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11

[웹북] 대한인국민회 (1910)

1915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오른쪽 열한번째는 이승만, 가운데 단상에 선 이는 안창호) 대한인국민회 국민회(國民會)는 1909년 2월 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공립협회와 하와이의 합성협회(1907. 9.)가 통합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조직된 재미 한인 독립운동 단체이다. 1910년 2월 10일 샌프란시스코의 대동보국회(1907. 3.)와 통합하여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Korean National Association)로 개편되었다. 안창호, 박용만, 이승만 등이 참여하고 이끌었다. 1922년~1924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교민단령'에 따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와 지방총회가 대한인교민단으로 개편되었으나, 이승만과의 갈등으로 1933년 대한인교민단을 해소하고 대한인국민회를 복설하였다. 194..

[웹북] 대한인동지회 (1921)

대한인동지회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는 1921년 7월 7일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설립한 독립운동단체이다. 독립운동 자금 조달과 지원 업무, 한인 2세·3세의 교육업무를 주관 하였다. 1948년 이후 한인교민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약칭은 동지회(同志會)이다.1924년 11월 16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된 대한인동지회 총회 모습.역사 / 결성 (1921)1921년 7월 7일, 호놀룰루에서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대한인동지회 설립을 공고하였다. 사무실은 1929년까지 대한인하와이교민단 총회관인 호놀룰루시 밀러가 1306번지였다. 7월 15일 15개조 규약을 발표하였다.동지회는 일부 조항을 통해 총재에게 복종할 의무를 규약으로 삼고 있었고, 이승만은 동지회의 초대 총재..

[웹북] 한인애국단 (1931)

한인애국단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은 1931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석 김구가 일본 제국의 주요 요인 암살을 목적으로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이다. 1932년 도쿄에서 이봉창 의거(사쿠라다몬 사건)와 상하이에서 윤봉길 의거 등을 거행하여 전세계에서 일본 제국에 대항했다. 거사 이후 한인애국단은 1936년까지 언론을 통해 이봉창·윤봉길 등에 대한 추모 활동을 하였고, 그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 / 결성 (1931)김구는 국내, 만주와 연락이 되지 않자 미주 동포들에게 편지를 써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였다. 시카고 공동회의 김경, 미주의 대한인국민회의 안창호와 김호 등, 하와이 대한인동지회의 이승만, 멕시코의 김기창과 이종오, 쿠바의 임천택 등을 비롯한 여럿이 모금에 참여하였..

[웹북] 대만

대만대만  다른이름: 타이완 포르모사지리위치 동아시아좌표 북위 23° 46′ 동경 121° 0′면적 35,980 km2최고점 위산 3.9km 실효 지배중화민국성, 직할시 타이완성,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가오슝시, 타이난시, 타이중시, 타오위안시 영유권 주장중화인민공화국성 타이완성 인구 통계 인구 약 2,300만명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시대만대만(중국어 정체자: 臺灣/台灣, 간체자: 台湾, 병음: Táiwān, 주음 부호: ㄊㄞˊ ㄨㄢ) 또는 타이완은 동아시아에 있는 타이완섬을 중심으로 정의 내리는 여러 지역명을 통합해 부르는 명칭이다. 면적은 35,980 km2로 경상도 면적과 비슷하며, 시간대는 UTC+08:00이다. 별칭은 포르투갈어로 ‘아름다운 섬’이란 뜻인 포르모사(Formosa)이다. 거주 인..

[통일평화연구원 창립 19주년 기념학술회의]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자체 핵무장 옵션과 여론 - 4월 10일(목) 관악캠퍼스 220동 204호새창으로 읽기

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창립 19주년을 맞아 기념학술회의를 진행합니다.- 일시: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09:30~17:30- 장소: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220동 204호- 주제: 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자체 핵무장 옵션과 여론* 본 학술회의는 대면 행사로 진행됩니다. 참석을 희망하시는 분은 웹포스터 상단 QR코드 또는 아래 링크 접속을 통해 사전 참가등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특권계급론 (2025)

책소개몇 가지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특권계급은 자신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정치와 사회제도를 이용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또 정치와 사회제도는 특권계급들의 이익을 보장해주기 위해 존재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대중 또한 마찬가지다. 대중은 특권계급들의 행위에 분노하기는 하지만 “돈 걱정하지 않고 사는” 그들의 부를 동경하고, 그들이 특권을 누리는 것에 동의하기도 한다. 그들이 노력해서 얻은 것이든, 거저 얻은 것이든 상관없이 권력을 대체로 자연스럽거나 아무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엘리트 특권이 유지되는 데에는 개인, 집단, 조직, 제도가 톱니바퀴처럼 연루되어 있다.『특권계급론』은 이런 특권이 작동하는 방식을 본격 추적한다. 부와 영향력을 가진 특권계급에게 왜 사회는 혜택을..

야망계급론 (2025) - 비과시적 소비의 부상과 새로운 계급의 탄생

소개소스타인 베블런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의 사회적 의미를 가장 날카롭게 포착한 사회비평가이자 경제학자다. 1899년 베블런이 쓴 『유한계급론』은 물질적 재화와 지위의 관계를 정확히 설명한 결정적인 텍스트로, 과시적 소비를 통해 사회적 구별짓기를 하는 유한계급을 맹렬히 비판했다. 쓸모없고 별다른 기능도 없는 물질적 재화로써 자신의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끊임없이 과시하는 부유하고 게으른 집단으로서 유한계급을 비판한 것이다. 하지만 베블런의 시대 이래 사회와 경제는 극적으로 변화했고,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는 소비도 달라졌다. 산업혁명과 제조업의 발전으로 중간계급이 생겨났고 물질적 재화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과시적 소비는 주류의 행태가 되었다. 베블런이 말한 유한계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 자리를 ..

아이들의 계급투쟁 (2019)

책소개펑크 음악에 빠져 영국으로 건너간 일본인 브래디 미카코가 영국 최악의 빈곤 지역 무료 탁아소에서 보육사로 일하며, 가난이 낳은 혐오와 차별, 배제의 격랑이 아이들의 일상을 무참히 침식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저자는 이 탁아소에서 일했던 두 시기, 즉 2008~2010년과 2015~2016년을 각기 ‘저변 탁아소 시절’과 ‘긴축 탁아소 시절’로 칭한다. 그 사이에는 영국의 집권 정당이 노동당에서 보수당으로 바뀌면서 사회 전반의 복지제도가 축소되는 ‘긴축’이라는 큰 변화가 있었다. 복지제도가 밑바닥 사회를 어느 정도 지탱해주던 ‘저변 시대’에 비해, 생활을 위한 지원금이 모두 끊긴 ‘긴축 시대’에는 밥을 굶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인종차별을 넘어선 계급차별이 노골적으로 일어난다.저자는 부모의 빈곤과..

불안의 기원 (2025)

책소개★★★ ‘광장의 철학자’ 지그문트 바우만 탄생 100주년 기념 출간 ★★★“우리를 짓누르는 무력감은 어디에서 오는가?”조용히 스며들어 무력감을 퍼뜨리는만성 불안 사회를 예견한 인문 고전!★★★ 독일, 중국, 스페인 등 13개국 번역 출간 ★★★★★★ 김호기 연세대 명예교수, ‘겨울서점’ 강력 추천 ★★★끝없는 불안에 파묻힌 현대인을 위한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고전 인문서가 출간되었다. 현대 사회가 맞닥뜨린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 온 ‘광장의 철학자’이자 ‘20세기 최고의 지성’으로 꼽히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불안의 기원』이다. 바우만 탄생 100주년을 맞아 출간된 이 책은 대표작 ‘액체 현대’ 시리즈의 한 권으로, 고체처럼 고정되어 있던 기존의 제도, 풍속, 도덕이 해체되면서 불확실성..

신자유주의와 인간성 파괴 (2025)

책소개『계급의 숨은 상처』 이후 25년표류하는 노동 계급의 삶과 내면을 파헤치는 또 하나의 역작★『계급의 숨은 상처』 출간 기념 개정판★독일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라세넷에게 ‘유럽에서 읽히는 미국인’이라는 명성을 가져다준 책『신자유주의와 인간성 파괴』는 ‘유연한 자본주의’, 이른바 신자유주의가 어떻게 자본주의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우리 삶과 내면을 송두리째 뒤흔들어놓았는지를 살피는 책이다. 에세이형 논문을 표방하는 이 사려 깊은 책에서 리처드 세넷은 개인에게 더 많은 선택과 자유를 보장하는 듯한 신자유주의에 교묘한 통치 논리가 어떤 방식으로 숨어 있는지, 이 체제하에서 인간성은 어떠한 도전을 받으며 파괴되어가는지를 인상적으로 설파한다. ‘노동 계급 하층민에게 인간의 얼굴을 되찾아준 고전’으로 평가받는 『계..

강군의 조건 (2025) - 한국군이 새롭게 거듭나기 위한

책소개군이 또다시 정치의 한가운데로 끌려 나왔다!군사력 세계 5위라는 한국군은 과연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는가?잦은 군사 쿠데타와 정치개입, 한 번도 갖지 못했던 전시작전권,일본제국군으로부터 이어진 군사문화는 대한민국 군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대한민국 군대는 우리 앞에 닥친 인구절벽과 북한 핵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2024년 12월 3일 45년 만에 비상계엄령이 내려졌다. 충격적인 그날, 대한민국 군대는 혼란스러웠고 대한민국의 장군은 아무도 “안 됩니다.”를 외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을 보고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군대는 왜 이렇게 된 것일까?” “한국군은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는가?” “대한민국 군대는 위기를 넘어 새롭게 거듭날 수 있을까?” 이 책은 예비역 3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