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3.일제식민지배

식민지 조선 농촌의 일본 지주와 조선 농민

동방박사님 2022. 6. 16. 04:47
728x90

책소개

■ 옥죄어오는 외부 식민자들 하에 신음하는 조선 농민들
본서는 정상적인 ‘국가’상태로 규정할 수 없는 식민지 상태의 조선 농촌과 그곳에 군림한 일본인 지주, 수탈당하는 조선 농민을 주제로 하고 있다.
식민지 상태의 조선은 외부 식민자들에 의해 권력을 빼앗겼고, 제반경제 분야의 이윤은 식민권력과 본국 자본가 그리고 그에 기생한 토착 자산가들에게 돌아가는 왜곡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 중 식민지 조선 농민의 생계를 움켜쥐었던 실질적 권력은 일본인 거대지주들이었다.

■ 침몰하는 일본인 지주들의 동아줄이 된 조선
일본인 대자본의 농업회사 경영에 의한 식민지 지주제는 조선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지방 농촌사회와 농민 구성원 및 영농과정 하나하나에까지 확실하게 실현시키고, 조선을 종주국 일본을 위한 식량공급지는 물론 과잉 인구문제까지도 해결해 준 중요한 식민지배시스템이자 메이지 시기 소작지를 얻지 못한 소작농이나 소작쟁의의 확대 분위기 속에 일본인 소작농들이나 지주들에게 새로운 활로를 열어준 신천지였다.
이러한 일본인 경영 식민지 지주제를 기존에 연구되어왔던 사례와는 달리 석천현농업주식회사(石川縣農業株式會社), 불이흥업, 구마모토 농장, 동척을 검토 선별하고 연구하여 총 6개의 장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 각 장 소개
제Ⅱ장에서는 먼저 석천형농업주식회사의 식민지 조선에서의 수익 창출 규모를 추산하고 농장 수익 구조 중 소작료 수입 부분을 분석하여 고율의 소작료 징수 실태를 살펴보고 이민척식사업을 통한 한국 내 일본인 농촌의 형성 시도 등 식민지 지주제에 입각한 농업 경영 전반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Ⅲ장에서는 기존 조선의 ‘사음’제를 변용 운영하여 사음을 단순한 소작인 및 소작지 관리인으로 전락시켜 식민성이 강화된 측면을 불이흥업과 구마모토 농장, 마스토미 농장의 사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제Ⅳ장에서는 불이흥업의 식민지 조선에서의 농장 경여의 시작과 토지 확대 과정, 소작민 및 영농 규제 실태, 고율의 소작료 징수와 전대 문제 등을 검토하여 ‘간척왕’으로 불린 불이흥업의 전형적인 식민지 지주로서의 행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Ⅴ장에서는 자본주의적 경영의 대표적 사례였던 구마모토 농장을 선택하여 해당 지역의 소작농민의 구술 자료 등을 활용하여 거대 일본인 지주의 전형을 살펴보았다.
제Ⅵ장에서는 동척의 설립과 1920년대 이후 운영체제 정비, ‘척식청년단’과 같은 특수어용단체 운영, 북률면 소작쟁의를 통해 본 조선 소작인들의 저항을 살펴보고자 했다.
제Ⅶ장에서는 동척의 조선지점 지사장이었던 이노마다 쇼이치(猪又正一)의 회고록을 분석하여 동척의 구체적인 농장 경영의 실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글

Ⅰ. 서 론
1. 연구의 방법과 목적
2. 식민지 지주제에 대한 연구 현황

Ⅱ.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식민지 소작제 농업 경영
1. 머리말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식민지 농업경영의 시작
1) 전북지역의 일본인 식민지 지주제의 실태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조선 진출
3.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자본규모와 경영 구조의 분석
1) 자본의 규모와 수입구조
2) 경영진 및 대주주의 분석
4.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소작제 경영실태
1) 토지 취득과 농장의 확대
2) 식민지 소작제 농업경영의 실태
5. 석천현농업주식회사의 농업이민 사업
1) 농업이민 사업의 시작
2) 이민사업의 실태와 실패
6. 맺음말
[부록 1] 석천현농업주식회사 설립허가서
[부록 2] 석천현농업주식회사 정관
[부록 3] 〈이주민장려법〉

Ⅲ. 식민지 시기 일본인 거대 지주회사의 ‘사음’제 운영
1. 머리말
2. 식민지 시기 사음제와 지주 및 식민권력과의 관계
1) 사음의 임무와 권한 변화
2) 일본인 지주회사의 사음 통제
3) 식민권력의 사음 통제
3. 不二興業株式會社의 사음제 운영 사례
1) 불이흥업 ‘전북농장’의 사음제 운영 실태
2) 불이흥업 소속 사음의 폐해 관련 소작쟁의 사례
4. 기타 일본인 지주회사의 사음제 운영 사례
1) 구마모토 농장의 사례
2) 마스토미농장의 사례
5. 맺음말
[부록 1] 불이흥업주식회사 舍音取締規定 및 心得
[부록 2] 불이흥업주식회사

Ⅳ. 불이흥업주식회사의 식민지 소작제 농장 경영
1. 머리말
2. 불이흥업주식회사의 설립과 농장 확대 과정
1) 후지모토합자회사 및 불이흥업(주)의 설립
2) 전국적 농장분포 현황 및 사업의 확대
3. 농업생산과정에서의 규제 실태
1) 농업경영에 대한 규제
2) 소작료 징수 실태와 전대에 의한 소작인 지배
4. 농장관리통제조직 및 지주적 조합의 운영
1) 관리통제조직의 구성과 소작농민 통제
2) 불이식산조합의 운영
5. 농민의 저항과 불이흥업의 농장 경영의 성격
1) 철원농장 소작농민의 저항 사례
2) 불이흥업의 농장 경영의 성격
6. 맺음말
[부록 1] 불이흥업주식회사 소작계약증서
[부록 2] 불이흥업주식회사

Ⅴ. 구마모토 농장의 식민지 농장 경영과 관리통제조직
1. 머리말
2. 구마모토의 식민지 농장 경영의 시작
1) 구마모토의 조선 진출과 농장의 설립
2) 농장의 확대와 규모
3. 농장 관리조직의 구성과 성격
1) 농장 사업부 관리조직의 구성
2) 농장 사원의 업무와 처우
4. 농장 운영의 실태와 소작관계
1) 소작계약증서 및 연대보증서에 나타난 소작관계
2) 소작료 징수 실태
5. 식민지 지주제 농장 경영의 성격
1) 소작쟁의의 발생과 경과
2) 식민지 일본인 거대지주의 전형-‘구마모토 형 지주
6. 맺음말
[부록 1] 주식회사 熊本ß농장 정관
[부록 2] 주식회사 熊本농장 소작승낙증서 및 소작계약증서
[부록 3] 주식회사 熊本¸농장 연대보증서


Ⅵ.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농장관리조직과 특수어용단체 운영
1. 머리말
2. 동척 설립과 농장 설치 과정
1) 일본의 농업식민책과 동척의 설립
2) 동척의 토지소유 규모와 농장 분포 상황
3. 동척의 농장관리통제조직의 변화과정
1) 식민지 소작제 농업 경영 초기의 ‘농감’제
2) 1920년대 이후 농장관리조직의 체계화
4. 1920년대 동척의 특수어용단체 운영과 폐해
1) 지주적 소작인조합의 운영 실태
2) 특수어용단체 ‘척식청년단’의 설치와 폐해
3) 북률면 소작쟁의의 전개와 실패
5. 맺음말

Ⅶ. 이노마다 쇼이치(猪又正一)의 회고록을 통해 본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농장 운영
1. 머리말
2. 이노마다 쇼이치의 조선 부임
1) 이노마다의 ?나의 동척 회고록?
2) 동척 사원 이노마다의 조선 부임
3. 이노마다를 통해 본 동척 사원의 주요 업무
1) 소작계약의 체결
2) 검견?수납 및 농사개량 지도
4. 이노마다가 설계한 사유지증산계획
1) 사유지증산계획의 수립 계획
2) 사유지증산계획의 전개
5. 이노마다를 통해 본 동척의 영업이익과 사원처우
1) 동척의 농업 부문 영업이익
2) 동척 사원의 처우
6. 맺음말

Ⅷ. 결 론
1. 본 연구의 내용과 성과
2. 식민지 지주제의 성격과 본질
1) 식민권력과 식민지 지주제의 개념
2) 식민지 지주제의 본질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하지연 (河智姸)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분야는 한국 근대 식민지 지주제 및 재조 일본인, 식민사학 연구이다. 1995년부터 서울 마포고등학교에서 역사과 교사로 재직 중이며, 현재 이화사학연구소연구원, 이대 사학과 강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 「‘한국병합’에 대한 재한일본 언론의 동향 - 잡지 『朝鮮』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논총』, 2010 「오다 쇼고(小田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