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한국근대사 연구 (책소개)/1.한국근대사

사라진 직업의 역사

동방박사님 2022. 7. 18. 14:17
728x90

책소개

하이브리드 총서 시리즈
‘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를 통한 통섭의 학문
한국 인문학의 새로운 지형도를 그린다!

사라진 직업의 역사에서 일상의 욕망과 치열함을 엿보다!


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 한국 인문학의 새 지형도「하이브리드 총서」제8권『사라진 직업의 역사』. 이 책은 전화교환수, 변사, 기생, 전기수, 유모, 인력거꾼, 여차장, 물장수, 약장수 등 조선 근대 초기 혹은 근대 이전에 생성되었다가 현대에는 사라진 직업들의 흥망성쇠를 살펴본 것이다. 오랫동안 한국 근현대사에 대해 연구를 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근대 조선의 문화적·일상적 풍경을 잘 보여주는 9가지 직업을 통해 한국 변천사 속에 숨겨진 사회 이면을 보여준다. 특히 과거에는 있었지만 현대에 사라진 직업은 또 다른 형태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면서 대중들의 욕망을 드러내 왔음을 이야기하며, 그러한 욕망의 변화야말로 살아 있는 역사의 치열함 그 자체임을 역설한다.

 

목차

서문
프롤로그

1. 소리의 네트워커, 전화교환수
2. 모던 엔터테이너, 변사
3. 문화계의 이슈 메이커, 기생
4. 이야기의 메신저, 전기수
5. 트랜스 마더, 유모
6. 바닥 민심의 바로미터, 인력거꾼
7. 러시아워의 스피드 메이커, 여차장
8. 토털 헬스 케어? 물장수
9. 메디컬 트릭스터, 약장수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이승원
 
사진을 찍고, 나무를 다듬고, 가죽을 꿰매고, 글을 쓰는 사람. 나무꾼도 갖바치도 아닌데 가구와 가방을 만든다. 아무것도 속일 수 없는 정직한 작업이다. 가장 원초적인 근육을 움직이면서 창조적 노동에 참여하는 희열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순정한 기쁨이다. 무엇보다 내 몸이 바뀌었다는 것, 내 노동과 능력이 누군가에게 선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커다란 축복이다. 가끔은 여행을 떠나 사진을 찍고, 주로는 대학에서 ...
 

책 속으로

이 ‘진상’ 손님은 한마디로 전화 서비스의 모든 책임을 전화교환수에게만 전가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의 입장을 십분 이해한다면 그들은 전화교환수의 열악한 노동 조건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설마 전화교환수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충분히 알고 있으면서도 그렇게 말했을 리가 있을까. 전화교환수는 겉으로는 최첨단 미디어 산업에 종사하는 신여성의 직업으로 포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고용 조건이나 노동 환경은 최첨단 미디어 산업에 걸맞지 않게 매우 열악했다.
--- p.33

정조나 식민지 쿠바의 총독 모두 ‘책’ 그 자체를 문제 삼았던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문제는 전기수가 읽어주는 그러한 책들이 체제와 제도를 옹호하는 책이 아니라 체제를 비판하고 경계하고 조롱하는 책이었다는 점이다. 민중들은 지배 이데올로기를 찬양하는 책이 아니라 지배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조롱하고 경계하는 책, 자신의 억압된 삶을 이야기 속에서나마 탈주할 수 있었던 책을 원했고, 민중들의 이 같은 소망은 언제나 지배자들의 세계관과는 불화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던 것이다.
--- p.103

경성 시내 평균 요금이 50전 정도였던 인력거에 비해 택시가 비싸긴 했지만, 택시를 타는 특별한 매력을 인력거는 따라갈 수 없었다. 한때 인력거를 이용했던 ‘모던 보이’와 ‘모던 걸’들도 등을 돌려 자동차를 애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1931년 택시 요금이 시내 균일 80전이 되자 인력거는 점점 구시대의 퇴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1929년 경성의 인구는 39만여 명이었다. 이 중에서 11만 명이 전차를, 1만 명이 버스를 이용했다. 이러한 상황을 인력거꾼은 그저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여전히 인력거를 자주 이용하는 단골 고객이 있기는 했지만, 기생이나 왕진 가는 의사 정도였다. 택시에 밀린 인력거는 이제 구시대의 유물로 전락한 것이다.
--- p.155

매약회사는 각종 신약을 출시했으며 매약상인들은 이 약을 떼다 팔았다. 수익이 많이 나는 장사였기 때문에 고학생들은 학비를 벌기 위해서 매약행상을 다녔다. 학교의 경비가 부족하자 교장이 교사들을 데리고 매약행상을 떠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우에는 전문적인 매약행상이 아니었다. 학교의 자금 부족, 학비 부족, 어려운 가정 형편 등으로 인한 궁여지책이었다. 이와는 달리 전문적으로 매약행상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은 매약상회 소속의 매약행상들이었는데, 매약을 가지고 전국 팔도를 누비며 약을 팔았던 ‘약장수’였다.
--- p.230
 

출판사 리뷰

한국 인문학의 새 지형도,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

자음과모음에서는 2011년 젊은 인문학자들을 중심으로 지금-여기 다양한 인문적 글쓰기를 시도한 ‘하이브리드 총서’를 선보여 한국 인문학의 새로운 지형도를 그려나가고 있다. “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통섭’의 학문하기가 한국의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된 이 총서는 문학평론가이자 작곡가인 최정우의 『사유의 악보―이론의 교배와 창궐을 위한 불협화음의 비평들』, 디자인 연구자 박해천의 『콘크리트 유토피아』, 여성학자 권김현영 외 5인의 『남성성과 젠더』, 문화비평가 이택광의 『이것이 문화비평이다』, 그래픽 디자이너 정진열 · 김형재의 『이면의 도시』, 문화평론가 문강형준의 『파국의 지형학』, 인문학자 이현우의 『로쟈와 함께 읽는 지젝』 등 7권을 통해 성공적인 행보를 내디뎠다. 국내 젊고 의욕 있는 학자들의 야심 찬 학문적 실험과 매력적인 글쓰기가 한데 어우러진 보기 드문 총서로서, 익숙한 대상들을 낯선 시각과 실험적인 방법론을 통해 새롭게 조명해낸 이들의 탐구는 오늘과 이 땅의 구조를 이해하고자 하는 대중들과 그것을 분석하고 전망하려는 인문학도들이 두고두고 참조해야 할 중요한 판본이 될 것이다.

근대 직업의 흥망성쇠를 통해 들여다보는 우리 시대의 자화상

하이브리드 총서 여덟 번째 책으로 기획된 이승원의 『사라진 직업의 역사』는 조선 근대 초기에 생성되어 현대에 들어와 사라진 9개의 직업의 흥망성쇠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오늘날 현재의 삶의 의미를 재조명해보고자 하는 취지로 쓰인 캐쥬얼한 인문교양서로, 오랫동안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에 매진해온 저자가 한국의 변천사 속에 숨겨진 사회의 이면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새로운 문제의식이다.

신종 직업은 시대의 변화를 틈타 새롭게 생겨나기도 하고, 또 오래된 직업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라지기도 한다. 근대 초기 우승열패,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구호 속에서 조선인의 직업은 생성과 소멸을 반복해왔다. 때문에 이러한 직업의 변화야말로 근대성의 일부이며, 한 사회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척도라 할 수 있다. 한 사회의 지배적 욕망의 배치와 경제적 메커니즘을 대변하는 것이 바로 직업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전화교환수, 변사, 기생, 전기수, 유모, 인력거꾼, 여차장, 물장수, 약장수로 대변되는 일명 ‘사라진 직업’들을 통해 당대 사람들의 세세한 일상과 다양한 시선을 공유하고, 근대 문화의 상징적 풍경이라고 할 수 있는 통신, 영화, 젠더, 독서, 모성, 교통, 도시, 의학 등 각 분야의 문제들을 되짚으며 지금 여기 문화와 일상의 지형도가 된 역사를 탐사한다. 그리고 우리네 근대식 삶의 흔적과 무늬를 더듬으며 과거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삶의 모습을 재조명해보려는 시도는 현재를 넘어 미래를 바라보는 또 다른 힘이 된다.

직업 생성과 소멸 속에 감춰진 일상의 욕망과 치열함에 대하여

이 책은 과거에는 있었지만 현재에는 없어진 존재를 통해 현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실상과 욕망을 반추한다. 저자는 어떤 직업이 사라졌다고 해서 그 직업에 대한 욕망이 사라진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 욕망은 어디에서 어디로 흘러갔을까. 무엇이 사라지고 무엇이 남는 것일까. 이 책은 사라진 직업이라고 해서 그것으로 끝이 아님을, 또 다른 형태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면서 대중들의 욕망을 드러내 왔음을 이야기한다. 자연의 신성성을 세속화하면서 성립된 근대화 과정에서 자연적 흐름을 단축하고 싶은 인간의 의지와 욕망이 발현되면서 새로운 직업들을 낳았고 또 소멸시켰듯이, 우리의 직업 또한 사회적 욕망의 배치가 바뀜에 따라 함께 변화되어 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욕망의 변화야말로 살아 있는 역사의 치열함 그 자체임을 역설한다.

내가 어떠한 직업을 갖고 살아가고 있는가는 나 자신 자체를, 나아가 이 사회, 이 시대를 설명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현재 내가 갖고 있는 직업이 어떠한 욕망을 실현하고 있으며, 나아가 미래 어떠한 욕망으로 발현될 것인지는 이 땅에 발 딛고 사는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사유의 토대이자 역사적 사명의 또 다른 이름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