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한반도평화 연구 (독서)/4.한미동맹

통일을 위한 한미동맹과 국제협력

동방박사님 2022. 9. 29. 22:09
728x90

책소개

이 책은 한미관계, 국제관계, 북한문제, 통일전문가로 구성된 집필진이 한미동맹과 국제협력을 통한 한반도 통일전략을 모색한 연구 산물이다. 안보환경을 평가하고 북한의 통일정책을 분석하면서 대남·대미정책을 예측하였다. 동시에 주변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을 진단하고 정전체제와 남북협상을 평가하면서, 통일을 위한 협상 전략, 동맹의 역할 및 국제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의 불안정한 안보환경은 한국의 국가안보와 통일에 일대 도전이 아닐 수 없다. 통일된 한반도가 강대국의 세력권으로 편입되기를 바라는 이해의 충돌로 주변국의 협력과 지지 하에 통일을 추진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러한 전략인식과 문제의식 하에 한반도 통일을 향한 한미동맹의 새로운 역할 모색과 국제적 협력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기획한 이 책은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북한의 군사위협과 통일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대남 및 대미정책을 예측해 본다. 제2장은 요동치는 국제질서 재편과 주변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을 평가하였다. 제3장은 한반도의 정전체제가 태동하게 된 배경으로부터 제네바정치회담, 오늘날까지의 남북협상 과정을 분석하였다.

목차

서장 : 정경영
제1장 북한 군사위협, 통일정책 분석 및 대남·대미정책 예측 : 문성묵
제1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평가
제2절 북한의 통일정책 분석
제3절 북한의 대남 및 대미정책 예측
제4절 시사점

제2장 안보환경과 주변국의 한반도 정책 및 통일인식 평가 : 권영근
제1절 안보환경 평가
제2절 미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
제3절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
제4절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
제5절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
제6절 통일정책과 시사점

제3장 한반도 정전체제와 남북협상 평가 : 최용호
제1절 6·25전쟁과 정전체제
제2절 제네바정치회담
제3절 제네바정치회담 이후 정전체제와 남북협상
제4절 시사점

제4장 한미 안보협력 발전방향 : 장삼열
제1절 한미동맹의 미래비전
제2절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전략
제3절 주한미군 기지이전과 역할
제4절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제5장 한반도 통일을 향한 한미동맹 역할 : 공동
제1절 한미공조 하 남북한 군사적 신뢰 구축 : 문성묵
제2절 한반도 통일과 주한미군의 역할 : 장삼열
제3절 유엔사와 미래연합사 관계 : 장삼열
제4절 한미 주도 소다자주의 협력 : 정경영

제6장 통일을 향한 국제협력 방안 : 공동
제1절 주변국 통일외교 : 권영근
제2절 유엔외교 및 유엔참전국 보훈외교 : 정경영·최용호
제3절 북한 급변사태 시 국제협력 : 최용호
제4절 국제협력을 통한 핵·미사일 대응전략 : 문성묵
제5절 동북아 평화협력 제도화 : 정경영

결 론 및 통일을 향한 로드맵 : 공동
1. 결론 및 정책제안 : 정경영
2. 통일을 향한 한미동맹과 국제협력 로드맵 : 정경영
3. 북한 비핵화 호응 여부에 따른 로드 맵 : 문성묵

참고문헌 / 저자소개
 

저자 소개

저 : 권영근
 
공군사관학교(26기). 연세대학교 정치학(박사). 미 오레건주립대학 전산학(박사). 공군대령(예). 공군사관학교 교수. 국방대학교 합동교리실장. 국방과학연구소 데이터통신실장 역임. 한국국방개혁연구소장(현). 『김대중과 국방』외 4권의 저서. 『북한 핵위기와 북미 관계』외 50여 권 역서. 국방개혁, 한미동맹, 남북관계 등 국가안보 분야 20여 년 연구.

저 : 정경영

 
현재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로서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Korea in World Politics를 강의하고 있다. 전주고, 육군사관학교, 미 육군지휘참모대,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University of Maryland 대학원에서 “Bu...
 

출판사 리뷰

이 책은 한미관계, 국제관계, 북한문제, 통일전문가로 구성된 집필진이 한미동맹과 국제협력을 통한 한반도 통일전략을 모색한 연구 산물이다.
안보환경을 평가하고 북한의 통일정책을 분석하면서 대남·대미정책을 예측하였다. 동시에 주변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을 진단하고 정전체제와 남북협상을 평가하면서, 통일을 위한 협상 전략, 동맹의 역할 및 국제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의 불안정한 안보환경은 한국의 국가안보와 통일에 일대 도전이 아닐 수 없다. 통일된 한반도가 강대국의 세력권으로 편입되기를 바라는 이해의 충돌로 주변국의 협력과 지지 하에 통일을 추진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러한 전략인식과 문제의식 하에 한반도 통일을 향한 한미동맹의 새로운 역할 모색과 국제적 협력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기획한 이 책은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북한의 군사위협과 통일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대남 및 대미정책을 예측해 본다.
제2장은 요동치는 국제질서 재편과 주변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인식을 평가하였다.
제3장은 한반도의 정전체제가 태동하게 된 배경으로부터 제네바정치회담, 오늘날까지의 남북협상 과정을 분석하였다.
제4장은 한미 양국 간의 안보협력 발전방향에 대해 한미동맹의 미래비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주한미군의 기지이전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제5장은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에 한미동맹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제6장 통일을 향한 국제협력 방향은 주변국 통일외교, 유엔과 6·25참전국 보훈외교, 북한 급변사태 시 국제협력방안, 국제협력을 통한 핵미사일 대응전략과 동북아 평화협력의 제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정책대안과 함께 한반도 통일이 한미동맹의 최종 목표이며, 한반도 분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변국의 협력과 지지가 필수적인 바, 통일을 위한 실현 가능하고 상호 연계된 한미동맹과 국제협력 로드맵과 함께 북한의 비핵화 호응여부에 따른 로드맵을 분야별로 2018년, 2019년, 2020년 이후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이 책이 한미동맹과 국제협력을 통해 한반도 통일의 시대를 열어가는 데 기여한다면 그 보다 더 큰 보람이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