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1.동양철학사상

도교백과 (2018)

동방박사님 2024. 8. 30. 06:26
728x90

책소개

도교의 세계를 읽다

그믐날 잠을 자지 않는 풍습은 ‘수경신’의 도교 문화이다. 경신일(庚申日)이 되면 우리 몸속에 있던 삼시신(三尸神)이 하늘에 올라가 선관(仙官)에게 사람들의 죄과를 고하고, 그 죄과에 따라 사람의 수명이 줄어들기에 잠을 자지 말라는 것이었다. 눈썹이 희어지는 것은 잠을 자서 삼시신이 선관에서 그 사람의 죄과를 고한 탓에 그 만큼 수명이 줄어들었다는 의미이다. 부뚜막 신을 위한 제사도 마찬가지이다. 부엌에도 신이 있어 한 집안의 죄과를 선관에게 고하기에 그를 위로하는 제사를 지낸 것이다. 이처럼 도교의 풍습과 문화는 우리의 기층문화 중에 자리하고 있다. 이 책에는 이러한 도교의 사상과 문화, 풍습 등이 우리 문화 속에 녹아들어 있는지 알게 해 주는 내용이 적지 않다.

도교는 중국에서 비롯하여 동아시아 원시종교인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의 문화와도 깊은 관계에 있다. 특히, 도교가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책에는 동아시아 전 지역에서 도교 문화와 신앙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소개한다. 도교에 대한 이해가 그 어느 때보다 소중한 오늘날, 이 책은 도교의 전모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교입문서이다.

목차

발간사 · 배규한(대순사상학술원 원장) … 4
추천사 · 정재서(이화여대 명예교수, 전 도교문화학회 회장) … 8
추천사 · 김일권(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도교문화학회장) … 10

1장. 도교란 무엇인가
도교 Q&A - 사카데 요시노부 … 20
도교의 세계와 신들 - 고토 도모코 … 28
도교의 성립과 역사 - 스나야마 미노루 … 51
도교의 계율과 그 여러 모습 - 사카데 요시노부 … 76
도교의 사상 - 호리이케 노부오 … 92
기(氣)와 도교 - 무기타니 구니오 … 106
민중의 생활과 도교 - 노구치 데쓰로 … 122

2장. 방술과 주술
도교에서 방술의 의미 - 사카데 요시노부 … 140
시초점[卜筮] - 이노우에 유타카 … 147
인상술(人相術) - 오가와 요우이치 … 162
풍수설 - 미우라쿠니오 … 170
금주(禁呪) - 다나카 후미오 … 186
뇌법(雷法) - 마츠모토 코이치 … 192
우보(禹步)와 천강(天?) - 구도 모토오 … 198
영부(靈符) - 사카데 요시노부 … 205
동계(童?) - 후지사키 야스히코 … 224
부계(扶?) - 시가 이치코 … 230
도신(跳神) - 히라키 코에이 … 236
은형술(隱形術) - 이노우에 유타카 … 241
체대술(替代術) - 미야자키 요리코 … 247
분신술(分身術) - 히라키 코헤이 … 253
견귀술(見鬼術) - 이노우에 유타카 … 259
핵귀술(劾鬼術) - 히라키 코헤이 … 266
섭혼(攝魂) - 히라키 코헤이 … 272
명조술(明照術) - 미야자키 요리코 … 278
해조어(解鳥語) - 미야자키 요시코 … 284
기우술(祈雨術) - 미야자키 요시코 … 290
승교술(乘?術) - 히라키 코헤이 … 296
척고(擲?) - 모리타 겐지 … 302
팔괘패(八卦牌)·수패(獸牌) - 모리타 겐지 … 308
석감당(石敢當) - 모리타 겐지 … 314

3장. 의약과 신선술, 불노장생의 길
양생(養生)·의료와 도교 - 이시다 히데미 … 320
침구(鍼灸)와 도교 - 하야시 가츠 … 333
본초(本草)와 도교 - 오오가타 토오루 … 349
존사(存思)와 내단(內丹) - 야마다 도시아키 … 363
수일법(守一法) - 요코테 히로시 … 375
태식(胎息) - 사카우치 히데오 … 382
행기(行氣) - 마쓰무라 다쿠미 … 387
도인(導引) - 고바야시 가즈히코 … 393
방중술(房中術) - 이카이 요시오 … 405
여단(女丹) - 황웨이 … 424
연금술(鍊金術) - 사카데 요시노부 … 431
복식(服食)·복이(服餌) - 시라스기 에츠오 … 444
복약(服藥) - 오가타 도오루 … 450
오석산(五石散) - 아카호리 아키라 … 456
벽곡(?穀) - 이시다 히데미 … 462
시해(尸解) - 마쓰무라 다쿠미 … 468
식양생(食養生) - 나카무라 미치코 … 478

4장. 도교의 의례와 경전
도교의례와 경전편찬의 역사 - 마루야마 히로시 … 486
공덕의례(功德儀禮) - 아사노 하루지 … 505
기안경성초(祈安慶成醮) - 마루야마 히로시 … 514
온왕초(瘟王醮) - 마쓰모토 고이치 … 523
법사(法師)의 의례와 역할 - 후루이에 신페이 … 531

5장. 도교와 그 주변
역(易)·음양(陰陽)·오행(五行)과 도교 - 아즈마 쥬지 … 542
문학과 도교 ① 당시(唐詩) - 모리세 토시조우 … 554
문학과 도교 ② 근대소설·희곡 - 이노우에 타이잔 … 561
회화(繪畵)와 도교 - 곤도 히데미 … 567
건축과 도교 - 다나카 탄 … 575
밀교(密敎)와 도교 - 요리토미 모토히로 … 583
별[星]과 도교 - 나가이 스스무 … 589
도교의 지옥(地獄) - 미나미자와 요시히코 … 595
비밀결사와 도교 - 와타나베 준 … 601
일관도(一貫道) - 시노하라 히사오 … 611
도교의 명산과 궁관 - 하치야 구니오 외 … 621
교단의 구조(조직)와 도사의 생활 - 이시이 마사코 … 646
민간신앙과 도교 - 다카바시 신이치 … 652
연중행사와 도교 - 와타나베 다케시 … 660

6장. 일본의 도교
신도(神道)의 제사와 도교 - 마스오 신이치로 … 678
음양도와 도교 - 고사카 신지 … 686
일본의 민간습속에 보이는 도교 - 요시다 류에이 … 694
고대 일본과 도교 - 다카바시 도오루 … 702
슈겐도(修?道)와 도교 - 미야모토 게사오 … 710

7장. 아시아의 도교
홍콩의 도교와 풍수 - 가니 히로아키 … 720
베트남의 도교 - 우노 고이치로 … 728
한국의 도교 - 노자키 미쓰히코 … 735
야오족의 도교와 풍수 - 요시노 아키라 … 741
동남아시아 화교사회의 도교 - 요시와라 가즈오 … 747
오키나와의 도교와 풍수 - 쓰즈키 아키코 … 753

특별기획
진인전, 선인전 - 하마다 요코 외 … 762
도교 신(神) 사전 - 이시다 겐지 외 … 802
주요 경전 사전 - 이시이 아키코 외 … 831
도교 교단·교파 사전 - 스나야마 미노루 외 … 863
주제별 책 소개 - 코이치 이자와 외 … 874

역자 후기 … 887
색인 … 890

저자 소개 

역 : 이봉호
지리산 근처 함양에서 나고 자랐다. 중고등학교 시절 박상륭의 소설에 빠져서 살다가, 철학소설을 쓰겠다는 생각으로 철학과에 입학했다. 철학에 눈을 뜨고 소설에 대한 꿈을 버렸다. 이후 철학책 읽기에 빠져서 살았다. 대학과 마을에서 철학 원전 읽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수업에서 일어나는 질문과 토론의 긴장을 즐긴다. 경북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했다. 서울대, 성균관대, 한양...

역 : 최수빈현)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책임연구원 서강대학교 종교학 박사(도교전공). 와세다 대학교 외국인 연구원 . 서강대 대우교수, 서울대, 가톨릭대 강사 「중세도교의 자연개념 고찰: 위진남북조 시대를 중심으로」, 「老子 神格化와 神話化에 대한 一考察」, 「도교의 생사관: 전진교 문헌을 중심으로」, 「도교의 금욕주의(Asceticism)」, 「도교에서 바라보는 저세상: 신선(神仙)과 사자(死者)들의 세계에 반영된 도교적 ...

역 : 박용철대진대학교 교수, 저서로는 『대순사상의 이해』(공저), 역서로는 『중화집』, 논문으로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 신격 연구>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도교 백과의 특징

도교백과는 일본의 도교 전문가들이 7개 주제로 쓴, 도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서이다. 일본 도교학계의 저명한 학자들이 각 항목을 맡아 책임 집필을 하였기에 편집과 내용에서 정연한 체계와 내용을 갖출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은 도교의 전반에 대해 전문가뿐만 아니라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도 도교의 종교와 의례뿐만 아니라 도교 문화에 대한 전반을 소개하고 있기에, 도교 공부에 대한 지침서이자 입문서이다.

일반적으로 도교사를 읽으면 전체적인 흐름을 잡을 수는 있지만,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이해가 불충분하다. 이 책은 ‘도교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방술’, ‘의학과 신선술’, ‘의례와 경전’, ‘도교의 주변’이라는 항목에 이르기까지 도교의 다양한 주제들과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과 아시아의 도교’라는 항목에서는 일본을 비롯해 홍콩, 한국, 베트남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실천되는 도교를 다루고 있다. 또 부록으로 ‘진인전과 신선전’, ‘도교 신들에 대한 사전’, ‘경전사전’, ‘교단과 교파사전’ 등을 망라하고, 도교와 문학, 의학, 예술, 건축 등에 대한 내용도 충실히 다루고 있어, ‘백과’라는 제목에 어울리는 편집체재를 갖추고 있다. 특히 한국의 민속에 남아 있는 도교 문화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 도교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도 보여준다.

추천평

도교는 동아시아 상상력과 사상의 중요한 원천이다. 멀리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도교적 상상력은 종교로, 철학으로, 문학으로, 예술로, 민속으로 다채롭게 변용(變容)을 거듭하였다. 신화와 문학에 기초해 도교를 연구해온 학자로서 도교는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상상력, 이미지, 스토리의 보고(寶庫)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 편집과 내용에서 이렇듯 정연한 체계와 내용을 갖출 수 있었던 것은 그야말로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일본 도교학계의 저명한 학자들이 각 항목을 맡아 책임 집필을 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 정재서 (이화여대 명예교수, 전 도교문화학회 회장)
이 책은 도교 전반에 관한 내용을 충실히 담고 있는 훌륭한 책입니다. 도교가 갖는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총망라하고 있어, 도교에 대한 소개를 충실히 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처럼 도교를 훌륭하게 소개하고 있는 책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도교에 대해 접근할 때, 기본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범주들을 망라하였고, 동아시아 전 지역에서 도교 문화와 신앙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소상히 전달하고 있는 것도 이 책의 장점입니다. 또한 간략하게 신선전과 진인전, 신들 사전, 경전사전, 교단과 교파 사전까지 담고 있어서 사전의 기능도 하고 있습니다.
- 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도교문화학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