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책은 한국의 근현대 경제 발전의 주된 공간이었던 인천과 주변 지역의 근대 산업과 이와 관련된 산업유산에 대해 다룬 5개의 주제와 한 편의 보론을 담았다.
1930년대 설립된 소래염전의 구조적 특징과 소금창고 등 시설물의 기능 및 변천 과정을 다룬 연구, 1920년대 경인지역의 부평수리조합 창설과 전기 양수기 도입 과정을 다룬 연구,
1930년대 후반 일제의 철도 차량 증산과 ㈜일본 차량제조 인천공장 건설과 해방 이후의 변천을 검토한 연구,
해방 이전 인천 인근의 공업도시인 영등포 지역의 공업 시설을 다룬 연구와 함께 영국의 산업유산 활용 방안을 다룬 흥미로운 연구가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1920년대 이후 해방 전후까지 인천 일대 산업 발전의 양상과 이와 관련된 현존 산업유산 및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한 내용을 통해 산업도시로서 발전해 온 인천의 면모를 살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산업도시로서 최근 급격히 발전하는 과정에서 인천 일대에 흩어져 있던 많은 근현대 산업유산이 우리 곁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를 적절히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은
인천의 산업문화적 역사성을 확보하고 인천 시민들에게 지역에 대한 정체성을 찾게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발간사 중에서-
목차
발간사
· 소래염전 소금창고와 부속시설물을 통해 본 근대산업유산의 가치 | 류창호
머리말
1. 소래염전의 설립과 운영의 변화
1) 소래염전의 축조와 구조적 특징
2) 조선제염공업주식회사의 설립과 기계제염 시도
3) 대한염업주식회사의 설립과 민영화 과정
2. 근대산업유산으로서의 소래염전 ‘소금창고’의 가치
1) 천일제염에서 ‘소금창고’의 기능과 특징
2) 소래염전 ‘소금창고’의 건립 시원
3) 기타 부속시설의 현황과 보존 가치
맺음말
· 1923~1925년 경인 지역 유력자의 부평수리조합 창설과 전기 양수기 도입 | 이대열
머리말
1. 경인 지역 유력자 결속과 전기 양수기 공사의 추진
1) 거류민단 구성과 부협의회 조직
2) 경성전기의 전력 공급과 부평수조의 전력 수요
2. 경성전기·부평수조 공조와 전기 양수기 공사의 시행
1) 송배전망 구상과 모터·펌프 계획
2) 전기 양수기 설치와 경인 지역으로의 확산
맺음말
· 총동원체제기 일제의 철도차량 증산계획과 ㈜일본차량제조 인천공장 | 박우현
머리말
1. 철도차량회사의 식민지 투자 배경
1) 2.26 사건 이후 철도차량 수요 급증
2) 군수공업의 확충 도모와 ㈜일본차량제조의 조선 진출
2. ㈜일본차량제조 인천공장의 확장과 생산 실적
1) 인천공장의 설립과 당국의 지원
2) 공장 확대와 기관차 생산 시도
맺음말
· 영국의 산업유산 활용과 성과 - 런던 배터시발전소를 중심으로 | 남슬기
머리말
1. 영국의 산업유산 관련 정책과 법 제도
1) 국제법에 따른 유산 보호 제도
2) 영국 국내법상 유산 보호 제도
2. 배터시발전소의 변천: 전력공급의 중심에서 산업유산으로
1) 배터시발전소의 역사와 산업유산으로의 전환
2) 문화계에 영감을 준 배터시발전소
3) 정권의 변화와 배터시발전소 재개발사업의 다양한 계획들
3. 배터시발전소 재개발 사업이 극복해야 했던 다양한 문제와 성과
1) 막대한 사업비 조달의 어려움
2) 배터시발전소의 역사·문화적 가치 보존
3) 주택난과 환경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견해
맺음말
· 공업도시 영등포의 형성과 그 흔적 - 광복 이전 공업시설을 중심으로 | 김하나
머리말
1. 1930년대 중반 이전 영등포 지역의 공업 시설 입지
1) 1900년대~1910년대 : 철도 부설과 원료기반형 요업
2) 1910년대~1920년대 : 산업선 설치와 국책기업 및 노동력기반 경공업
3) 1930년대 : 대형 내지 대자본계 소비재 경공업
2. 1930년대 말~1945년 영등포 지역 도시계획과 공업 시설의 입지
1) 영등포 지역의 토지구획정리사업
2) 토지구획정리사업 이후 입지한 공업 시설과 성격
3. 광복 이전 공업 시설의 현황과 흔적
1) 공장 부지의 현황과 흔적
2) 주거지역 소형 필지의 현황과 흔적
3) 철도인입선(산업선)의 흔적
맺음말
· [보론] 일제하 조선인 상인의 거리 싸리재의 사회상 | 이상의
머리말
1. 싸리재의 지리와 공간구성
2. 인천객주의 흥망과 싸리재의 성쇠
3. 싸리재의 사회상과 지역 정체성
맺음말
[부록] 싸리재 일대의 사진
저자 소개
편 : 한국역사연구회·인천문화재단
[집필진]
류창호 | 인하대박물관 학예연구사
이대열 | 고려대학교 역사학과 박사수료
박우현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남슬기 | 소아스, 런던대학교(SOAS, University of London)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박사과정
김하나 |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이상의 | 인천대 기초교육원 교수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1269444>
'22.역사이야기 (독서요약) > 1.인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2023) -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이 걸어온 길 130년 (0) | 2025.03.04 |
---|---|
인천의 산업과 노동 (2023) (0) | 2025.01.30 |
문학산, 그 仁의 세월 인천향토사 (2025) (0) | 2025.01.27 |
인천상륙작전과 맥아더 (2015) (0) | 2024.04.08 |
인천상륙작전비사 (2016) - 또 하나의 트로이 목마, 전쟁의 역사를 바꾸다 (1)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