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한일관계사 연구 (책소개)/3.재일조선인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

동방박사님 2022. 9. 23. 08:12
728x90

책소개

위안부 문제를 ‘폭발’시킨 것은 누구인가? 강제연행은 있었는가? 어떻게 모집되었는가? 얼마나 많은 위안부가 있었는가? 위안부의 민족별 구성은? 끝이 보이지 않는 ‘위안부 문제’, 그 역사적 실체와 진실을 마주할 시간. 다수의 위안부 배상소송이나 교과서 문제, 일본을 뒤흔드는 동아시아 제 국가들과의 알력, 그 배경에 깊게 관여된 위안부 문제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확산하였는가? 공창제도의 역사에서 세계로 확산되는 위안부 유풍까지, 이제껏 국내 어떤 언론이나 학자들도 이야기하지 못했던 진실을 귀중한 증언과 제1급 자료를 통해 정리한 위안부 문제의 결정판.
 
목차
■ 추천사 · 4

1장 _ 위안부 문제 ‘폭발’

1. 「아사히신문」의 기습 · 19
2. 전사前史 -센다 가코千田夏光부터 윤정옥까지 · 24
3. 원고 찾기로부터 소송으로 · 31
4. 노동성 국장의 ‘실언’ · 36

2장 _ 공창제公娼制 하의 일본

1. 공창제의 성립 · 45
2. ‘매신賣身’의 양상 · 52
3. 조선반도의 공창제 · 62
4. ‘가라유키상’ 성쇠기 · 70
5. 전시기의 변용變容 · 77
6. 전시에서 매춘방지법까지 · 84

3장 _ 중국전장과 만주에서는

1. 상하이에서 탄생한 위안소 · 93
2. 성병 통계를 살피다 · 97
3. 아소 군의軍?와 양가택楊可宅 위안소 · 103
4. 난징학살과 위안 대책 · 110
5. 군 직영에서 민영·사유물까지 · 115
6. 2만 명의 낭자군 · 121
7. 한커우漢口 위안소 사정 · 129
8. 관동군특종연습의 위안부들 · 135

4장 _ 태평양전선에서는

1. 은상과恩賞課가 관련 업무의 창구로 · 145
2. 남방 도항과 수송선 · 149
3. “성병 천국”이었던 남방 점령지 · 154
4. 북쿠릴 열도에서 안다만 제도까지 · 161
5. 위안소 규정은 말한다 · 165
6. 패주하는 여자들-버마 · 169
7. 패주하는 여자들-필리핀 · 174
8. 해군의 ‘특요원特要員’ · 179
9. 종전과 귀환 · 186

5장 _ 제諸 외국의 ‘전장의 성’

1. 전사前史 · 195
2. 독일 · 201
3. 러시아 · 205
4. 영연방군 · 210
5. 대독對獨 전장의 미군 · 214
6. 대일對日 전장의 미군 · 218
7. 미美 점령군과 RAA · 221
8. 베트남전쟁과 그 후 · 226

6장 _ 위안부들의 신상 이야기

1. 한국-김학순, 문옥주 등 · 237
2. 한국-대부분이 매신賣身? · 252
3. 필리핀-강간형 · 257
4. 중국-산시성山西省의 위안부들 · 264
5. 대만 · 273
6. 인도네시아-마르디엠 등 · 276
7. 인도네시아-병보협회兵補協?의 설문 조사 · 284
8. 네덜란드-네덜란드 억류 여성의 수난 · 286
9. 침묵하는 일본 여성 · 294

7장 _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의 작화作話

1. 제주도로 · 305
2. 속아 넘어간 「아사히신문」 · 312
3. 거짓말로 점철된 ‘라이프 히스토리’ · 320

8장 _ 화근을 남긴 고노河野담화

1. 키워드는 “대체로” · 331
2. 성난 고함 속의 청문회 · 334
3. 당사자의 고백 · 339

9장 _ 쿠마라스와미 선풍

1. 유엔인권위를 무대로 · 345
2. 쿠마라스와미 권고-열렬한 환영의 목소리 · 348
3. 대학생이 쓴 보고서였다면 낙제점 · 353
4. 옛 위안부의 신상 이야기는 · 362
5. 제네바의 공방전 · 368
6. ‘유의留意’에 대한 해석 논의 · 374

10장 _ 아시아여성기금의 공과功過

1. 규탄 속의 탄생 · 383
2. ‘속죄금’의 행방 · 388
3. 궁지에 빠진 기금 · 396
4. 한국 · 401
5. 북조선 · 407
6. 타이완(대만) · 410
7. 중국 · 413
8. 필리핀 · 414
9. 인도네시아 · 417
10. 네덜란드 · 419
11.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420
12. 파푸아뉴기니 · 420
13. 미크로네시아 · 422

11장 _ 환경조건과 주변 사정

1. 유엔과 국제 NGO · 427
2. 일본의 지원 단체 · 436
3. 보도기관의 논조 · 444
4. 전후 보상의 법리 · 449
5. 관부關釜재판과 위안부 소송 · 454
6. 페미니즘의 난류 · 460

12장 _ 7개의 쟁점 Q&A

Q1. ‘위안부’인가 ‘종군위안부’인가? · 470
Q2. 여자정신대와 위안부의 혼동 · 478
Q3. 위안부에 대한 강제연행은 있었는가? · 489
Q4. 위안부는 어떻게 모집되었는가? · 495
Q5. 위안소의 생활 조건은 가혹했는가? · 505
Q6. 얼마나 많은 위안부가 있었는가? · 513
Q7. 위안부의 민족별 구성은? · 523

■ 저자후기 · 530
■ 역자후기 · 533
■ 부속자료 · 536
■ 도표색인 · 570

인명/용어색인 · 573
언론/저작색인 · 585

저자 소개 

저 : 하타 이쿠히코 (秦郁彦)
 
일본의 역사가이며 오쿠라大?(재무부) 관료를 역임했다. 1951년 도쿄대학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후에 법학부로 진급, 재 학 중에는 전사?史나 키요우라 케이고?浦奎吾 등 정치인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다. 졸업 후 오쿠라쇼大?省(대장성-재무부) 환율국, 중국 재무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일본 국제정치학회 등에서 연구 활동을 겸하였다. 하버드대학, 컬럼비아대학에서 각각 유학하였으며, 1965년 방위청 방위국에 파견되었고,...
 
역 : 이우연
 
성균관대학교에서 조선후기 이래 산림과 그 소유권의 변천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하버드대 방문연구원, 규슈대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한국의 산림소유 제도와 정책의 역사 1600-1987』(일조각, 2010), Commons, Community in Asia,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5, 공저), 『반일 종족주의...
 

책 속으로

정대협을 핵심으로 하는 한국 여성들의 위안부 운동은 당초에 한국 정부로부터 냉담한 반응을 얻었던 만큼, 일본의 운동 단체와 매스컴의 캠페인 없이는 유효한 정치 운동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위안부 운동은 이전부터 저류가 있었던 한국인 전쟁 희생자에 대한 보상 문제에 편승하는 형태로 그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식민지 통치를 “청산”한 위에서 외교 관계를 확립한 1965년의 일한日韓조약에서 대일청구권문제에 대하여 일본으로부터 3억 달러의 무상 공여 등을 받는 것으로써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을 확인”했다. 게다가 합의 의사록에는 한국 정부가 제출한 모든 청구는 이제 “어떠한 주장도 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어구가 들어갔다. 뒷날의 분규를 피하기 위한 표현이었는데, 더구나 십수 년에 걸쳐 끊어졌다, 이어졌다를 반복하며 진행된 일한조약 체결 이전의 교섭 과정에서도 위안부 문제가 논의된 적은 없다.
---「‘제1장 위안부 문제 ‘폭발’‘」중에서

통계상으로는 어떠한 영향인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지만,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의 성립(1920년)을 전기轉機로 하는 세계적인 반反 공창운동을 배경으로 하여 일본의 공창제도는 크게 흔들리게 된다. 부녀매매의 규제를 취지로 하는 국제협정은 이미 1904년과 1910년에 성립되었지만, 1921년에 국제연맹이 주도한 ‘부인 및 아동의 매매금지에 관한 국제 조약’이 제네바에서 성립되자 그 가입을 둘러싸고 일본 제국의회 등에서 논의를 진행한 끝에 그로부터 4년 뒤인 1925년, 만 21세를 19세로 낮추는 유보 조건을 붙여 비준하였다. 그러나 각국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추밀원樞密院에서도 일본의 체면에 관계된다는 비판의 소리가 나오자 정부 는 2년 후에 이 유보 조건을 철회한다. 이때 일본은 연령 제한을 포함하여 식민지를 가진 유럽의 대국(영국, 프랑스 등. 여전히 미국은 가입하지 않았다)을 따라 조선, 대만, 관동주 등의 식민지를 이러한 적용에서 제외(식민지 제외 규정)했다
---「‘제2장 공창제 하의 일본’」중에서

“매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직업”이라는 말은 익히 들어 새로 울 것도 없는 금언인데, 군사용 위안부도 마찬가지였다. 최고最古의 공창 제도는 고대 그리스의 입법학자 솔론(기원전 638~556년)이 창설했다고 전해지는데, 중국에서도 주周나라 장원莊園의 영주가 기원전 685년에 제도를 만들었다고 전하므로 거의 같은 시기이다. 그러나 솔론 이전에 이미 출정 병사를 위한 신전 매음이 보급되었다고도 하고, 전쟁의 승자가 약탈한 여자 노예는 매춘부가 되었기 때문에 군대용 위안부는 그 역사만큼 오래되 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마그누스 히르슈펠트가 편집한 『전쟁과 성War and Sex』은 고대·중세로부터 제1차 대전기에 걸친 전장의 여성들의 생태를 소개하고 있는데, 원정 부대에는 그를 수행하는 여성군, 진지전에서는 현지의 매춘부라는 패턴이었다. 나폴레옹의 육군대신으로 근무한 카르노는 원정하는 군대에 동행한 여성군의 수는 “병사와 같은 수일 것이다”라고 쓰고, 풍기의 퇴폐와 성병은 “적군 포화의 10배나 되는 희생을 초래했다”고 개탄했다. 군복과 흡사한 의복을 입은 그녀들의 ‘웅장함’은 파리 군사박물관의 전시에서도 다른 것 못지않게 눈길을 끈다. 나폴레옹은 이렇게 해서 유럽 속으로 성병을 퍼트렸는데, 그것이 계기가 되어 1802년 프랑스에서는 매춘부들의 등록과 성병 검진이 의무로 부과되었다. 이는 근대 공창제의 창시로서 점차 독일과 유럽 대륙 제 국가들에 보급되었다.

잉글랜드에서는 크림전쟁(1853~1858년)을 계기로 공창제가 도입되었는데, 19세기 말에 본국에서는 형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식민지에서는 계속되었다. 홍콩에서는 등록된 창부들이 “여왕의 여자들”로 불렸는데, 이는 세금을 여왕에게 납부하고 있었던 데에서 유래한 것 같다. 미국의 경우 공창제가 전국적이지는 않았지만 도시나 식민지인 필리핀에 도입되었다.
---「‘제5장 제(諸) 외국의 ‘전장의 성’‘」중에서

베트남전에서 싸운 것은 미군만이 아니다. 영국군, 호주군, 인도네시아군도 참전했고,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군대는, 미군 다음으로 많은 연 31만 명을 파병한, 그리고 5천 명이라고도 또 3만 명이라고도 하는 혼혈아를 그곳에 남기고 온 한국군이다. 오래 터부시되고 있던 한국 의 파병 문제와 병사들에게 남겨진 트라우마를 문제 삼은 영화 ‘하얀 전쟁’(1992년)의 공개가 시초였는데, 위안부 문제에 관계한 조선인 여성 가운데는 “한국인은 베트남인을 살해하고 여자를 거래하는 등 행실이 나쁘다는 이미지를 남겼다. (……) 베트남에 대해 한국은 삼십여 년이 넘게 과거를 청산하지 않았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나오고 있다.

베트남전쟁에 한정되지 않고, 아시아의 매춘 산업과 미군의 기지 경제基地經濟는 끊으려 해도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일본(오키나와를 포함한 다)과 한국에서는 미군의 주둔이 반세기 전후의 기간에 이르렀기 때문에 구조화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시아의 경제 수준이 낮 았던 1970년대 이전에는 달러의 위력이 컸고, 미군은 기지 주변에서 특권적인 매춘 시스템을 구축, 각국 정부는 그 하청 임무를 떠맡고 있었다. 관련된 범죄가 발생해도 ‘치외법권’적 처리가 통하고 있었다.
---「‘제5장 제(諸) 외국의 ‘전장의 성’‘」중에서

전쟁터에서 근무한 여성은 위안부만이 아니었다. 간호부, 타이피스트, 일본어 교원敎員 등이 있었는데, 18세에 견습 간호사로 산시성의 육군병원에서 근무한 키우치 사치코木內幸子는 3년간 일하고 약 1천 엔의 저금을 하여 고향에 작은 집을 샀다고 회상했다. 또 부상병보호원 부속 간호사 양성소를 나와 하이난海南섬에서 일한 에가와 키쿠江川きく는 월수입이 90엔이었는데, 정기검진을 하러 오는 위안부는 250엔의 수입이었고, 사이가 좋아지면 통조림과 과자를 가져다주었다고 기록한다. 두 사람 모두 내지에서 일하는 것보다는 대우가 좋았는데, 위안부에 비해 훨씬 낮은 것은 지금 사무원과 소프란도(풍속업소) 여자 사이의 격차와 비슷하다. 같은 전장 근무라도 여성 집단 간 상호관계는 미묘한 것이었다. 앞의 에가와 키쿠는 동료와 함께 “저 사람들, 저런 예쁜 옷을 입고 잘 지내서 좋겠다”고 부러워했는데, 군의가 “자네들 간호사가 무사한 것은 저 사람들 덕분이다. 그것을 잊지 마라”고 그녀들을 나무랐다고 한다
---「‘제12장 7개의 쟁점 Q&A’」중에서

폐업의 자유와 외출의 자유에 대해 말한다면, 간호부와 일반 사병도 역시 위안부와 마찬가지로 제한을 받고 있었다. 이 점은 현재의 샐러리맨도 마찬가지다. 연령으로는 소년 비행병, 어린 해군 병사 등 15세 전후, 종군간호부는 17세에도 전장에 나갔다. 예기로 키워지는 아이는 9살 전후부터 훈련을 받고, 소학교 졸업(12세)과 동시에 손님을 받는 것이 내지의 관례였는데, 마츠시나 고노스케松下幸之助가 9살에 고용살이를 갔던 것처럼 남자아이도 비슷한 낮은 연령에 취로하였다. “15살에 가정부로 돈벌이를 가서/ 그때 그렇게 어려서 결혼……”이라고 아카 톤보赤トンボ가 노래한 것처럼 결혼 자체도 빨랐다. 현대의 기준으로 가벼이 논할 것이 아니다. 이것저것 종합하여 “종군위안부 쪽이 민간 매춘부보다 대우가 좋았다”(쿠라하시 마사나오倉橋正直)고 판정하는 사람도 있지만, “군인도 여자도, 어느 쪽이나 불쌍했다고 할 수밖에 없다”(이토 케이이치伊藤桂一)고 말하는 편이 옳을지 모른다.
---「‘제12장 7개의 쟁점 Q&A’」중에서
 

출판사 리뷰

일본 근대사 최고의 석학 하타 이쿠히코,
귀중한 증언과 제1급 자료로 해독하는 ‘위안부 문제’의 백과전서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교수는 위안부 문제 진상규명과 관련해 일본에선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교수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고 있는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가 ‘피해자’역 김학순 등의 거짓말을 최초로 폭로하며 ‘선발투수’로 나섰다면, 하타 이쿠히코 교수는 ‘가해자’역 요시다 세이지 등의 거짓말을 확정하며 ‘마무리투수’로 나섰다고나 할까. 이번에 미디어워치 출판사에서 번역 출간된 하타 이쿠히코 교수의 역작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性’(원제 : 慰安婦と?場の性)은 원래 일본 신초샤(新潮社)에서 1999년도에 출간된 책으로, 20세기가 끝나기 전에 일본내 위안부 문제 논의를 완전히 종결지어버렸다고 평가받는 클래식 중의 클래식이다. 실제로 위안부 문제의 최대 핵심 쟁점인 ‘강제연행’설이나 ‘성노예’설과 관련해선 2000년대 이후로 한일 양국 학계에선 더 이상 특별히 새로운 논의도 없는 것이 사실로, 이에 이 책의 내용은 20여 년이 지난 지금, 특히 한국 독자들에게는 마치 ‘신작’의 느낌이 나는 ‘고전’처럼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껏 우리 한국인들은 과거 일본인들이 그 어떤 사죄로도 지울 수 없는 잘못을 지질러 이에 위안부 문제를 일으켰다고 믿어왔다. 하지만 실은 위안부 문제는 과거 일본인들만의 그 어떤 근본적인 잘못과 관계된 문제라고 보기 어렵다. 위안부 문제는 오히려 오늘날 일본인들이 과거에 자신들이 관련 무슨 잘못을 저질렀는지에 대한 아무런 성찰도 없이, 특히 동북아 국제정치 역학 변화 문제와 맞물려 ‘좋은 게 좋은 것이다’는 식으로 한국인들에게 일단 덮어놓고 사죄를 하면서부터 ‘폭발’한 문제라는 것이 바로 이 책의 저자 하타 이쿠히코 교수의 진단이다.
위안부 문제는 더구나 당대 20세기 초엔 더더욱 양국간 시비 대상이 아니었다.

태평양전쟁 이전, 일본열도와 함께 일본제국의 일부였던 당시 조선반도는 민간의 매춘 문제와 관련해 공기관도 위생 등 문제로는 관련 일정하게 관여하는 제도인 공창제 시스템을 갖고 있었다. 군용의 위안소 시스템이란 것도 일본이 전쟁에 돌입하면서 병사에 의한 강간과 그에 따른 성병의 만연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당대 공창제 시스템을 전쟁터에도 이를 그저 똑같이 옮겨놓은 것에 불과했다. 특히 실제 이와 유사한 군용의 위안부 시스템을, 독일, 이탈리아, 미국, 영국, 소련 등 당대 주요 국가들은 물론, 한국도 역시 한국전쟁 전후로 역시 마찬가지로 다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를 과거 일본만의 특수한 문제로 위치 짓기는 분명 어렵다.

그런데 그렇게 공공연했던 일, 또 더구나 수십여 년 전의 일이 오늘날 왜 한국과 일본 양국의 주요 갈등 요인으로 대두되어버린 것인가. 위안부 문제가 1990년대부터 중대한 인권 문제로 급부상한 것은 ‘태평양전쟁 시기의 조선인 위안부’는 다른 시기나 다른 국가에서의 사창, 공창의 매춘부와 달리 ‘강제연행’과 ‘성노예’라는 두 가지 엄혹한 특질이 있었다고 잘못 알려지기 시작했고 그것이 한일 양국 국민에게 통념으로 굳어졌었기 때문이다.

하타 이쿠히코 교수는 본서에서 압도적인 1차 사료들과 관계자 직접 증언들을 제시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그런 기존 통념을 부숴버린다. 그는 일본군 등 공권력에 의한 조선 여인에 대한 강제연행은 절대 없었다고 단언한다. 제1장 ‘위안부 문제 ’폭발‘, 그리고 제7장 ’요시다 세이지의 작화‘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대로, 이 강제연행이란 개념은 요시다 세이지라는 전 일본 공산당원이 꾸며내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좌파 세력이 퍼뜨린 ’날조‘가 바로 그 실체라는 것이다. 다른 무엇을 떠나서, 외세의 군대가 쳐들어와 민간에서 버젓이 아녀자들을 조직적으로 납치해갔다는 엄청난 사건과 관련, 당사자 증언을 제외하고는 제3자의 증언, 즉 가족, 친척은 물론이거니와 마을 사람의 신고나 목격담, 하다못해 개인의 일기라도 당대에 제대로 기록된 게 단 한 건도 없다는 것이 과연 말이 되는 일일까. 강제연행은 애초 있지 않았던 사건이라고 보는 게 상식적이다.

성노예도 물론 역사적 사실로 도저히 믿기 어려운 일이다. 이 책 제2장 ’공창제하의 일본‘과 제6장 ‘위안부들의 신상 이야기’, 제12장 ‘ 7개의 쟁점 Q&A’를 읽어보면 우리가 그간 사실로 알았던 옛 위안부의 고생담은 상당 부분 과장된 것으로, 그녀들의 삶은 역시 같은 민간 공창제하 당대 민간 위안부, 매춘부의 삶과 그리 차이가 나지 않았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오늘날 가치로 족히 수십 억 원의 돈은 벌었을 것으로 보이는 문옥주 씨의 경우는 예외적인 경우였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대도 어떻든 그녀들 상당수가 당대 일반 직장인들의 급여를 크게 능가하는 수익을 얻고 있었음은 여러 사료로 확인이 된다.

매춘, 그것도 전쟁터에서의 매춘이었던 만큼 고위험, 고노동, 고수익이라는 자본주의 질서가 여기서도 여지없이 통용됐던 것이다. 물론, 그녀들이 모집 당시 업자들, 포주들과 난폭하다면 난폭한 계약에는 구속되어 있었던 존재였던 것은 맞다. 하지만 그것은 당대 또는 오늘날 성매매 여성들도 다 마찬가지이고, 어떻든 이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노예’의 개념과도 무관하다. 그리고 계약 과정 자체에 범죄가 개입됐음을 증명할 수 없는 한, 그런 민간의 계약 문제 자체는 일본 정부가, 일본군이 책임져야 할 영역의 문제도 애초 아니었다.

위안부 문제의 실체가 애초 ‘강제연행’과 ‘성노예가 아니었다면, 결국 한국이 이 문제로 일본을 추궁해온 명분과 근거는 전혀 박약했었던 것이 아닌가.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양국의 현실 정치는 이 문제의 실체를 철저히 외면하며 무려 30여 년 이상 한국과 일본 양 국민들이 서로를 오해하고 반목하도록 만들고 말았다. 하타 이쿠히코 교수는 고노 담화,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아시아여성기금까지, 위안부 문제로 ‘진실규명’은 외면하고 문제의 책임을 온전히 일본의 우익과 과거사에 돌리고, 일본의 우익과 과거사만 제물로 삼으면 양국간 갈등 문제는 다 해결된다는 식 한국과 일본의 ‘반일 종족주의’적 ‘정치 편의주의’의 문제까지도 담담히 서술하고 있다.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性’은 역사학자가 쓴 책답게 역사 문제를 다루는 대목이 물론 가장 인상적인 책이다. 관련된 2장부터 4장까지는 한창 몰입해서 읽다보면 근현대 일본과 조선으로, 또 당시 일본이 치뤘던 전쟁의 중국 전선과 태평양 전선의 현장에 와있는 듯한 느낌마저 받게 된다. 실로 이 책을 진지하게 읽은 이라면 과연 그 누가 향후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강제연행’과 ‘성노예’이란 함부로 말을 꺼낼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해진다.

그렇기에 더욱 아쉽다. 이 책은 세기말 일본에서도 학계와 언론계, 출판계를 중심으로 큰 화제가 됐었던 책인 만큼, 그냥 당연한 출판 상업 논리로도 원서 출간 직후 한국에도 바로 번역 소개되었다면, 그래서 적어도 그때 한국 지성 사회가 이 책을 얄팍하게라도 소화했었다면, 위안부 문제의 거짓이, 정대협(현 정의연)의 전횡이, 2000년대와 2010년대 내내 한국 사회를 이만치나 혼돈으로 몰아넣고 한일관계를 이토록 파탄으로 몰고 가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이 책 원서 출간 바로 직전 해에 있었다는 점은 그래서 더욱 뼈아프다. 지금도 마치 한일관계 개선의 모델처럼 찬양받고 있는 이 선언이 정작 그 직후에도 이런 책의 번역 출간조차 용서하지 못했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달리 보면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性’의 뒤늦은 번역 출간은 지난 수십 여 년간 이 나라 학계·언론계·출판계에 고착화되어 있는, ‘일본 우익 사상·사관’에 대한 무조건적인 ‘검열’의 문제를 그 자체로 폭로하고 있기도 하다. 어떤 문제로 생각이 다를 경우 일단 ‘친일파’로, ‘극우’로 몰아버리고, 그때부터 상대 주장의 근거는 들어보지도 않으며, 진위도 전혀 따져주지 않는, 언제부턴가 이 나라 지성계에 정착된 이 천박한 문화야말로 향후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 문제와 관련한 토론에서 가장 중요한 논의 쟁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하타 이쿠히코 교수는 일본 군사사의 최고 석학으로 그래서 한국의 군사사 전문가들에게도 ‘전설’로 평가받아온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그의 시각에 대한 편견 때문인지 좀체 그의 작품들이 한국에 소개되지 못했다. 이번 책을 필두로 추후 그의 주전공 분야 작품들도 봇물 터지듯 한국에 번역되길 기대해본다.

추천평

“하타 이쿠히코의 책은 국내외에서 수집,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는 역사학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그 결과 이 책은 종합성에 있어서 기존의 유사한 책들의 수준을 뛰어넘어 ‘위안부’ 및 ‘위안부 문제’의 백과전서(百科全書)라고 말할 만한 역작이 되었다. 이제야 냉정한 원근법 속에서 위안부 문제를 말하는 토양이 만들어졌다.”
- 시마즈 이타루 (嶋津格, 일본의 법철학자이자 법철학회 이사장)

“하타 이쿠히코의 책은 연구 및 정밀도, 해석의 모델이다.”
- 에드워드 J. 드레아 (Edward J. Drea, 미국의 군사역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