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근대전환기 조선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속에서 봉건국가체제를 해체하고 자주독립의 근대국가로 나가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개된 국가체제의 개혁운동은 반봉건 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이 맞물려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조선사회의 근대화 방향에 대한 기존 인식은 반제국주의 운동을 통한 근대국가 건설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 결과 일제와의 투쟁을 강조한 나머지 한국사회가 외부 충격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내적으로 형성된 운동역량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근대전환기 지역사회 변동과 저항운동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그런 측면에서 일제의 침략에 지역사회 전 계층이 참여한 의병운동은 내적 운동역량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적합하였다.
의병운동은 일제의 침략에 무력으로 대응한 적극적인 반제국주의 운동이었다. 하지만 참여계층을 중심으로 한 시각에서는 반봉건에서 출발하여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전화된 반봉건·반제국주의 근대민족운동이었다. 의병운동은 지역사회에서 반봉건의 문제가 어떻게 반제국주의 문제와 융합되어 표출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나아가 근대민족국가 건설이라는 목표가 일제의 침략에 대응하여 나타난 민족운동의 방향이자 한국사회 내부에 축적된 운동역량의 표출이었다. 따라서 을미의병을 시작으로 정미의병까지 이어졌던 의병운동의 단계적 발전을 통해 근대 이후 한국사회의 내재된 운동역량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의병운동은 일제의 침략에 무력으로 대응한 적극적인 반제국주의 운동이었다. 하지만 참여계층을 중심으로 한 시각에서는 반봉건에서 출발하여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전화된 반봉건·반제국주의 근대민족운동이었다. 의병운동은 지역사회에서 반봉건의 문제가 어떻게 반제국주의 문제와 융합되어 표출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나아가 근대민족국가 건설이라는 목표가 일제의 침략에 대응하여 나타난 민족운동의 방향이자 한국사회 내부에 축적된 운동역량의 표출이었다. 따라서 을미의병을 시작으로 정미의병까지 이어졌던 의병운동의 단계적 발전을 통해 근대 이후 한국사회의 내재된 운동역량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제1장 개항 이후 지역사회의 변동과 의병운동
1. 개항 이후 원주지역의 사회·경제 상황과 농민운동
1) 강원감영(江原監營) 소재지 원주의 사회·경제 양상
2) 1885년 원주농민운동을 통한 저항의식의 표출
2. 1896년 ‘원주의병’의 발생배경과 의병세력의 조직
1) 원주지역의 학문동향과 화서학파
2) 지방제도개혁에 따른 의병세력 형성의 계기
3) 반일적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와 의병참여세력의 역할
3. 1896년 ‘원주의병’의 전개와 운동방략의 등장
1) 원주 안창봉기와 운동 방향의 설정
2) 운동 방향의 재설정에 따른 유인석 연합의병의 출범
3) ‘원주의병’의 연합의병 활동과 운동방략 수립
제2장 1900년대 초 일제의 지역사회 침탈과 의병운동방략
1. 원주지역 침탈양상과 의병지도부의 현실인식
1) 러일전쟁과 한국주차군의 배치
2) 원주지역의 침탈양상
3) 원용팔의 일제침략 상황인식
2. 연합의병의 추진과 운동방략의 구체화
1) 연합의병의 추진과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
2) 상소·서신을 통한 의병지원요청과 효유
3. 원용팔 연합의병의 활동과 1907년 의병전쟁의 기반조성
1) 의병운동세력의 재결집과 거점지역의 확보
2) 의병운동의 좌절과 원용팔 의병장 구명운동
3) 원주진위대의 반일진회 활동
제3장 1907년 의병전쟁의 운동방략과 민족운동의 확대
1. 의병운동세력의 확대와 의병전술 변화
1)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원주지역 저항운동
2) 원주진위대의 봉기와 참여세력의 확대
3) 의병무기체제의 변화와 유격전술의 일반화
2. 의병전쟁의 전개과정과 운동방략의 구현
1) 의병전쟁의 초기양상과 일본군의 배치
2) 관동창의대의 출범과 운동방략
3) 서울진공작전의 계획과 추진
3. 의병전쟁의 쇠퇴와 항일민족운동의 전개
1) 선유사의 선유활동
2) 일본군의 탄압양상과 헌병대의 배치
3) 독립군 전환과 원주지역 민족운동
4. 일제시기 근대도시 형성 과정과 민족운동의 영향
1) 일제시기 도시화 과정
2) 해방 후 도시형성 과정
결론
|부록 1| 한말 ‘원주의병’ 연표
|부록 2| 원주 각 면별 주요사건·단체 참여자 명단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론
제1장 개항 이후 지역사회의 변동과 의병운동
1. 개항 이후 원주지역의 사회·경제 상황과 농민운동
1) 강원감영(江原監營) 소재지 원주의 사회·경제 양상
2) 1885년 원주농민운동을 통한 저항의식의 표출
2. 1896년 ‘원주의병’의 발생배경과 의병세력의 조직
1) 원주지역의 학문동향과 화서학파
2) 지방제도개혁에 따른 의병세력 형성의 계기
3) 반일적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와 의병참여세력의 역할
3. 1896년 ‘원주의병’의 전개와 운동방략의 등장
1) 원주 안창봉기와 운동 방향의 설정
2) 운동 방향의 재설정에 따른 유인석 연합의병의 출범
3) ‘원주의병’의 연합의병 활동과 운동방략 수립
제2장 1900년대 초 일제의 지역사회 침탈과 의병운동방략
1. 원주지역 침탈양상과 의병지도부의 현실인식
1) 러일전쟁과 한국주차군의 배치
2) 원주지역의 침탈양상
3) 원용팔의 일제침략 상황인식
2. 연합의병의 추진과 운동방략의 구체화
1) 연합의병의 추진과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
2) 상소·서신을 통한 의병지원요청과 효유
3. 원용팔 연합의병의 활동과 1907년 의병전쟁의 기반조성
1) 의병운동세력의 재결집과 거점지역의 확보
2) 의병운동의 좌절과 원용팔 의병장 구명운동
3) 원주진위대의 반일진회 활동
제3장 1907년 의병전쟁의 운동방략과 민족운동의 확대
1. 의병운동세력의 확대와 의병전술 변화
1)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원주지역 저항운동
2) 원주진위대의 봉기와 참여세력의 확대
3) 의병무기체제의 변화와 유격전술의 일반화
2. 의병전쟁의 전개과정과 운동방략의 구현
1) 의병전쟁의 초기양상과 일본군의 배치
2) 관동창의대의 출범과 운동방략
3) 서울진공작전의 계획과 추진
3. 의병전쟁의 쇠퇴와 항일민족운동의 전개
1) 선유사의 선유활동
2) 일본군의 탄압양상과 헌병대의 배치
3) 독립군 전환과 원주지역 민족운동
4. 일제시기 근대도시 형성 과정과 민족운동의 영향
1) 일제시기 도시화 과정
2) 해방 후 도시형성 과정
결론
|부록 1| 한말 ‘원주의병’ 연표
|부록 2| 원주 각 면별 주요사건·단체 참여자 명단
·참고문헌
·찾아보기
'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 > 2.개항기.구한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베리아의 별 이위종 (0) | 2022.07.29 |
---|---|
이준열사, 그 멀고 외로운 여정 (0) | 2022.07.29 |
의병 전쟁과 의병장 (0) | 2022.07.26 |
명성황후, 최후의 8시간 (박상하: 다큐멘터리 소설) (0) | 2022.07.26 |
명성황후는 시해 당하지 않았다 (신용우 역사소설)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