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정치의 이해 (독서>책소개)/9.정치외교학일반

아나키즘의 도덕적 기초 (2024) - 아나키즘 도덕의 계보학

동방박사님 2025. 2. 18. 08:07
728x90

책소개
만물은 서로 돕는다.

이 책은 인간의 기저 구조를 탐험한다. 거기에서 아나키스트의 정신, 도덕성, 사상의 골간(骨幹)을 발견한다. 요컨대, 이 책은 아나키즘 도덕의 계보학이다. 

크로포트킨은 이 책에서 도덕이라는 명분으로 사회 곳곳에 채택된 위선을 들추고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아나키즘 도덕의 계보를 생물계에서 추출하는데, 동물학자로서 오랜 세월 동안 자연계를 관찰한 결과로, “상호부조”가 생물체 진화의 중요한 축이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인간과 동물의 기본 생활이자 진화 방식을 정직하게 짚는다. 

누군가를 배제하고 파괴하면서 자리를 차지하는 대신, 서로 돕고 공유하고 상생하면서 공존하는 방향을 이야기한다.

생물 종의 이러한 상호부조는 크로포트킨의 아나키즘 사상의 토대를 구축한다. 

그의 아나키즘 도덕 계보학에는 “종교적 영감”이나 “신비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도덕은 종교와 신비주의에서 파생된 이상론을 행동의 뿌리로 삼지 않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삶의 모든 형태를 그 뿌리로 삼는다. 

인간이 타자와 맺는 관계에서 “동정심”, 즉 “공감 능력”을 발견한다. 

우리는 타자와 공존함으로써, 홉스의 야만을 뛰어넘을 수 있다. 

이는 연대의 길이며 반다윈(Anti-Darwin)과 반홉스(Anti-Hobbes)의 길이다. 

그는 권위주의와 공포에 기초한 “사회적 처벌”과 “종교법”을 모두 규탄한다. 

아나키즘의 도덕은 개인의 자발성과 헌신을 통해 공동체 생활의 싹을 틔운다. 

공동체가 좌충우돌 하지 않도록, “정의”가 조정자 역할을 한다. 

또한, 그렇게 대중 속으로 투신하는 아나키스트를 요구한다.

 타자를 위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자발적으로” 봉사하고 헌신하는 삶이야말로 가장 창조적인 삶이다. 

이러한 삶의 실천이 타자와의 진정한 연대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상호부조의 본능”은 “민중 지향성”에 충직할 뿐, 이기주의냐 이타주의냐의 해묵은 이분법을 뛰어넘는다.

목차
서론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크로포트킨의 생애

저자 소개
저 :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크로포트킨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과학자, 사회사상가이며 지리학자. 러시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시베리아에서 육군 장교로 근무하는 동안 지리학적 탐사활동을 하면서 중요한 연구들을 발표했다.

 지리학, 동물학, 사회학, 역사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지만 세속적인 출세의 길을 버리고 혁명가의 길을 선택했으며, 귀족 세습권도 포기하고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해 일생을 헌신했다. 

서유럽에서 30여 년간에 걸...

역 : 안성헌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 개신교신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현시대 인간론 재구성, 탈성장과 정치생태학, 종교와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 본서를 비롯해, 자끄 엘륄의『 마르크스 사상』(대장간 2013), 『마르크스의 후계자』(대장간 2015),『 혁명에서 반란으로』(대장간 2019),『 생태감수성의 혁명적 힘』(비공 2021),『 기술담론의 허세』(대장간 20...

책 속으로
우리는 타자와 공존함으로써, 홉스의 야만을 뛰어넘을 수 있다.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원리는 생존 투쟁이 아니다. 

자아와 타자의 자발적 상호협력이 삶 그 자체를 지탱하는 원칙이다. 

크로포트킨의 관점을 따라 말하면, 인간에게나 동물에게나 “존재”는 언제나 “너와 함께 존재함”이며, “너와 함께 존재함”이란 “너를 위해 존재함”이다.
--- p.16

동물의 세계는 그보다 훨씬 효과적이며 색다른 토대를 갖고 있다. 

곤충에서 사람에 이르는 동물의 세계는 굳이 성서나 철학 서적을 들춰 보지 않더라도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악한지를 완벽하게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본성의 욕구 때문이다.

 말하자면, 종족 보존의 욕구를 가진 동물의 세계는 저마다 선악을 완벽하게 구별하며, 각 개체는 자신에게 가장 큰 행복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나름대로 선과 악을 구분한다.
--- p.48

동물의 선악 관념은 인간의 관념과 완전히 똑같다.

 심지어 그것은 어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로 분리된 각각의 종을 대표하는 생물에게 동일하게 나타난다. … 

개미도 알고, 참새도 안다. 자기 사회에 ‘유용’하면, 그것은 ‘선’이다. ‘해’를 끼친다면, 그것은 ‘악’이다.
--- p.51~53

동물 세계 전반을 관찰하면서 도출된 도덕성, 이전 시대의 도덕성보다 차원 높은 도덕성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같은 상황에서, 남이 네게 행하기 원하는 일을 너도 남에게 ‘행하라.’”일 것이다.
--- p.56~57

연대감이야말로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든 동물의 생활을 지배하는 특징 중의 특징이라고 본다. 

수리는 참새를 먹이로 삼고, 늑대는 들쥐를 잡아먹는다. 

그러나 수리와 늑대는 사냥 과정에서 서로를 돕고, 참새와 들쥐도 서로 연대하여 육식동물에게서 자신을 지킨다. 얼치기들만 이들의 발톱에 걸려든다. 

모든 동물 사회에서 연대는 하나의 자연 법칙(일반 사태)이다. 

이는 부르주아가 우리를 멍청하게 만들 요량으로 무한 반복하는 미덕의 찬가인 ‘생존 투쟁’보다 더 중요하다.
--- p.63

동물 세계의 발달에 가장 큰 부분, 어쩌면 무한대와 같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연대”다. 다시 말해, 개별 이익 확보를 위해 개체와 개체 사이에 투쟁이 벌어지고, 

그 투쟁의 결과물에 대한 적응보다 상호부조의 연대성이 동물계 진화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했다.
--- p.67

인간은 연대라는 큰 방향을 설정하고, 그 속에서 하나의 길을 만든다. 

연대야말로 인간과 자연을 대립시키는 장애 요소 중에서, 미약한 제 종족을 보존할 수 있는 길이며, 자기 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길이다.
--- p.68

미래의 인류가 담고 살아야 할 인간다운 덕성, 곧 ‘도덕성’은 언제, 어디에 도래하는가? 

아마도 우리 아이들이 ‘손익계산’을 멈추고 만물, 에너지, 용기, 사랑을 최고의 가치로 활용할 줄 아는 곳에서 도래할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그 힘을 사용하고픈 욕구를 생생하게 느끼고 늘 그러한 생각을 안고 자랄 때 도래할 것이다.

 이러한 용기와 헌신은 시대마다 존재했다.

 우리는 모든 동물에게서 이러한 용기와 헌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몰락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서도 우리는 그 용기와 헌신을 볼 수 있다.
--- p.97

기오는 용기와 헌신을 ‘자기 고유한 힘에 대한 각성’이라고 말했다.

 즉, ‘차고 넘치는 생명력, 끝없이 확장하려는 생명력’이다. “행할 ‘수 있는’ 것을 내면 깊이 느끼라. 바로 거기에서 행동해야 할 의무를 처음으로 의식하게 되리라.”
--- p.98

의무는 자기 실천과 자기 증여를 요구하는 생명의 풍성함과 다르지 않다. 

동시에, 의무는 힘에 대한 자각이다.

 누적된 모든 힘이 그 앞에 놓인 장애물들에 압박을 가한다. 

행동할 ‘능력’이 있는 사람은 행동할 ‘의무’를 가진 사람이다. 이 모든 도덕적 ‘의무’에 관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했고 글도 썼다.

 그러나 거기에 덧씌워진 모든 신비주의를 걷어내고 진짜 개념으로 좁혀서 정리하면, ‘생명은 확장될 때에만 유지될 수 있다’일 것이다. 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을 수 없다. 

때로 개화는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얼마나 큰 불행인가! 그럼에도, 생명의 수액은 계속 흐른다!”
--- p.98~99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자신의 고통을 위한 눈물보다 더 많은 눈물이 있으며, 자연스럽게 누려도 무방한 행복의 기쁨보다 더 많은 기쁨이 있다.
--- p.101~102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97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