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첫 발을 내딛다 7
1.1 남한산성이 눈에 밟히다 11
1.2 서설 13
1.3 남한산성 전경 15
1.4 이정표가 없는 남한산 17
1.5 남한산성 축적의 역사 19
1.6 남한산성 축성법 21
1.7 남한산성 탐방로 23
1.8 남한산성 옛길 25
1.9 한양삼십리누리길 27
2. 남한산성에 푹 빠지다 31
2.1 만물을 일으키는 일출 33
2.2 용광로 35
2.3 첫발 37
2.4 수묵화1 39
2.5 수묵화2 41
2.6 용틀임 43
2.7 성곽 - 봄 45
2.8 봄의 전령 49
2.9 성곽 - 여름 51
2.10 여름꽃 53
2.11 성곽 - 가을 55
2.12 가을꽃 57
2.13 겨울꽃, 벗음의 미학 59
2.14 성곽 - 겨울 61
2.15 호연지기 63
2.16 연결 65
2.17 햇빛의 감사 67
2.18 보이지 않아도 길은 있다 69
2.19 길은 이어진다 71
3. 몸을 힐링하다 75
3.1 1222 계단 77
3.2 다리 근육을 키우는 계단 79
3.3 1코스: 장수의 길 81
3.4 2코스: 국왕의 길 83
3.5 3코스: 승병의 길 85
3.6 4코스: 옹성의 길 87
3.7 5코스: 산성의 길 89
3.8 이성산성길 91
3.9 시간과 체력에 맞는 등산 코스 93
3.10 산속 체력단련 95
3.11 산행 후에는 막걸리 97
3.12 닭죽 99
4. 마음을 힐링하다 103
4.1 지키는 자의 길과 뺏으려는 자의 길··105
4.2 술 깨는 바위 107
4.3 생명력 109
4.4 걷다보면 도착한다 111
4.5 피안 113
4.6 비상 115
4.7 동행 117
4.8 억겁의 시간 119
4.9 역사와의 만남 121
4.10 반창고 123
4.11 역사란 무엇인가 125
4.12 500년의 흔적 127
4.13 귀천 129
4.14 생명Ⅰ 131
4.15 생명Ⅱ 133
4.16 묵상 135
4.17 표현하는 인간 137
4.18 다람쥐의 어부지리 139
4.19 윤회 141
4.20 두꺼비 만나는 행운 143
4.21 겸허 145
4.22 열녀비를 보며 다양성을 생각하다 147
4.23 서광 149
4.24 밥 짓는 풍경 151
4.25 무심 153
4.26 맨홀 뚜껑도 남다르다 155
4.27 우공이산 157
4.28 사라지는 아쉬움 159
5. 문화에 푹 빠지다 163
5.1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11번째 등재 165
5.2 동문(좌익문) 167
5.3 서문(우익문) 169
5.4 남문(지화문) 171
5.5 북문(전승문) 173
5.6 행궁 175
5.7 수어장대 177
5.8 청량당 179
5.9 숭렬전 181
5.10 현절사 183
5.11 침괘정 185
5.12 연무관 187
5.13 지수당 189
5.14 군포지 191
5.15 효종갱 193
5.16 광주 향교 195
5.17 제1, 2, 3 옹성 197
5.18 연주봉 옹성, 장경사신지 옹성 199
5.19 암문 201
5.20 성가퀴(여장) 203
5.21 신남성 돈대 205
5.22 벌봉 207
5.23 한봉 209
5.24 만해 기념관 211
5.25 남한산 초등학교 213
5.26 의병 215
5.27 남한산성 비석군 217
5.28 송수탑 219
5.29 삼전도비 221
5.30 장경사 동종 223
5.31 영월정 225
6 역사에 푹 빠지다 229
6.1 청나라는 어떻게 6일 만에 내려왔나? 231
6.2 조선군은 왜 후방 공격을 못 했나? 233
6.3 청나라는 왜 조선을 쳤고, 항복 받고 바로 철수했나? 235
6.4 소현세자 독살사건 237
6.5 항일 독립 운동 239
7. 설화에 빠지다 243
7.1 호랑이 245
7.2 이회 장군 247
7.3 매바위 249
7.4 황진이와 송암정 251
7.5 서흔남 253
7.6 효자우물 55
7.7 온조왕과 숭렬전 257
7.8 국청사 우물 259
8. 종교의 성지 263
8.1 망월사 265
8.2 장경사 267
8.3 국청사 269
8.4 개원사 271
8.5 남단사터 273
8.6 동림사터 275
8.7 영원사터 277
8.8 좌전과 우실 279
8.9 순교자 현양비 281
8.10 한옥 성당 283
8.11 100년 교회 285
8.12 굿당 287
9. 마지막 발을 들이며 291
1.1 남한산성이 눈에 밟히다 11
1.2 서설 13
1.3 남한산성 전경 15
1.4 이정표가 없는 남한산 17
1.5 남한산성 축적의 역사 19
1.6 남한산성 축성법 21
1.7 남한산성 탐방로 23
1.8 남한산성 옛길 25
1.9 한양삼십리누리길 27
2. 남한산성에 푹 빠지다 31
2.1 만물을 일으키는 일출 33
2.2 용광로 35
2.3 첫발 37
2.4 수묵화1 39
2.5 수묵화2 41
2.6 용틀임 43
2.7 성곽 - 봄 45
2.8 봄의 전령 49
2.9 성곽 - 여름 51
2.10 여름꽃 53
2.11 성곽 - 가을 55
2.12 가을꽃 57
2.13 겨울꽃, 벗음의 미학 59
2.14 성곽 - 겨울 61
2.15 호연지기 63
2.16 연결 65
2.17 햇빛의 감사 67
2.18 보이지 않아도 길은 있다 69
2.19 길은 이어진다 71
3. 몸을 힐링하다 75
3.1 1222 계단 77
3.2 다리 근육을 키우는 계단 79
3.3 1코스: 장수의 길 81
3.4 2코스: 국왕의 길 83
3.5 3코스: 승병의 길 85
3.6 4코스: 옹성의 길 87
3.7 5코스: 산성의 길 89
3.8 이성산성길 91
3.9 시간과 체력에 맞는 등산 코스 93
3.10 산속 체력단련 95
3.11 산행 후에는 막걸리 97
3.12 닭죽 99
4. 마음을 힐링하다 103
4.1 지키는 자의 길과 뺏으려는 자의 길··105
4.2 술 깨는 바위 107
4.3 생명력 109
4.4 걷다보면 도착한다 111
4.5 피안 113
4.6 비상 115
4.7 동행 117
4.8 억겁의 시간 119
4.9 역사와의 만남 121
4.10 반창고 123
4.11 역사란 무엇인가 125
4.12 500년의 흔적 127
4.13 귀천 129
4.14 생명Ⅰ 131
4.15 생명Ⅱ 133
4.16 묵상 135
4.17 표현하는 인간 137
4.18 다람쥐의 어부지리 139
4.19 윤회 141
4.20 두꺼비 만나는 행운 143
4.21 겸허 145
4.22 열녀비를 보며 다양성을 생각하다 147
4.23 서광 149
4.24 밥 짓는 풍경 151
4.25 무심 153
4.26 맨홀 뚜껑도 남다르다 155
4.27 우공이산 157
4.28 사라지는 아쉬움 159
5. 문화에 푹 빠지다 163
5.1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11번째 등재 165
5.2 동문(좌익문) 167
5.3 서문(우익문) 169
5.4 남문(지화문) 171
5.5 북문(전승문) 173
5.6 행궁 175
5.7 수어장대 177
5.8 청량당 179
5.9 숭렬전 181
5.10 현절사 183
5.11 침괘정 185
5.12 연무관 187
5.13 지수당 189
5.14 군포지 191
5.15 효종갱 193
5.16 광주 향교 195
5.17 제1, 2, 3 옹성 197
5.18 연주봉 옹성, 장경사신지 옹성 199
5.19 암문 201
5.20 성가퀴(여장) 203
5.21 신남성 돈대 205
5.22 벌봉 207
5.23 한봉 209
5.24 만해 기념관 211
5.25 남한산 초등학교 213
5.26 의병 215
5.27 남한산성 비석군 217
5.28 송수탑 219
5.29 삼전도비 221
5.30 장경사 동종 223
5.31 영월정 225
6 역사에 푹 빠지다 229
6.1 청나라는 어떻게 6일 만에 내려왔나? 231
6.2 조선군은 왜 후방 공격을 못 했나? 233
6.3 청나라는 왜 조선을 쳤고, 항복 받고 바로 철수했나? 235
6.4 소현세자 독살사건 237
6.5 항일 독립 운동 239
7. 설화에 빠지다 243
7.1 호랑이 245
7.2 이회 장군 247
7.3 매바위 249
7.4 황진이와 송암정 251
7.5 서흔남 253
7.6 효자우물 55
7.7 온조왕과 숭렬전 257
7.8 국청사 우물 259
8. 종교의 성지 263
8.1 망월사 265
8.2 장경사 267
8.3 국청사 269
8.4 개원사 271
8.5 남단사터 273
8.6 동림사터 275
8.7 영원사터 277
8.8 좌전과 우실 279
8.9 순교자 현양비 281
8.10 한옥 성당 283
8.11 100년 교회 285
8.12 굿당 287
9. 마지막 발을 들이며 291
출판사 리뷰
남한산성은 인조에게는 치욕이었다. 이 역사적 사실을 김훈은 소설로 그려냈고, 황동혁은 영화로 보여 주었다면, 필자는 해방일지를 썼다.
지난 5월에 끝난 jtbc 드라마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는 탁월한 실존적 반복과 화제성 있는 대사로 화제가 되었다. “견딜수 없이 촌스런 삼남매의 견딜 수 없이 사랑스러운 행복 소생기”에서 각자의 해방은 타인을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하고, 삶의 목표를 찾는 모습을 그렸다. 남한산성을 걸으며 필자가 찾은 해방은 ‘매주 남한산성에 오르는 루틴’이다. 걷는 자체로 즐겁고, 걸을 수 있어 감사하고, 걸어서 몸과 정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걸으면서 상념을 정리하고, 걷다보면 자연스럽게 인사이트도 얻게 되고, 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남한산성을 걷는 것은 ‘기투’다. 이 단어가 남한산성을 걷는 궤적을 잘 설명한다는 생각이 든다. 〈철학도해사전〉을 쓴 페터 쿤츠만 등은 기투(projection)를 ‘자신을 의도적, 의식적으로 자신의 가능성을 향해 내던지며, 그로 인해 자기 자신을 확인하는 행위’이다. 필자가 찾은 해방의 의미와 궤를 같이한다.
남한산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계기는 남한산성 성곽이 바라보이는 동네로 이사 오면서부터다. 2020년 12월 이사한 후 서설이 내리던 첫 주말인 12월 13일부터 특별한 일이 아니면 매주 토요일 아침 산에 오른다. 햇수로 3년이 됐으니 분명한 루틴이 생겼다. 주말 루틴이 생기면 좋은 점이 많다. 우선 주말에 게을러지지 않는다. 평소처럼 6시에 일어나면 산에 다녀와도 늦잠 자고 일어나는 시간과 비슷하므로 하루가 길다. 다음으로 건강해진다. 남한산성을 한 바퀴 돌고 오는 거리가 15km 정도로 4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 일주일간의 스트레스를 날리고 새로운 한 주를 맞는 기(氣)를 받는 듯하다. 또한, 무엇을 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다. 토요일 아침이 되면 몸이 알아서 저절로 남한산성으로 움직인다.
남한산성에 처음 올랐을 때는 길을 몰라 헤매고 다녔다. 6개월 정도 매주 다니다 보니 남한산성 지도도 그리겠는데, 청나라가 침입해 왔을 때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몽진을 했고, 끝내 삼전도에서 항복했다는 정도의 슬픈 역사적 사실 외에는 별로 아는 게 없었다. 그러면서 남한산성과 병자호란에 엮인 역사에 대해서 새록새록 궁금증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신봉승의 소설 『남한산성』부터 김훈 소설 『남한산성』, 서울대 구범진 교수의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등 상당한 양의 책들을 읽으면서 역사까지 나름 체계가 섰다. 매주 주말 남한산성을 오르며 느낀 사실과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 보고 싶은 마음이 시나브로 자리를 잡았다. 재미있는 설화도 많이 있다. 매바위, 장경사, 수어장대, 황진이, 효자우물, 서흔남, 숭렬전 등에 얽힌 이야기도 흥미롭다.
남한산성은 1971년 ‘경기도 남한산성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울 근교의 유일한 80~100년생 소나무 군락지를 갖고 있다. 1954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도 지정되었으나, 1960년 4·19 민주화 혁명 이후 무효화되었다. 결국 국립공원 1호는 1967년 지정된 지리산이 차지하였다.
이 책을 쓰게 된 또 다른 계기는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함이다. 지금까지 단독으로 5권의 책을 쓰고, 1권을 번역하고, 1권은 7명이 공동으로 저술하였는데, 모두 딱딱한 책이다. 2010년 프로듀서로 참여한 KBS2 TV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나 2013년 KBS2 TV에서 방송한 〈동백꽃 필 무렵〉처럼 특정한 연령대나 시청층 또는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연령과 성별과 관계없이 읽을 수 있는 대중서를 써보고 싶었다.
1년여 남한산성을 매 주말 오르내리는 찐 남한산성 팬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남한산성을 더 자주 찾았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결국 남한산성은 나를 환대했고, 나는 남한산성을 추앙한다.
2022년 6월, 남한산성을 바라보며....
지난 5월에 끝난 jtbc 드라마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는 탁월한 실존적 반복과 화제성 있는 대사로 화제가 되었다. “견딜수 없이 촌스런 삼남매의 견딜 수 없이 사랑스러운 행복 소생기”에서 각자의 해방은 타인을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하고, 삶의 목표를 찾는 모습을 그렸다. 남한산성을 걸으며 필자가 찾은 해방은 ‘매주 남한산성에 오르는 루틴’이다. 걷는 자체로 즐겁고, 걸을 수 있어 감사하고, 걸어서 몸과 정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걸으면서 상념을 정리하고, 걷다보면 자연스럽게 인사이트도 얻게 되고, 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남한산성을 걷는 것은 ‘기투’다. 이 단어가 남한산성을 걷는 궤적을 잘 설명한다는 생각이 든다. 〈철학도해사전〉을 쓴 페터 쿤츠만 등은 기투(projection)를 ‘자신을 의도적, 의식적으로 자신의 가능성을 향해 내던지며, 그로 인해 자기 자신을 확인하는 행위’이다. 필자가 찾은 해방의 의미와 궤를 같이한다.
남한산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계기는 남한산성 성곽이 바라보이는 동네로 이사 오면서부터다. 2020년 12월 이사한 후 서설이 내리던 첫 주말인 12월 13일부터 특별한 일이 아니면 매주 토요일 아침 산에 오른다. 햇수로 3년이 됐으니 분명한 루틴이 생겼다. 주말 루틴이 생기면 좋은 점이 많다. 우선 주말에 게을러지지 않는다. 평소처럼 6시에 일어나면 산에 다녀와도 늦잠 자고 일어나는 시간과 비슷하므로 하루가 길다. 다음으로 건강해진다. 남한산성을 한 바퀴 돌고 오는 거리가 15km 정도로 4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 일주일간의 스트레스를 날리고 새로운 한 주를 맞는 기(氣)를 받는 듯하다. 또한, 무엇을 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다. 토요일 아침이 되면 몸이 알아서 저절로 남한산성으로 움직인다.
남한산성에 처음 올랐을 때는 길을 몰라 헤매고 다녔다. 6개월 정도 매주 다니다 보니 남한산성 지도도 그리겠는데, 청나라가 침입해 왔을 때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몽진을 했고, 끝내 삼전도에서 항복했다는 정도의 슬픈 역사적 사실 외에는 별로 아는 게 없었다. 그러면서 남한산성과 병자호란에 엮인 역사에 대해서 새록새록 궁금증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신봉승의 소설 『남한산성』부터 김훈 소설 『남한산성』, 서울대 구범진 교수의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등 상당한 양의 책들을 읽으면서 역사까지 나름 체계가 섰다. 매주 주말 남한산성을 오르며 느낀 사실과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 보고 싶은 마음이 시나브로 자리를 잡았다. 재미있는 설화도 많이 있다. 매바위, 장경사, 수어장대, 황진이, 효자우물, 서흔남, 숭렬전 등에 얽힌 이야기도 흥미롭다.
남한산성은 1971년 ‘경기도 남한산성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울 근교의 유일한 80~100년생 소나무 군락지를 갖고 있다. 1954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도 지정되었으나, 1960년 4·19 민주화 혁명 이후 무효화되었다. 결국 국립공원 1호는 1967년 지정된 지리산이 차지하였다.
이 책을 쓰게 된 또 다른 계기는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함이다. 지금까지 단독으로 5권의 책을 쓰고, 1권을 번역하고, 1권은 7명이 공동으로 저술하였는데, 모두 딱딱한 책이다. 2010년 프로듀서로 참여한 KBS2 TV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나 2013년 KBS2 TV에서 방송한 〈동백꽃 필 무렵〉처럼 특정한 연령대나 시청층 또는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연령과 성별과 관계없이 읽을 수 있는 대중서를 써보고 싶었다.
1년여 남한산성을 매 주말 오르내리는 찐 남한산성 팬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남한산성을 더 자주 찾았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결국 남한산성은 나를 환대했고, 나는 남한산성을 추앙한다.
2022년 6월, 남한산성을 바라보며....
'21.여행박사 (독서>책소개) > 1.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혼자 강원도 여행 - 일상이 고고학 (0) | 2022.11.05 |
---|---|
심승지의 풍수기행 (0) | 2022.11.05 |
함께 떠나는 문학관 여행 : 38곳 이야기 (0) | 2022.08.29 |
인천 : 대한민국 도슨트 (0) | 2022.05.04 |
공주.부여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