 현재진행형이다. 달리 보면 한국사회에서 대중민주주의가 본격적으로 출발한 역사적 체험 공간이 3·1운동이다. 일본으로부터 독립하는 위대한 선택이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기본 전제임을 체험한 사건이 3·1운동이었다.

목차

총론 : 한국근현대사에서 ‘국제정세와 3·1운동’ 이해 | 신주백

제1부 3·1운동 전후 국제회의와 한국독립운동

ㆍ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 전상숙
1. 머리말
2. 미국과 일본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과 극동문제
3. 러시아혁명과 윌슨의 ‘민족자결’, 그리고 파리강화회의
4. 파리강화회의에서 식민지·약소민족의 독립문제와 한국
5. 맺음말

ㆍ 뉴욕 소약국민동맹회의와 재미 한인의 독립운동 | 홍선표
1. 머리말
2. 1917년 소약국민동맹회의의 개최와 박용만의 참가활동
3. 1918년 제2차 소약국민동맹회의와 재미 한인의 선전·외교활동
4. 맺음말

ㆍ 1922년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 | 반병률
1. 머리말
2. 대회 개최의 배경
3. 대회 개최 이전 한국독립운동의 상황
4. 대회의 준비
5. 대회의 진행과 논점들
6. 대회와 한국독립운동
7. 맺음말

제2부 국제정세의 변동과 해외 한인의 3·1운동

ㆍ 중국 관내 신한청년당과 3·1운동 | 정병준
1. 머리말
2. 신한청년당의 창당과 이념적 지향
3. 여운형의 청원서 제출과 김규식의 파리행
4. 3·1운동의 주역들 : 국내외로 파견된 신한청년당의 밀사들
5. 맺음말 : 3·1운동 이후의 신한청년당

ㆍ 일제의 ‘요시찰’ 감시망 속의 재일한인유학생의 2·8독립운동 | 윤소영
1. 머리말
2. 일제의 ‘요시찰’ 감시망 속의 재일한인유학생
3.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와 ‘데모크라시’에 열광하는 청년들
4. 2·8독립운동의 시동
5. 2·8독립운동의 준비와 결행
6. 맺음말

ㆍ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리한국대표부’와 김규식의 외교활동 | 이장규
1. 머리말
2. 한국대표부의 對 파리강화회의 활동
3. 국제사회의 후원과 연대 활동
4. 맺음말

제3부 타자의 눈으로 바라본 3·1운동

ㆍ 독일 외무부 보고서를 통해 본 독일 정부의 3·1운동 인식 | 황기우
1. 머리말
2. 청도(교주만)와 독일의 동아시아 전략
3. 교주만 문제와 3·1운동
4. 3·1운동에 대한 최초의 독일 외무부 보고서 R18897
5. 3·1운동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새로운 인식
6. 맺음말

ㆍ 러시아 내전기 외교관 류트쉬의 기록으로 본 3·1운동 | 홍웅호
1. 머리말
2. 류트쉬의 고종 사망에 대한 보고와 조선 인식
3. 류트쉬의 3·1운동에 대한 기록
4. 맺음말

ㆍ 일본신문에 나타난 3·1운동과 손병희론 | 윤소영
1. 머리말
2. 3월 상순의 보도 논조
3. 손병희에 대한 폄훼 보도 재검토
4. 3월 중순 이후 보도 논조
5.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손병희와 천도교론
6. 맺음말

논문출처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신주백 (辛珠柏)
 
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옌벤대학·도쿄대학·교토대학·타이완중앙연구원 타이완사연구소 외국인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분과위원, 일제하 일본군위안부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심의위...

저 : 전상숙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식민지시대 국내 좌파 지식인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당조직 활동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사상통제정책의 역사성: 반공과 전향」, 『일제시기 한국 사회주의 지식인 연구』, 『조선총독정치 연구』, 『한국인의 근대 국가관, ‘민주공화국’ 재고』, 『한국 근대 민족주의와 변혁이념, 민주공화주의』 등이 있다. 현재 광운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저 : 홍선표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주지역 독립운동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대한민국 공군역사자문위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강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저 『서재필·개화 독립 민주의 삶』(2009) 『동암 장효근의 삶과 민족운동』(2010)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2011)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표상 김호』(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