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서양근대철학자들의 교육철학에 대해 고찰하다
교육철학자의 교육철학이 아닌, 근대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은 어떠하였을까?
근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교육이란 무엇이고 교육철학의 본래적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교육을 받은 사람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어떤 인간으로 육성할 것인지,
등과 같은 물음에 해답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개인적 행복론에 관심을 두었던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개인적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으로, 사회적 행복론에 관심을 두었던 대다수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공동체 행복 실현을 위한 시민교육론’으로 분류하여, 이들 교육론과 나아가 가치와 도덕을 실천하는 인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몽테뉴, 파스칼, 스피노자, 베이컨, 홉스, 데카르트, 로크, 흄, 루소, 칸트, 실러, 헤겔, 베르그손 등의 근대 철학자가 그 대상이다.
교육철학자의 교육철학이 아닌, 근대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은 어떠하였을까?
근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교육이란 무엇이고 교육철학의 본래적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교육을 받은 사람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어떤 인간으로 육성할 것인지,
등과 같은 물음에 해답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개인적 행복론에 관심을 두었던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개인적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으로, 사회적 행복론에 관심을 두었던 대다수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공동체 행복 실현을 위한 시민교육론’으로 분류하여, 이들 교육론과 나아가 가치와 도덕을 실천하는 인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몽테뉴, 파스칼, 스피노자, 베이컨, 홉스, 데카르트, 로크, 흄, 루소, 칸트, 실러, 헤겔, 베르그손 등의 근대 철학자가 그 대상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개인적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
1장 몽테뉴: 나의 삶의 방식을 만드는 힘으로서 철학교육 - 경혜영
1. 몽테뉴의 생애와 저작 및 그 영향
2. 몽테뉴 교육론의 경험적 바탕: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론과 공교육의 영향
3. 몽테뉴 교육론의 철학적 토대
4. 몽테뉴의 철학교육: 자유롭고 도덕적인 삶을 위한 교육의 요소들(체험, 습관, 실천)
5. 우리를 위한 몽테뉴
참고문헌
추가읽기
2장 파스칼: 변증론을 위한 교육 - 장성민
1. 파스칼의 생애 및 교육적 배경
2. 교육의 일차적 목적: 교양 또는 교양인
3. 교육 방법론: 설득의 기술
4. 교육의 궁극적 목적: 초자연적 사랑의 질서
참고문헌
3장 스피노자: 기계론과 성장, 그리고 교육 - 김은주
1. 들어가기
2. 스피노자의 이력과 교육
3. 고전 시대 아이의 지위와 스피노자
4. 운동과 정지의 관계로 본 개체와 교육자의 역할
5. 정서 복합체로 본 개체와 교육자의 역할
6. 나가기
참고문헌
2부 공동체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
4장 베이컨: 근대적 계몽과 근본적 자기 성찰을 위한 교육 - 김시형
1. 인간 본질과 현재 상태 간의 괴리
2. 기술과 학문을 통한 잃어버린 피조물에 대한 지배 회복
3. 인간의 창조적 능력 자각과 계몽주의
4. 인간은 왜 타락했는가
5. 지식과 믿음의 관계
6. 인간영혼 분석
7. 종교의 본질: 지혜와 카리타스
8. 학문과 지혜의 통일
9. 미래의 인간
추가읽기
5장 홉스: 시민교육의 모델 찾기 - 김용환
1. 들어가기
2.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유년기 교육의 중요성
3. 대학 교육의 빛과 그림자
4. 홉스 철학에서 수사학 교육의 중요성
5. 의무교육으로서 정치교육과 도덕교육
6. 종교교육을 통한 시민교육
7. 한국 교육 상황에서 본 홉스 교육철학의 의미
참고문헌
추가읽기
6장 데카르트: 덕의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 이경희
1. 들어가기
2. 교육의 가능성
3. 도덕철학
4. 정념의 정복
5. 관대함
6. 정신, 신체 그리고 인간
7. 나가기
참고문헌
추가읽기
7장 로크: 이성의 힘보다 강한 습관의 힘 - 이재영
1. 들어가기
2. 『교육론』과 『지성지도론』의 주요 내용
3. 가소성 테제
4. 인간 본성 백지설은 옳은가
5. 습관과 이성
6. 나가기
참고문헌
8장 흄: 공감, 상상력 그리고 문예교육 - 최희봉·양선이
1. 들어가기
2. 흄의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3. 문예교육과 인간의 행복
참고문헌
추가읽기
9장 루소: 인간교육과 시민교육 - 폴 앙투안 미켈 (황수영 옮김)
1. 들어가기
2. 인간이라는 감정
3. 자연 교육의 첫 번째 단계 유아기
4. 자연 교육의 두 번째 단계 아동기
5. 자연 교육의 세 번째 단계 소년기
6. 시민이라는 감정
7. 나가기
추가읽기
10장 칸트: 계몽의 실현 방법으로서 교육 - 김성호
1. 칸트의 『교육학 강의』와 그것의 문제점
2. 교육의 형식
3. 자유와 강제의 문제
4. 도덕교육에로의 접근
5.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 문답법
참고문헌
11장 실러: 예술을 통한 자유시민 교육 - 윤선구
1. 들어가기
2. 실러 교육철학의 목적으로서 도덕국가의 실현
3. 도덕국가 실현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
4. 인간 본성의 이탈과 전체성 실현을 위한 교육 원리
5. 유희와 자유
6. 예술을 통한 인성교육의 원리: 물리적 유희에서 미적 유희로의 전환
7. 나가기
참고문헌
12장 헤겔: 스스로 생각하기 - 김성환
1. 스스로 생각하기 대신 배움
2. 독일 만다린
3. 스스로 생각하기로 반전
4. 반전의 모델, 주인과 노예의 관계
5. 소외된 정신은 산교육
참고문헌
추가읽기
13장 베르그손: 탈-형성의 교육학 - 주재형
1. 들어가기: 베르그손의 교육학
2. 양식: 교육의 목표
3. 탈-형성의 원리
4. 교육론(1): 고전교육
5. 교육론(2): 예술교육
6. 교육론(3): 도덕과 민주주의
7. 나가기: 교육과 공동체
참고문헌
추가읽기
1부 개인적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
1장 몽테뉴: 나의 삶의 방식을 만드는 힘으로서 철학교육 - 경혜영
1. 몽테뉴의 생애와 저작 및 그 영향
2. 몽테뉴 교육론의 경험적 바탕: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론과 공교육의 영향
3. 몽테뉴 교육론의 철학적 토대
4. 몽테뉴의 철학교육: 자유롭고 도덕적인 삶을 위한 교육의 요소들(체험, 습관, 실천)
5. 우리를 위한 몽테뉴
참고문헌
추가읽기
2장 파스칼: 변증론을 위한 교육 - 장성민
1. 파스칼의 생애 및 교육적 배경
2. 교육의 일차적 목적: 교양 또는 교양인
3. 교육 방법론: 설득의 기술
4. 교육의 궁극적 목적: 초자연적 사랑의 질서
참고문헌
3장 스피노자: 기계론과 성장, 그리고 교육 - 김은주
1. 들어가기
2. 스피노자의 이력과 교육
3. 고전 시대 아이의 지위와 스피노자
4. 운동과 정지의 관계로 본 개체와 교육자의 역할
5. 정서 복합체로 본 개체와 교육자의 역할
6. 나가기
참고문헌
2부 공동체 행복 실현을 위한 교육론
4장 베이컨: 근대적 계몽과 근본적 자기 성찰을 위한 교육 - 김시형
1. 인간 본질과 현재 상태 간의 괴리
2. 기술과 학문을 통한 잃어버린 피조물에 대한 지배 회복
3. 인간의 창조적 능력 자각과 계몽주의
4. 인간은 왜 타락했는가
5. 지식과 믿음의 관계
6. 인간영혼 분석
7. 종교의 본질: 지혜와 카리타스
8. 학문과 지혜의 통일
9. 미래의 인간
추가읽기
5장 홉스: 시민교육의 모델 찾기 - 김용환
1. 들어가기
2.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유년기 교육의 중요성
3. 대학 교육의 빛과 그림자
4. 홉스 철학에서 수사학 교육의 중요성
5. 의무교육으로서 정치교육과 도덕교육
6. 종교교육을 통한 시민교육
7. 한국 교육 상황에서 본 홉스 교육철학의 의미
참고문헌
추가읽기
6장 데카르트: 덕의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 이경희
1. 들어가기
2. 교육의 가능성
3. 도덕철학
4. 정념의 정복
5. 관대함
6. 정신, 신체 그리고 인간
7. 나가기
참고문헌
추가읽기
7장 로크: 이성의 힘보다 강한 습관의 힘 - 이재영
1. 들어가기
2. 『교육론』과 『지성지도론』의 주요 내용
3. 가소성 테제
4. 인간 본성 백지설은 옳은가
5. 습관과 이성
6. 나가기
참고문헌
8장 흄: 공감, 상상력 그리고 문예교육 - 최희봉·양선이
1. 들어가기
2. 흄의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3. 문예교육과 인간의 행복
참고문헌
추가읽기
9장 루소: 인간교육과 시민교육 - 폴 앙투안 미켈 (황수영 옮김)
1. 들어가기
2. 인간이라는 감정
3. 자연 교육의 첫 번째 단계 유아기
4. 자연 교육의 두 번째 단계 아동기
5. 자연 교육의 세 번째 단계 소년기
6. 시민이라는 감정
7. 나가기
추가읽기
10장 칸트: 계몽의 실현 방법으로서 교육 - 김성호
1. 칸트의 『교육학 강의』와 그것의 문제점
2. 교육의 형식
3. 자유와 강제의 문제
4. 도덕교육에로의 접근
5.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 문답법
참고문헌
11장 실러: 예술을 통한 자유시민 교육 - 윤선구
1. 들어가기
2. 실러 교육철학의 목적으로서 도덕국가의 실현
3. 도덕국가 실현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
4. 인간 본성의 이탈과 전체성 실현을 위한 교육 원리
5. 유희와 자유
6. 예술을 통한 인성교육의 원리: 물리적 유희에서 미적 유희로의 전환
7. 나가기
참고문헌
12장 헤겔: 스스로 생각하기 - 김성환
1. 스스로 생각하기 대신 배움
2. 독일 만다린
3. 스스로 생각하기로 반전
4. 반전의 모델, 주인과 노예의 관계
5. 소외된 정신은 산교육
참고문헌
추가읽기
13장 베르그손: 탈-형성의 교육학 - 주재형
1. 들어가기: 베르그손의 교육학
2. 양식: 교육의 목표
3. 탈-형성의 원리
4. 교육론(1): 고전교육
5. 교육론(2): 예술교육
6. 교육론(3): 도덕과 민주주의
7. 나가기: 교육과 공동체
참고문헌
추가읽기
책 속으로
몽테뉴의 교육관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배려로 받은 가정교육과 공교육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에서 출발하고 있다. 상인 가문 출신인 그의 아버지는 이탈리아에서 교육법에 대한 충고를 받고 아들 미셸의 언어교육에 많은 신경을 썼다. 특히 그는 아들이 라틴어에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유아 시절부터 프랑스어는 전혀 모르고 라틴어에 능숙했던 한 독일인 선생에게 맡기고, 부모는 물론 침모와 하인들까지 라틴어를 배워 미셸과 라틴어로만 말하도록 하였다.
--- p.28
파스칼의 교육 방법론은 ‘설득의 기술(l’art de persuader)’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일종의 수사학적 접근 방식이다. 본래 교육은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배우는 자 또는 대상을 어떻게 잘 설득할 수 있는가가 교육의 관건이며, 그래서 교육 방법론이 제기된다. 파스칼은 기하학 일반에 관한 고찰(Reflex-ions sur la Geometrie en General) 제2부에서 ‘설득의 기술’을 다룬다.
--- p.56
교육자는 한 개체의 수많은 부분 가운데 일부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물체에 불과하다. 또한 개체의 부분들이 이미 특정한 방식으로 운동을 주고받고 있음을 고려하면, 교육자의 개입이 그 자신의 의도대로 관철될 수 있다는 것도 환상이다. 반대로 그의 개입이 효과적이려면 한 개체로서의 아이를 이루는 수많은 부분의 역관계를 지렛대로 이용해야 한다. 아이를 둘러싼 관계를 적절하게 배치해 주는 일, 바로 이것이 스피노자적 관점에서 본 교육자의 핵심 역할일 것이다.
--- p.92
데카르트의 교육철학은 그의 도덕철학과 뗄 수 없는 관계다. 비록 데카르트가 도덕철학자로는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고 해도, 그는 1647년 철학의 원리 프랑스어판 서문에서 완벽한 도덕 체계(la plus parfaite morale)의 구성은 그의 철학 최고의 목적이 될 것이라고 분명하게 선언하였다.
--- p.170
정신적 교양은 다양한 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지성, 판단력 등을 총체적으로 교양하는 과정이다. 이와 관련되는 대표적인 능력으로 상상력, 기억력, 주의력 등을 들 수 있는데 칸트는 특히 기억력의 교양을 중요하게 여긴다. 기억력은 인류의 역사 안에서 형성된 지식과 기술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 p.291
교양은 스스로 지도하는 내면 과정이다. 학생이 교사에게 배운것은 낯익은(bekannt) 것이 된다. 그러나 헤겔에 따르면 낯익은 것은 인식된(erkannt) 것이 아니다. 어떤 것이 인식되기 위해서는 낯익음을 잃어야 한다. 이때 우리의 오성이 작동한다. 오성이 인식 대상의 낯익은 면을 대상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인식의 첫 단계이고 교양의 중요한 측면이다.
--- p.28
파스칼의 교육 방법론은 ‘설득의 기술(l’art de persuader)’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일종의 수사학적 접근 방식이다. 본래 교육은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배우는 자 또는 대상을 어떻게 잘 설득할 수 있는가가 교육의 관건이며, 그래서 교육 방법론이 제기된다. 파스칼은 기하학 일반에 관한 고찰(Reflex-ions sur la Geometrie en General) 제2부에서 ‘설득의 기술’을 다룬다.
--- p.56
교육자는 한 개체의 수많은 부분 가운데 일부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물체에 불과하다. 또한 개체의 부분들이 이미 특정한 방식으로 운동을 주고받고 있음을 고려하면, 교육자의 개입이 그 자신의 의도대로 관철될 수 있다는 것도 환상이다. 반대로 그의 개입이 효과적이려면 한 개체로서의 아이를 이루는 수많은 부분의 역관계를 지렛대로 이용해야 한다. 아이를 둘러싼 관계를 적절하게 배치해 주는 일, 바로 이것이 스피노자적 관점에서 본 교육자의 핵심 역할일 것이다.
--- p.92
데카르트의 교육철학은 그의 도덕철학과 뗄 수 없는 관계다. 비록 데카르트가 도덕철학자로는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고 해도, 그는 1647년 철학의 원리 프랑스어판 서문에서 완벽한 도덕 체계(la plus parfaite morale)의 구성은 그의 철학 최고의 목적이 될 것이라고 분명하게 선언하였다.
--- p.170
정신적 교양은 다양한 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지성, 판단력 등을 총체적으로 교양하는 과정이다. 이와 관련되는 대표적인 능력으로 상상력, 기억력, 주의력 등을 들 수 있는데 칸트는 특히 기억력의 교양을 중요하게 여긴다. 기억력은 인류의 역사 안에서 형성된 지식과 기술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 p.291
교양은 스스로 지도하는 내면 과정이다. 학생이 교사에게 배운것은 낯익은(bekannt) 것이 된다. 그러나 헤겔에 따르면 낯익은 것은 인식된(erkannt) 것이 아니다. 어떤 것이 인식되기 위해서는 낯익음을 잃어야 한다. 이때 우리의 오성이 작동한다. 오성이 인식 대상의 낯익은 면을 대상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인식의 첫 단계이고 교양의 중요한 측면이다.
--- p.340
'51.서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6.서양근대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근대종교철학 1. 2(2020) (0) | 2024.08.09 |
---|---|
서양근대철학의 열가지 쟁점 (2004) (0) | 2024.08.09 |
스피노자의 『에티카』 입문 (2016) (0) | 2024.05.17 |
세계 내 정신 (2024) - 토마스 아퀴나스의 유한한 인식의 형이상학 (0) | 2024.03.01 |
스피노자의 귀환 (2017) - 현대철학과 함께 돌아온 사유의 혁명가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