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동아시아 냉전사의 제1막과 제2막을 역동적으로 드러낸 책
서구에서 비롯된 냉전이 동아시아에서는 어떻게 변용되었는가?
왜 한반도에서는 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가?
아시아의 냉전은 서구와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적?정치적 조건들이 서구와 완전히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지역에 대한 패권국 지도자들의 관심사가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다. 스탈린이 좋은 예다. 서구에서는 치열한 이데올로기 논쟁을 벌였던 그였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지정학적 요인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동아시아 냉전의 시작에서부터 존재했던 이러한 차이가 변화를 거치며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종국에는 또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냉전기에 일어난 많은 사건들의 인과관계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전개과정까지 예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도 전 세계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북한의 핵 개발 집착이 1940년대 소련과 1950년대 중국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북한의 핵 개발을 보는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뿐더러, 북핵 문제 해결의 단서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에 대해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1960년대 이후 중?소 갈등이나, 미?중 화해도 핵 개발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아시아 냉전 관련 연구는 대부분 미국 쪽 사료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구소련의 사료를 발굴?분석하고, 이를 미국 쪽 사료와도 비교하고 있다. 동아시아 냉전기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이 보다 입체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읽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서구에서 비롯된 냉전이 동아시아에서는 어떻게 변용되었는가?
왜 한반도에서는 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가?
아시아의 냉전은 서구와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적?정치적 조건들이 서구와 완전히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지역에 대한 패권국 지도자들의 관심사가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다. 스탈린이 좋은 예다. 서구에서는 치열한 이데올로기 논쟁을 벌였던 그였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지정학적 요인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동아시아 냉전의 시작에서부터 존재했던 이러한 차이가 변화를 거치며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종국에는 또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냉전기에 일어난 많은 사건들의 인과관계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전개과정까지 예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도 전 세계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북한의 핵 개발 집착이 1940년대 소련과 1950년대 중국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북한의 핵 개발을 보는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뿐더러, 북핵 문제 해결의 단서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에 대해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1960년대 이후 중?소 갈등이나, 미?중 화해도 핵 개발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아시아 냉전 관련 연구는 대부분 미국 쪽 사료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구소련의 사료를 발굴?분석하고, 이를 미국 쪽 사료와도 비교하고 있다. 동아시아 냉전기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이 보다 입체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읽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목차
제1장 - 아시아 냉전의 시작
1. 이데올로기·지정학·핵을 둘러싼 ‘차가운 전쟁’
2. 얄타 협정에서 냉전으로
3. 스탈린의 냉전 외교
4. 핵 문제의 출현
제2장 - 중국 혁명과 중·소 동맹(1949~1960)
1. 얄타 체제와 동아시아-스탈린의 딜레마
2. 소련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
3. 중국 내전과 중국 동북부
4. 아시아의 동맹 논의
5.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과 동맹
6. 일본에 끼친 영향 - 공산당의 분열
제3장 - 북한-건국·전쟁·자주
1. 소련과 북한
2. 점령 권력과 북한 엘리트
3. 한국전쟁의 원인
4. 전쟁의 과정과 결과
5. 한국전쟁과 샌프란시스코 강화(講和) - 미·일 동맹으로
6. 전후의 북한 - 1956년 위기
제4장 - 소련과 아시아, 거짓 동맹(1954~1964)
1. 스탈린 사후(死後)
2. 동맹의 재정의
3. 스탈린 비판과 아시아 - 원심화·분권화
4. ‘제국(帝國)’의 재편
5. 핵 문제를 둘러싼 동맹 위기
6. 중·소 논쟁 - 무장 대치 상황
7. 몽골 문제 - ‘소련의 한 공화국’화
8. 북한과의 동맹
제5장 - 중·소 냉전과 아시아 냉전(1964~1984)
1. 변동하는 아시아의 정치 환경 - 두 개의 냉전
2. 문화대혁명의 혼란 - 모택동의 인민전쟁론
3. 베트남전쟁의 그늘
4. 중·소 전쟁 - 사회주의 국가 간의 군사충돌
5. 미·중, 일·중의 화해 - 닉슨과 다나카(田中)의 방중
6. 모택동의 사후, 중·소 접근 - 화해의 움직임
7. 아프가니스탄 침공 - 신(新)냉전으로의 전환
8. 브레즈네프의 사망에서 안드로포프의 개혁으로-페레스트로이카의 전조(前兆)
제6장 - 소련의 붕괴와 아시아
1.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붕괴 - 고르바초프의 도박
2. 중·소, 중·러 관계의 새로운 전개
3. 북한 - 고립에서 위기로
4. 글로벌화하는 한국 - 북한을 따돌리다
5. 베트남의 도이모이(쇄신) - 보수적 개혁의 시도
6. 몽골의 고민 - 일당지배의 붕괴
제7장 - 21세기의 아시아
1. 아시아의 구조 변용
2. 러시아의 아시아 시프트(Shift)
3. 핵 확산과 한반도
4. 9·11 테러 사건, 이라크전쟁과 동아시아
5. 6자 회담이라는 메커니즘
저자 후기
아시아 냉전사략 연표
참고문헌
색인
역자 후기
1. 이데올로기·지정학·핵을 둘러싼 ‘차가운 전쟁’
2. 얄타 협정에서 냉전으로
3. 스탈린의 냉전 외교
4. 핵 문제의 출현
제2장 - 중국 혁명과 중·소 동맹(1949~1960)
1. 얄타 체제와 동아시아-스탈린의 딜레마
2. 소련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
3. 중국 내전과 중국 동북부
4. 아시아의 동맹 논의
5.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과 동맹
6. 일본에 끼친 영향 - 공산당의 분열
제3장 - 북한-건국·전쟁·자주
1. 소련과 북한
2. 점령 권력과 북한 엘리트
3. 한국전쟁의 원인
4. 전쟁의 과정과 결과
5. 한국전쟁과 샌프란시스코 강화(講和) - 미·일 동맹으로
6. 전후의 북한 - 1956년 위기
제4장 - 소련과 아시아, 거짓 동맹(1954~1964)
1. 스탈린 사후(死後)
2. 동맹의 재정의
3. 스탈린 비판과 아시아 - 원심화·분권화
4. ‘제국(帝國)’의 재편
5. 핵 문제를 둘러싼 동맹 위기
6. 중·소 논쟁 - 무장 대치 상황
7. 몽골 문제 - ‘소련의 한 공화국’화
8. 북한과의 동맹
제5장 - 중·소 냉전과 아시아 냉전(1964~1984)
1. 변동하는 아시아의 정치 환경 - 두 개의 냉전
2. 문화대혁명의 혼란 - 모택동의 인민전쟁론
3. 베트남전쟁의 그늘
4. 중·소 전쟁 - 사회주의 국가 간의 군사충돌
5. 미·중, 일·중의 화해 - 닉슨과 다나카(田中)의 방중
6. 모택동의 사후, 중·소 접근 - 화해의 움직임
7. 아프가니스탄 침공 - 신(新)냉전으로의 전환
8. 브레즈네프의 사망에서 안드로포프의 개혁으로-페레스트로이카의 전조(前兆)
제6장 - 소련의 붕괴와 아시아
1.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붕괴 - 고르바초프의 도박
2. 중·소, 중·러 관계의 새로운 전개
3. 북한 - 고립에서 위기로
4. 글로벌화하는 한국 - 북한을 따돌리다
5. 베트남의 도이모이(쇄신) - 보수적 개혁의 시도
6. 몽골의 고민 - 일당지배의 붕괴
제7장 - 21세기의 아시아
1. 아시아의 구조 변용
2. 러시아의 아시아 시프트(Shift)
3. 핵 확산과 한반도
4. 9·11 테러 사건, 이라크전쟁과 동아시아
5. 6자 회담이라는 메커니즘
저자 후기
아시아 냉전사략 연표
참고문헌
색인
역자 후기
'23.전쟁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5.세계냉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0) | 2022.09.21 |
---|---|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 (0) | 2022.09.21 |
냉전의 역사 (0) | 2022.09.21 |
냉전과 신중국 외교형성 (1949~1955) (0) | 2022.09.21 |
붉은 아시아 : 1945~1991 동아시아 냉전의 재인식 (0) | 202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