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독서)/4.한일관계역사 101

4.왜구.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를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조 광 : 통신사에 관한 한국학계의 연구성과와 쟁점사항 장순순 : 조선시대 통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측 연구성과를 ..

5.임진왜란과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5권은 임진왜란과 한일관계를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정구복 : 임진왜란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박재광 : 임진왜란 연구의현황과 과제 한명기 :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질서 이..

6.통신사 왜관과 한일관계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를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조 광 : 통신사에 관한 한국학계의 연구성과와 쟁점사항 장순순 : 조선시대 통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측 연구성과를 ..

7.일본의 한국침략과 주권 침탈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7권은 일본의 한국침략과 주권침탈을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서문 1·개항 후 한일관계사 연구와 상호인식 근대 한일관계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최혜주 1910년 이전 한..

8.일제 식민지 구조와 성격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8권은 일제 식민지지배의 구조와 성격을 다룬 논물들이다. 목차 발간사 서문 1.일제하 한일관계사 연구동향과 상호인식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 연구사 : 박찬승 식민지 시대 한일 ..

9.일제 강점기 한국인의 삶과 민족운동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9권은 일제 강점기 한국인의 삶과 민족운동을 다룬 논문들이다.

10.해방후 한일관계의 쟁점과 전망

책소개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10권은 해방 후 한일관계이 쟁점과 전망을 다룬 논문들이다. 목차 발간사 서문 1.해방 후 한일관계사 연구와 상호인식 해방 후 한일관계 연구동향 : 정용욱 -현대 '한일관계사'..

11.농경 금속문화와 한일관계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1번째 권으로 농경 금속문화와 한일관계에 대해 다룬다. 목차 발간사 조법종 / 고대 한일관계의 성립 이홍종 / 한일 농경문화의 교류 정인성 / 한일 청..

12.고대 왕권과 한일관계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2번째 권으로 고구려, 백제, 신리 그리고 왜의 관계를 분석한다. 목차 발간사 김태식 / 고대 왕권의 성장과 한일관계 강현숙 / 4~6세기 고구려 고총..

13.고대 동아시아 재편과 한일관계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3번째 권으로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정치체제와 그 속에서 한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분석한다. 목차 발간사 노태돈 / 고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

14.중.근세 동아시아 해역세계와 한일관계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4번째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지는 시기, 한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목차 발간사 이재범 / 고려 전기 한일관계사 연구 현황 김보한 / 한..

15.동아시아 세계와 임진왜란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5번째 권으로 16세기 동아시아 체제의 균열을 가져온 임진왜란에 대해 다룬다. 목차 발간사 노영구 / 壬辰倭亂의 學說史的 검토 이계황 / 한국과 일본학..

16.한국 근대국가 수립과 한일 관계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6번째 권으로 한국 근대국가 수립과 한일관계의 전개에 대해 다룬다. 목차 발간사 주진오 / 19세기 말 조선의 자주와 독립 강상규 / 1870~1880..

17.일제식민지와 강제동원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7번째 권으로 20세기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일본제국이 태평양전쟁을 감행하며 식민지인들을 강제동원한 사건을 다룬다. 목차 발간사 류승렬 / 일제강점기 ..

18.해방이후 한일관계의 재편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8번째 권으로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한국의 해방 이후 한일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목차 발간사 이석우 / 연합국최고사령부, 샌프란시스..

19.한일교과서의 서술이념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19번째 권으로 현재 양국간 문제가 되고 있는 역사교과서 서술의 이념을 다룬다. 목차 발간사 정재정 / 한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그려진 근대의 肖像 정..

20.한일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20번째 권으로 한일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의 문제에 대해 다룬 논문을 수록하였다. 목차 발간사 연민수 / 日本歷史敎科書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民族?天皇問題..

21.해방 후 한일간 상호인식과 역사교과서의 편찬변화

책소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로 했다. 한일역사동공연구위원회에 속한 두 나라의 연구위원들이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103개 분야 중 한국 측 종합보고서의 작성에 근거가 되었던 96편의 개별 논문들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이란 제명아래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21번째 권으로 해방 후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 온 한일 양국의 역사교과서 편찬을 다룬다. 목차 발간사 최영호 / 일본의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한국과 한국..

한일관계 속의 왜관

책소개 왜관은 1470년에 포소를 제한하면서 삼포에 생기기 시작헀고, 서울에 동평관이 설치된 이후 임진왜란 때까지 조선 전기 280여년간 계속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1601년에 절영도의 가왜관에서 시작하여 1607년 두모포왜관이 설치되어, 1678년 초량왜관으로 옮긴 뒤, 1872년까지 270여년간 계속되었다. 왜관은 이와같이 조선의 교린 정책에 의해서 객관과 상관의 여러 가지 기능을 했고, 조선은 이 왜관을 토앻서 외교와 무역과 소통을 하면서, 일본과의 공전과 공생을 모색해갔다. 이 책은 한일문화교류기금 25주는 맞이하여 조선시대 500년간 조선과 일본이 왜관이라는 창구를 통해 어디서 어떻게 어떠한 방법으로 공존과 공생을 추구했는가를 탐구한 한일국제학술회의의 성과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목차 발간사..

초량왜관 : 세계도시 부산은 초량왜관에서 탄생한다

책소개 초량왜관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부산포에는 470년 동안 왜관이 존재했었다. 그중 후반기인 1678년(숙종 4) 새띠벌 초량에 왜관을 설치한 이후 200여 년을 이어왔다. 왜관, 그중에서도 초량왜관을 논하지 않고 부산의 역사를 살펴보기란 사실상 불가능할 만큼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초량왜관은 빼앗긴 것도, 수탈당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선의 제도와 법령으로 왜인을 다스리고, 그들을 교화함으로써 일본을 사이좋은 이웃나라로 만든 공간이다. 왜인들에게 교역을 허락하고, 그들과 문화를 교류하면서 200년 동안 조·일 두 나라의 평화를 이뤄냈다. 초량왜관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화평 비용으로 왜인들에게 빌려준 것이다. 이 책에서는 간략하게 왜관의 역사를 기술하고 조선 시대 후반기에 설치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