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폭력연구 (책소개)/1.국가폭력

잊히지 않는 상처, 국가폭력을 넘어 (2024)

동방박사님 2024. 6. 28. 07:58
728x90

목차

들어가는 말

Ⅰ. 민주주의를 위해 걸어온 한 평생(강창덕)

1. 집안 배경 및 성장과정
2. 해방 직후 활동
3. 한국전쟁기와 1950년대의 경험과 활동
4. 대구지역의 4월혁명
5. 경산 코발트광산 학살사건 취재
6. 경산유족회 고문활동
7. 장면 정권기 정당활동
8. 5.16군사쿠데타와 투옥
9. 박정희 정권기의 정치활동① : 1960년대
10. 박정희 정권기의 정치활동② : 1970년대
11. 인혁당재건위사건
12. 1987년 6월항쟁 이후의 정치활동
13. 김대중 정부 이후 시기의 과거사 청산문제

Ⅱ. 역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인생 여정(김하종)

1. 유년기의 경험
2. 내남면 학살사건
3. 학살사건 이후의 성장과정
4. 대학교 진학과 법무부 근무
5. 유족회 결성과 활동
6. 5.16쿠데타 이후 군사정부의 유족회 탄압
7. 석방 이후의 생활
8. 유족회 재건

Ⅲ. 민족자주를 위한 한 길에서(배다지)

1. 해방과 한국전쟁
2. 대학생활과 『국제신보』 기자활동
3. 4.19혁명과 민주민족청년동맹 활동
4. 5.16쿠데타 이후, 도피와 생계활동
5. 통혁당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다
6. 출소 이후 생계활동과 지속되는 감시와 통제
7. 1980년대 사회운동 참여와 정치지형에 대한 이해
8. 1980~1990년대 통일운동과 민족운동
9. 김대중 정부 이후의 통일운동과 통일을 위한 전망

Ⅳ. 세대로 이어진 국가폭력과 사회변혁의 꿈(이단아)

1. 이형락의 성장 과정과 활동
2. 1960년대 이형락의 사회운동과 구속
3. 이형락의 석방과 그 이후의 삶
4. 이단아의 노동운동
6. 1987년 6월 이후의 활동
5. 남조선해방전략당사건 재심 신청과정
6. 진상규명과 형명재단
7. 부친을 기억하며
8. 국가폭력을 넘어서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