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8.천주교신앙인물

성 토마스의 지혜와 사랑 (2022)

동방박사님 2024. 1. 13. 22:52
728x90

책소개

성 토마스 연구의 제1인자가 들려주는 젊은이들을 위한 강연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재건의 시기’에 프랑스 철학자이자 철학사가인 에티엔 질송이 미국에서 가진 세 차례의 강연들을 통해 젊은이들의 정신 재무장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갈피를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젊은 철학도, 신학도, 인문학도들이 ‘철학(philosophy)’이라는 이름으로 굳어진 ‘지혜 사랑’의 길을,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진정한 ‘삶의 길’로서 앞서 걸어간 스승이자 동료이며 안내자로서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모범을 따라,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구체적인 ‘길(道)’을 제시하고 있다.

철학사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근대 철학의 아버지인 데카르트(Descartes)에게로 건너뛰고, 1000년도 넘는 그 중간 시기에는 종교적 몽매주의의 암흑기가 자리 잡고 있을 뿐이라고 가르치던 20세기 초 서구 유럽의 합리주의적 문화 풍토 속에서, 에티엔 질송(Etienne Gilson)은 데카르트에게 미친 중세 스콜라학의 영향을 박사학위 주제로 삼고 연구하여, 중세의 스콜라 학자들의 사상 안에는 부인할 수 없는 합리적 철학들이 존재하며 데카르트는 물론 근대 철학 전반의 몇 가지 근본 주제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고, 이후 평생에 걸쳐서 수많은 논문들과 저술들, 강의와 강연들을 통해 그 발견들을 심화시키며 중세철학의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목차

엮은이 머리말
출전
소개의 글

제1강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혜와 사랑(1951년)

1.1. 지혜 사랑으로서의 진리 추구
1.2. 지성적 덕과 의지의 역할
1.3. 성 토마스의 모범

제2강 철학사와 철학 교육(1948년)

2.1. 철학교육과 철학함의 차이
2.2. 스승과 제자 사이
2.3. 철학 교육에서 철학사의 가치
2.4. 성 토마스의 가르침의 요체
2.5. 참다운 스승

제3강 토마스 아퀴나스와 우리의 동료교수들

3.1. 일반 교육에서의 철학의 위치
3.2. 현대적 해결의 시도
3.3. 성 토마스의 모범
3.4. 추가적 마무리

[부록]
부록1: 「성 토마스와 배움의 삶」 (존 맥코믹, SJ, 1937년)
부록2: 「연구 방법에 대한 권고서한」(성 토마스)
부록3: 「에티엔 질송의 그리스도교 철학 개념」(이재룡)
참고문헌
색인

저자 소개

저 : 에티엔 질송 (Etienne Gilson)
 
파리에서 태어나 소르본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1913) 모교의 교수를 거쳐(1921-1932) 콜레주 드 프랑스로 옮겨 은퇴하기까지(1932-1950) 가르쳤으며, 중세 사상 관련 여러 학술지들을 창간하고 주관하였다. 1929년에는 캐나다 토론토로 건너가 중세사상연구소(PIMS)를 창립하고 중세철학사 연구주임으로 임명되어 대륙을 오가며 가르쳤다. 프랑스학술원, 네델란드왕립학술원, 영국학술원, 교황청 성토...

역 : 이재룡

경기도 강화 출생.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사제로 서품되어(19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3년부터 201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철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신학과사상학회’와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09년부터 오류동본당과 혜화동본당 주임 신부로 봉직하였고, 2016년부터는 ‘한국성토마스연구소’ 소장 책임을 ...

책 속으로

질송은 인식을 향한 인간의 자연적 경향을 인정하는 것 외에도 사랑 안에서 앎에 대한 갈망을 키워가는 깊고 내밀한 동인을 본다. 질송은 본질적으로, 사랑하기 때문에 인식하고, 또한 알기를 사랑한다는 통합적인 인간학을 작업해낸다. 사랑과 인식은, 질송이 성 토마스의 노선 위에서 최종적이고 초시간적 지평에서만 완벽하게 실현될 수 있다고 단언하는, 지혜를 향한 상승과정에 있는 불가분의 두 계기들이다. ‘철학’이라고 번역되는 서양의 본래적 단어(philosophia)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 내용, 곧 ‘지혜 사랑(sophia + philein)’을 차례로 살펴보는 지혜와 사랑 및 그 유대를 강조하는 강연(들)을 재독하는 가운데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에 대한 성 토마스의 이론적 성찰이 지니고 있는 독창성도 함께 규명된다.
--- 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