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6.국립중앙박물관

2.대동여지도 쪽지도

동방박사님 2018. 10. 21. 06:22
728x90

전통지도의 결정판 -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 김정호金正浩 91804?~1866?) 조선 1861  종이에 목판 인쇄후 채색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는 김정호가 1861년 (철종12) 세상에 내놓은 전국지도입니다. 우리나라의 지도 제작 전통을 집대성했을뿐 만 아니라 근대 지도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을 만큼 상세하고 실용적입니다. 조선의 국토를 남북120리 간격의22층으로 나누고, 각층의 지도를 1권의 책으로 엮어냈습니다. 각 권의 책은 동서 80리를 기준으로 펴고 접을 수 있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22권의 책을 모두 펼쳐 연결하면 세로 약6.7m  가로3.8m 의 대형지도가 만들어 집니다. 백두산에서 비롯되어 방방곡곡으로 이어진 산줄기의 모습을 크기와 중요도에 따라 섬세하게 표현 되었고, 그 사이를 흐르는 물줄기도 흐름과 폭을 반영하여 표현 하였습니다. 또한 행정 국방 정보를 비롯하여 경제. 교통등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여, 국토에 대한 상세하고 풍부한 지리 지식을 얻을수 있도록 했습니다.물줄기는 곡선으로, 도로는 직선으로 표현하여 쉽게 구분하도록 했고, 특히 도로에는 10리마다 점을 찍어 독자가 직접 거리를  계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오늘날의  지도와 같이 기호를 이용하여 11,700여 개에 달하는 많은 지명 들을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은 ,대동여지도>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 입니다.

김정호는 지도가 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 되기를 원 했습니다. <대동여지도>를 목판 인쇄본으로 만든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오늘날까지 전하는 30여 질의 , 대동여지도>는 이 지도가 상당히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 이용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국토에 대한 바른 지식이 나라의 희망이고 미래라고 믿으며, 평생 지리 지식의 연구와 보급에 헌신했던 김정호, <대동여지도>는 지도를 통해 부강한 나라의 건설을 꿈꾸었던 한 지식인이 평생 쏟아낸 땀방울의 결정체 입니다.









교양인을 위한 일상의 지도

조선의 지도는 세상과 국토의 모습은 몰론 역사의 지식까지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시 조선사회를 살아가던 교양인이라면,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이해하고, 국토의 세세한 실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도가 필요 했습니다. 동아시아를 중심에 둔 세계지도와, 중국지도, 조선전도, 조선팔도 지도, 일본과 유구 지도까지 13종류의 지도를 차례로 실은 전형적인 지도책이 크게 유행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또한 조선 국토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전국지도도 지식층을 중심으로 민간에게 확산 되었습니다. 정확한 묘사보다 국토를 계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모양의 지도 제작, 활용된 것이 특징입니다. 소매에 들어갈 만큼 작은 크시의 지도가 유행하기도 했는데, 여기에는 국토에 대한 주요정보를 압축적으로 수록해 놓았습니다. 아울러 18세기

이후에는  구체적인 교통 노선과 거리정보가 명시된 지도가 등장하여, 실용적인 지리정보의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대동여지도 쪽지도 (수진본지도)

지도책의 크기를 최대한 줄여 소매에 넣고 다니며 들고다니기 편하도록 만든 지도입니다. :수진본 지도" 라불리며 가로 3~4cm 세로10cm 내외의 작은 크기로 만들어 전국 8도의 간략한 지리정보를 수록해 놓았습니다.

도별로 8면씩을 할애하여 지도의 지지를 수록했으며, 지리지 정보로는 역驛, 鎭진,보 등의 군사시설, 주민과 전답의 통계, 고을의 연혁 서울로 부터 감영까지의 거리정보 등을 수록해 놓았습니다. 조선후기 지도의 대중화에 기여했던 대표적인 지도라고 할수 있습니다.


지도와 포갑 - 조선 19세기초

지도책을 담는 포갑과 휴대용 지도책

휴대에  편리하도록 작은 크기로 만든 지도책으로, 지도책을 보호하는 포갑이 함께 남아있는 첩이 독특합니다, 이 지도책은 지도를 필사한 사람이 1805년으로 제작시기를 밝혀두었습니다. 지도책속의 도별지도는 조선의 행정구역과 교통망, 주로 군사시설에 대한정보를 실었습니다. 또한 고을 간거리 정보를 비롯하여 역대 국왕과 왕비의 기일, 문묘의 신위배치 등도 정리해 놓아 구체적인 사용방식을  짐작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