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대한민국명소 (2006~) <여행지> 617

삼각산옥천암(보도각 백불) 홍제천홍지문. 세검정터. (2024-02-03)

홍제천(弘濟川)은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대문구 마포구의 일부 또는 전지역을 포함해 흐르다가 한강의 하류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이다. 1974년 지방 2급 하천(현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었고, 1983년과 1988년에 각각 하천 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해 1999년 2월 현재 18.94km에 달하는 유역의 하천 개수가 완료되었다. 평균 너비는 50m이다. 조선시대에 이 하천 연안에 중국의 사신이나 관리가 묵어 가던 홍제원(弘濟院)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으며, 같은 유래로 홍제원천(弘濟院川)이라고도 한다. 모래가 많이 쌓여 물이 모래 밑으로 흘렀다고 해서 모래내 또는 사천(沙川)으로도 불리며,세검정 인근의 상류 부근에서 세검천(洗劍川)이라고도 불린다. [출처: 위키백과] 이 불상은 옥..

친일파 이완용의 저택으로 추정되는 집 / (구)우당기념관

이완용 전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다. 을사조약, 기유각서, 정미 7조약,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여 을사오적을 포함한 주요 친일파, 매국노로 평가된다. 본관은 우봉, 자는 경덕, 호는 일당이다. 창씨명은 리노이에 간요이며, 작위는 후작이다 출생:1858년 7월 17일,낙생면 /사망 정보:1926년 2월 12일,서울특별시 옥인동/자녀:이항구,이승구/묘지:익산시 낭산리 국적:대한제국/ 부모:이호석/이전 담당 공직: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1910년–1910년) 우당기념관 소재지: 서울시 종로구 신교동 6-22 / 우당기념사업회 우당기념관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운 우당 이회영 선생 및 형제 (건영, 석영,철영,시영, 호영)그리고 그들과 뜻을 같이한 애국열사 동지들을..

경기도양평군 지평리전투 전적비

지평리전투 전적비 지평리전투는 7.25 한국전쟁 당시에 미국군과 프랑스군이 지평리에서 중공군의 집중공격을 막어낸 방어전투로 이 전투로 중공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유엔군은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참가한 이후 처음으로 전쟁의 상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재 반격의 기틀을 다진 전투이다. 지평리 전투 전적비는 지평리 전투에 참전한 용사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건립 되었다.

경기도 양평군 지평리 지평 의병기념관 (기념비.전시관)

지평의병 1895년 명성왕후 시해사건과 단발령에 반기를 든 유생들이 친일내각 타도와 일본세력 축출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일으킨 최초의 항일 의병이다. 우리나라를 강점한 일본에 대항하여 싸운 임진왜란 이후의 최초의 본격적인 항일 의병이라는데 의의가 크다 양평 출신 의병장 이춘영 (李春永) 지평출신이며 안승우의 부친 안종응과 거의 계책을 논의하고 김백선을 만나 의기투합하고 지평의병을 창의하였다. 안종응(安種㣹). 안승우(安承禹) 父子 뛰어난 학자였던 안종응은 아들 안승우와 이춘영에게 의병거사를 권고하고, 이춘영이 포군장 김백선을 찾아가 함께 창의한 계책을 일러주었다. 아들 안승우는 군무도유사로 군용을 정비하고 친일 매국 역당의 맢잡이 무리와 혈전을 겨루었다. 김백선 (金伯善) 이춘영과 합세하여 지평의병을 창의..

경기도 양평군 지평리 경치

지평면의 역사 양평군은 1,000년 동안 양근군과 지평현으로 나뉘어져 있다가 1908년에 비로서 하나가 되어 지금의 양평이 되었다. 지평면은 옛 지평현의 중심이며 예로부터 국왕이 선호하는 사냥터이자 강무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높은 학식과 인품을 겸비한 선비들을 무수히 배출한 지역으로 198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으로 촉발된 최초의 항일 의병인 을미의병의 시발점이 된 곳이기도 하다. 높은 산은 없지만 해발 500m 남짓한 준령들이 잘 발달해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양평의 옛 지명 '지평' 지평역 역명은 양평의 옛 이름 지평에 유래한다. 양평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합쳐지기 전까지 남한강 유역의 낮고 넓은 들이라는 의미의 지평군 이었다가 양근군과 합쳐져 생긴 이름이다. 지명은 바뀌었지만 역사에 ..

경기도 하남 유니온 타워 전망대

기존의 노후화 된 소각장, 재활용선별장, 음식물처리장, 중계펌프장 등의 시설 개선과 미사지구와 같은 택지개발사업 등으로 환경기초시설 확충이 요구됨에 따라 국내최초로 지하에 폐기물처리시설과 하수처리시설을 함께 설치한 신개념 환경기초시설이다. 지하에는 소각처리시설, 재활용선별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 하수처리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고, 지상에는 잔디광장, 어린이물놀이시설, 다목적체육관, 야외체육시설 등 다양한 주민친화시설이 있는 하남유니온파크와 한강·검단산 등 하남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하남유니온타워(105m)가 설치되어있다.

2023-04-30 성공회,구세군,고종의길,서울시청,청계천.

서울주교좌 성당은 주교의 의자(주교좌)가 있는 곳으로 대한성공회와 서울 모든 교회의 중심입니다. 서울주교좌 성당은 바쁜 도심 속에 마련된 거룩한 장소입니다. 한국근현대서 함께하며 예언자의 자취가 새겨진 곳입니다. 언제라고 바라보몀 경건하고, 누구라도 들어오면 편안하고 따뜻합니다. 영혼이 쉼을 얻고, 몸과 마음이 치유됩니다. 이 성당은 이땅에서 이 백성을 위한 선교의 중심으로, 민족의식을 일깨우며, 전례를 드리고. 미래건축의 모범이 되게 하자는 염원을 담아 아더 딕슨 (A.Dixson)의 설계로 1926년에 건축하였습니다. 초기 성당은 원래 설게에서 축소한 형태로 건립되었다사, 1996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완공했습니다.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 전통무늬기법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건물로 991.7제곱미터 면적에..

민영환 자결터. 3.1운동기념비. 승동교회. 탑골공원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순국지사 충정공 민영환(閔泳煥)이 1905년 11월 30일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 순국한 장소. 민영환이 자결한 곳은 조계사 경내에 있는 자택이었다는 설과 의관 이완식의 집이었다는 설로 나뉜다. 현재는 이완식의 집이라는 것이 국사편찬위원회의 고증을 거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시종무관 어담(魚潭)과 김우현 목사, 민병진의 회고에 따르면, 민영환의 집에 민영환의 어머니와 가족이 있었기에 자결 장소를 청지기였던 이완식의 집으로 택했으며, 그의 유해가 이완식의 집에서 발견된 뒤 본저(本邸)로 옮겨졌기 때문에 자결한 당시 모습을 하인 한 사람과 청지기 식구만 목격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종로 하나투어빌딩 앞 이완식의 집 터에 김충현이 글씨를 쓰고 백문기가 조각한 추모 조형물이 ..

천도교서울교구. 독립선언서 배부 터. 경운동 민병옥가옥.

독립선언서 배부 터 인류평등의 큰 뜻과 민족자존의 정당한 권리를 선언한 '선언서' 에 담긴 가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에서부터 오늘날 헌법 전문에 이르기까지 머리글로 새겨 계승되어 왔습니다. 3.1독립선언서 (기미독립선언서) 는 이곳에서 멀지 않은 보성사 (천도교경영, 지금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찍어낸 뒤 신축 중이던 천도교 대교당 마당에 갈무리해두었다가 종교계 학생 대표들에게 미리 나눠주었습니다. 시민참여 이름들 3.1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 삼일대로 시민공간 사업에는 3천여 명에 이르는 시민들이 함께 하였습니다. 서울시 자매도시인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교민들과 중국계.일본계 미국인들을 포함하여 2천명 넘는 시민들이 힘을 보탰습니다. 이 길 네 곳에작은 시민공원를 만들고 먼저..

인사동 서울미래유산 (통문관, CAFE: 귀천)

통문관 1934년 창업주로 이겸로 씨가 금항당으로 개업한 이래 3대째 가업을 이어오고 있는 고서점으로, 1945년 해방을 맞아 통문관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통문관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고서적 전문서점으로 고서 발굴 및 보급에 크게 공한 하였으며 관훈동 일대의 시대적 모습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조계사주변 (보성사터, 숙명여학교터, 신흥대학터. 중동중학교터, 우정총국터, 도화서터, 민영환집터)

보성사 1910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인쇄소이다. 천도교와 보성사 당시 천도교에서는 중앙교당에 창신사(彰新社)를 설립하고 천도교관계 서적 및 교회기관지인 『천도교월보(天道敎月報)』를 간행하였다. 1910년 말 천도교에서 보성학원(普成學院)의 경영권을 일체 인수하면서 학교에 있던 보성사인쇄소를 창신사와 병합하고 그 명칭은 그대로 보성사라 하였다. 보성사는 최남선(崔南善)이 설립한 광문회(光文會)의 신문관(新文館)과 더불어 당시 인쇄계를 주도하였다. 보성사는 비단 『천도교월보』나 교회서적 및 학교교과서의 인쇄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한국출판문화 향상에도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한때 보성사의 적자가 누적되자 교회 간부가 손병희(孫秉熙)에게 보성사의 폐쇄를 건의한 적도 있었다. 독립선언서 인쇄 보성사의 가장 큰 ..

자유공원내 (송학동 옛 시장관사) 02-12

송학동 옛 시장관사 중구 응봉산 기슭에 있는 송학동 옛 시장관사는 1883년 인천 개항 후 한세기의 역사적 흔적을 간직한 곳이다. 이곳은 인천항이 내려다보이는 수려한경관과 정원으로 이름이 나 있다. 송학동 옛 시장관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1900년쯤에는 일본인 사업가의 일본식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광복 후에는 동양장이라는 서구식 레스토랑과 송학장이라는 사교클럽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1965년 인천시에서 부지를 매입하여 한옥 건물을 신축하고 1966년부터 35년간 인천 시장공관으로 사용하였다. 이곳에서 총17명의 시장이 생활했다. 2001년부터는 인천직할시 승격 40주년을 기념하면서 재단장하여 시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탄생 하였다.

자유공원 (제물포 구락부) 02-12

구) 제물포 구락부 인천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도시였다. 다른 개항장과 달리 서양 각국의 외교력과 경제활동이 청.일을 압도적으로 견제하면서 자주적인 개항장으로써의 가능성과 희망을 품게 해준 도시였으며, 1901년 6월 응봉산 자락에 건축된 제물포구락부는 그 구심점 역할을 담당한 상징적 공간이었다.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 그리고 인천상륙작전 등 지난 한 근현대사를 시민과 함께 해왓으며, 건축 당시의 외형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동북아시아와 러시아의 건축양식이 결합된 독특한 근대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1953년 4월부터 1990년 5월까지는 시립 박물관으로 활용되며 인천 시민의 사랑을 한껏 받기도 했었다.2020년 제물포구락부는 인천시의 문화재 활용정책 제1호 사업으로 재개관을 했으며, 자주적 개항의 꿈..

자유공원 (조미수호통상조약체결지. 한미수호 100주년기념탑. 자유공원 맥아더동상) 02-12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영어: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다.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조선의 전권위원 신헌, 김홍집과 미국의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 간에 제물포에서 체결되었다.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미국 정부의 명을 받은 슈펠트는 처음에 일본을 통하여 조선과 수호 조약을 맺으려고 일본 외무경(外務卿) 이노우에 가오루(井上聲)의 소개장을 가지고 부산에 입항하였다. 그는 일본 영사(領事) 곤토(近藤眞鋤)로 하여금 동래부사를 방문하고..

차이나타운 (공화춘 : 짜장면 박물관) 02-12

인천 선린동 공화춘 共和春 공화춘의 전신은 산동회관으로 중국인 전용 주거지인 청국 조계지에서 음식점과 호텔의 혼합형 숙식업소로 시작하였다. 1911년 산동성 출신의 화교 우희광 (于希光)이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여 개업하였다가 이듬해 중화민국의 수립을 기념하여 '공화국의 봄' 이라는 의미의 공화춘으로 개명하였다. 일제강점기 이래 인천과 서울의 상류층들이 이용하는 경인지역 최고급 요리점으로 70여 년간 그 명성을 이어왔고, 6.25전쟁 이후에는 짜장면 등 대중 음식을 보급 하였다. 공화춘은 화강암 석축 위에 벽돌을 쌓아 올린 2층 벽돌조 건물로 화교의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근대문화유산이다. 연안부두 신축으로 인천역 일대 상가가 쇠락하면서 1883년 영업을 중단하였고 2012년부터 짜장면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천 차이나타운 (의선당) 02-12

의선당 (義善堂) 1883년 청나라 영사관이 인천 선린동에 설립됨에 따라 선린과 북성 두 동은 화교들이 끊임없이 증가하면서 점차 차이나타운(청관)거리가 되었다.. 그해 인천에 체류하던 화교들은 후에 고향의 전통문화를 계승하여 작은 묘당을 건립하였고 '의선당' 이라고 불렀다. 정전은 부처님의 광명이 비추는 과세음보살, 용왕신, 의를 중하게 여기기를 천년에 이어 간다는 관공(관우), 마조선, 호삼할아버지등 다수소상을 모시는 것 외에도 다양한 민간 신앙신을 모신다. 의선당은 중국인들이 현지에 거주하고 바다에서 향해하며 무역의 교류나 오가는 여행객들에게 평안과 화합하기를 기원하고 더욱 화교가 단결하고 정의가 가득하도록 살기 위해 건설한 것이다.

차이나타운 / 인천역 / 동화마을 02-12

착공과 개통 1897년 3월 22일 대한제국은 주한미국전권공사 겸 기업가인 제임스 모스(James R. Morse)에게 사업을 맡겨 기공하였다. 미국이 기공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대한제국 정부가 '국내철도규칙’(1896. 7. 15)을 반포하면서 철도규격을 표준궤로 채택하였는데, 미국 철도가 표준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은 사업권을 가져오기 위해 대한제국 정부 조직이 매우 불안정하여 조만간에 나라로서 지위를 상실할 것이라고(경술국치) 대놓고 소문을 만들어냈는데, 이것이 미국의 대한반도 투자를 크게 위축시켰다. 그리고 1898년에 자금난을 겪어 공사가 잠시 중단되었던 것을 당해 5월 10일에 일본의 '경인철도합자회사'가 양도받아[5] 1899(광무 3)년 9월 18일에 완공시킨다(철도의 날). 당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