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전쟁연구 (박사전공>책소개)/5.세계냉전사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

동방박사님 2022. 9. 21. 22:14
728x90

책소개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 모두 1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12개 장이 각각 3장으로 구성된 파트로 구분되어 있다. 서론인 1장은 1958년 8.23포격이 시작되는 시점의 금문도 주민들의 경험을 첫 문장으로 시작하여 이 책의 문제의식과 논의의 배경을 제시한다.

1부 ‘부상하는 지정학화’에서는 모두 5개의 장을 할애하여 금문도가 2개의 중국 정권이 대치하는 최전선의 군사요새로 변모하는 과정과 양상을 소개한다. 2부 ‘군사화와 지정학화의 변화 과정’에서는 군사화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변모되는 금문도의 일상을 60년대 삼민주의모범현 만들기 정책과 70년대 전투촌과 지하 진먼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3부는 냉전시대의 일상이라는 범주에서 전시경제, 여성의 삶, 토속신앙과 결합된 심리전 등을 소개한다. 4부는 양안관계의 개방이후 탈군사화와 후군사화의 전개과정에 맞추어 변화를 모색해가는 금문도의 모습이 그려진다.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은 앞서 발간된 2권의 국내 연구서와 더불어 냉전시기에서 후군사화에 이르는 과정에서 최전선 지역인 금문도가 감내할 수밖에 없었던 고통과 일상의 회복 양상을 상세하게 기술한 역사서로서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평화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한반도의 과제에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7
일러두기 13
역자서문 15

제1장 서론 : 비일상적 장소에서의 일상적인 삶 25
-세계 속의 진먼 35
-책의 자료와 개요 40

PART I 부상하는 지정학화 45

제2장 구닝터우 전투 47
-구닝터우 이전의 진먼 50
-진먼과 구닝터우 52

제3장 전쟁지구의 정치, 1949-1960 63
-임시 군사화(Ad hoc militarization) 64
-전지정무에 대한 이론과 실행 68
-마을 정치 72
-감시와 억압 83
-결론 87

제4장 1954-55년 포격전 89
-전투의 기억 93

제5장 군사화와 진먼 민방자위대, 1949-1960 103
-천둥 훈련(Thunder Exercise) 111
-민방자위대 노동 114
-결론 121

제6장 1958년 포격전 125
-전투의 기억 131
-운반 137
-소개(疏開) 140
-결론 146

PART II 군사화와 지정학화의 변화 과정 149

제7장 1960년대: 삼민주의모범현(三民主義模範縣) 만들기 153
-발전 계획 155
-쥐꼬리와 위생 159
-군사화된 근대 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정치(biopolitics) 168
-경계 넘기 171
-결론 181

제8장 1970년대: 전투촌과 지하 진먼 185
-전투촌의 이론과 실제 187
-전투촌 모델의 기원 194
-전투촌의 지정학 197
-이념 교육과 대중 캠페인 202
-결론 208

PART III 냉전 시대의 일상 211

제9장 전시 경제 213
-전통 경제 216
-군사화된 발전국가 217
-산업화, 국유기업과 농업의 확대 222
-지-아이-조(G. I. Joe) 사업 231
-두 기업가 236
-지-아이-조 사업의 문제들 243
-결론 250

제10장 여성의 삶: 군영 내 공창, 행진, 동원된 근대의 상징들 255
-매춘부로서의 여성 258
-군인의 아내 270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여성 282
-군인으로서의 여성 286
-진먼의 여성 군인들 295
-결론 299

제11장 냉전의 귀신과 신 303
-애국 장군의 사당 304
-민간 신앙의 통제와 감시 306
-왕유란(王玉蘭) 숭배 308
-군인, 마을 사람, 그리고 도교 314
-지정학과 해석 양식: 유동하는 기표로서의 왕유란 322

PART IV 탈군사화와 후군사화 327

제12장 탈군사화와 후군사화 329
-진먼 민주화 운동 331
-비상사태의 종식 336
-새로운 진먼의 831 345
-밀수업자, 관광객, 소삼통(小三通) 350
-왕유란과 정체성의 정치 353
-결론 359

제13장 기억과 정치 361
-고통(suffering)의 담론 366
-행위성의 담론 370
-향수의 담론 376
-세 가지 담론의 해석 378
-결론 385

제14장 결론: 배가된 주변성 387
-세계 속의 진먼 396

부록 411

일러두기 41
 

저자 소개

저 : 마이클 스조니 (Michael Szonyi)
 
마이클 스조니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중국사 교수이자 페어뱅크 중국학 센터의 소장을 맡고 있다. 토론토대학에서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 타이완 대학과 중국의 샤먼대학에서도 연구를 수행했으며, 중국 제국 말기와 근대 중국의 사회사를 전공하고 있다. 맥길 대학교와 토론토 대학에서 가르치다가 2005 년에 하버드 대학교로 옮겼으며, 2007 년부터 인문학부 John L. Loe...
 
역 : 김민환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부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논문의 제목은 『동아시아의 평화기념공원 형성과정 비교연구: 오키나와, 타이페이, 제주의 사례를 중심으로』로서, 동아시아에서 일본제국 해체기에 발생한 전쟁 및 폭력을 ‘국가폭력’의 관점이 아닌 ‘국가를 낳은 폭력’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했다. 『포위된 평화, 굴절된 전쟁기억: 히로시마 만의 군항도시 구레 연구』(공저), 『오키...

역 : 정영신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의 제목은 『동아시아의 안보분업구조와 반기지운동에 관한 연구』로 동아시아 규모의 안보체제와 반기지평화운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동아시아의 평화와 환경, 커먼즈의 문제를 사회운동론의 시각에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오키나와 미군기지의 정치사회학』(공저), 『오키나와로 가는 길』(공저), 『포위된 평화, 굴절된 ...
 

책 속으로

50 년 동안 진먼 혹은 끼모이는 빈번하게 은유(metaphor)로서 재현되었다. 진먼은 아시아의 서베를린 혹은 중국의 디엔비엔푸(Dien Bien Phu)라고 불려왔다. 이 섬은 자유의 군대가 공산주의를 공격하기 위한 전초기지이거나, 혹은 이 섬의 함락은 자유의 군대의 실패를 의미한다는 의미에서 [공산주의 확산의 도미노 이론에서 말하는] 첫 번째 도미노이기도 하다. 두 번째 부류의 은유는 진먼의 중요성에 대한 정반대의 인상을 전파한다. 즉, 진먼을 둘러싼 갈등은 단지 [보여주기 위한] 극장(theater)일 뿐이라는 것이다.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는 잘 알려진 것처럼, 이 섬을 둘러싼 긴장을 “길버트와 설리반의 전쟁(Gilbert and Sullivanwar)”이라고 불렀다. 최근에 나는 전임 주베이징 미국대사가 타이완 해협을 “드럼과 징이 엄청나게 울리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다치지 않는 중국식 오페라”로 비유하는 것을 들었다. 나는 처음에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은유들 모두가 왜 진먼 주민들의 경험을 그렇게 잘 전달하지 못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이 책을 쓰고 싶었다.
---「머리말」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