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폭력연구 (독서)/1.국가폭력

관동대지진과 식민지 조선 (2020)

동방박사님 2023. 9. 4. 07:15
728x90

책소개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지도 벌써 100주년을 앞두고 있다. 2013년 관동대지진 90주년을 맞아 사회적으로 반짝 관심을 가졌지만 1년이 지난 2014년부터 점차 잊힌 역사가 되어 기억의 저편으로 점점 멀어져갔다. 이렇게 잊혀 가는 역사가 된 것은 관동대지진이 일본에서 일어난 일본의 역사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동대지진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인식 때문에 국내에서는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그런 점에서 관동대지진의 연구는 재일사학자에 의해 먼저 시작되었다. 그리고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는 ‘재일조선인 학살’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연구는 식민지 조선과 관동대지진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나아가 한국근대사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는 역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적으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관동대지진에 대해서 폭넓게 다루지 못하는 한계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관동대지진 재일조선인 학살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학살당한 재일조선인의 수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연구의 공간이 ‘일본’이었다는 점을 아쉬워하던 저자는 좀 더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 하다가 관동대지진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의 동향은 어떠하였을까 하는 생각이 미치게 되었다. 평소 신문을 통해 식민지의 동향을 파악하던 필자는 관동대지진 당시 신문 보도에 대해 보다 관심을 집중하였고, 나름대로 주제를 설정해 보았다. 이를 계기로 한국연구재단에 지원하였고 다행스럽게 선정되었다. 덕분에 관동대지진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고, 오늘 연구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제1절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제2절 연구주제와 내용

제2장 관동대지진과 식민지 조선의 언론
제1절 ??매일신보??와 관동대지진
1. 관동대지진의 보도와 내용
2. 재일조선인에 대한 보도
제2절 ??동아일보??·??조선일보??와 관동대지진
1. 관동대지진에 대한 보도와 인식
2. 관동대지진의 기억과 전승

제3절 ??독립신문??과 관동대지진
1. 관동대지진과 일본에 대한 인식
2. 관동대지진의 피해 상황 보도
3. 재일조선인 학살에 대한 대응
제4절 관동대지진과 식민지 조선 언론 사설의 분석
1. 관동대지진과 ??매일신보?? 사설
2. 관동대지진과 ??동아일보?? 사설
3. 관동대지진과 ??조선일보?? 사설

제3장 관동대지진과 식민지배 정책
제1절 관동대지진과 재일조선인의 귀향
1. 관동대지진과 재일조선인 동향
2. 관동대지진과 재일조선인의 귀향과 도항
제2절 관동대지진과 조선총독부의 민심 동향 파악
1. 조선총독부의 민심 동향 파악
2. 언론을 통한 민심 회유
3. 관동대지진과 식민지배정책의 변화
제3절 관동대지진과 국외 한인사회의 동향
1. 중국 관내와 만주지역 한인사회의 대응과 동향
2. 일본지역 한인사회의 대응과 동향
3. 미주지역 한인사회의 대응과 동향
4. 유럽 한인유학생의 대응과 동향

제4장 관동대지진과 의연금 모금
제1절 ??매일신보??를 통해 본 의연금 모금
제2절 중앙의 구제 조직과 의연금 모금
1. 경성과 인천지역의 의연금 모금
2. ‘조선인구제회’와 ‘의연금조성회’ 조직과 활동
제3절 지방의 구제 조직과 의연금 모금
1. 중소 지방의 구제회 조직
2. 지방 의연금 모금 활동과 특성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성주현 (成周鉉)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 가운데 동학·천도교와 민족운동사를 연구하며,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실장, (사)한국역사문화원 대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참여자조사위원을 맡고 있다. 천도교중앙총부 자료실장,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논저에는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1910년대』(공저, 2002),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