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4

근대의 역습 우리를 (2013) - 디자인한 근대의 장치들

책소개우리는 과거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오늘을 사는 우리의 감수성과 삶의 방식이 출현한 20세기 초를 주목하라!『내 곁의 키치』, 『인공낙원을 거닐다』 등 저서를 통해 일상의 사물, 공간, 이미지 등의 의미를 탐구해 온 오창섭 건국대 디자인학부 교수가 100년 전 근대 세계의 시간 여행자가 되어 돌아왔다. 시간 여행의 주요 시공간은 일제강점기의 이 땅이다. 흔히 일제강점기라 하면 일제의 수탈기 혹은 모던보이/모던걸이 활보하는 낭만적 시대로 이해하곤 한다. 저자는 그러한 일반의 시선에서 벗어나 20세기 초는 오늘을 사는 우리의 감각과 감수성, 삶의 방식과 모습들이 처음으로 이 땅에 출현했던 시기라는 점에서 새롭게 주목한다.이러한 맥락에서 자본주의의 유입과 그것이 작동하는 모습, 근대적 합리성 이면의 허영..

근대 조선과 세계 (2021) - 이양선의 출현부터 한일병합까지, 1866 ~ 1910

책소개망국에 이르기까지 45년 복기일본 제국주의와 대한제국이 맺은 병합조약(1910)은 뼈아픈 식민 통치 35년의 출발점이자, 우리 역사의 가장 치욕스러운 순간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망국에 이르기까지, 곧 조선이 세계(제국주의 열강들)와 만나는 순간부터 일제에 병합될 때까지 45년의 기간은 여전히 논쟁적이며, 우리가 어떤 지점에서 실패했는지 복기할 대목들이 많다.한국 근대 국제관계사의 전문가인 최덕수 명예교수(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의 신간 『근대 조선과 세계』는 1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열강의 한국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대한제국의 사건들을 재조명한 역사교양서이다. 평양 대동강에 이양선이 출현한 1866년부터 일본에 의해 병합조약이 맺어진 1910년까지 45년의 기간을 다룬다. 척화비, 임오군란..

[웹북] 고려 제5대 국왕 / 경종 (재위: 975~981)

경종 / 景宗고려 국왕재위 975년 5월 23일 ~ 981년 7월 11일 (음력)전임 광종후임 성종고려국 정윤재위 965년 2월 ~ 975년 5월 23일 (음력)전임 정윤 무 (혜종)후임 왕태자 흠 (덕종) 이름휘 왕십리묘호 경종(景宗)시호 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의헌화대왕(至仁成穆明惠順熙靖孝恭懿獻和大王) 신상정보출생일 955년 9월 22일 (음력)사망일 981년 7월 11일(25세) (음력)부친 광종배우자 헌숙왕후 김씨, 헌의왕후 유씨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자녀 1남목종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음력 7월 11일[1]))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다. 휘는 주(伷), 자는 장민(長民), 묘호는 경종(景宗), 시호는 지..

[웹북] 고려 제4대 국왕 / 광종 (재위: 949~975)

광종의 능인 헌릉광종 光宗고려 4대국왕재위 949년 4월 18일 ~ 975년 7월 9일 (양력)전임 정종후임 경종이름휘 왕소(王昭)묘호 광종(光宗)시호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능호 헌릉(憲陵)연호 광덕(光德), 준풍(峻豊)신상정보출생일 925년사망일 975년 7월 9일 (양력) (50세)부친 태조모친 신명순성왕후 유씨배우자 대목왕후 황보씨자녀 2남 3녀 경종, 효화태자, 천추전부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종교 불교  광종광종(光宗, 925년 ~ 975년 7월 9일 (음력 5월 23일[1], 율리우스력 7월 4일)은 고려의 제4대 국왕이자 황제(재위: 949년 4월 18일(음력 3월 13일, 율리우스력 4월 13일) ~ 975년 7월 9일)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