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5.서울역사박물관

한강대교

동방박사님 2019. 3. 9. 08:11
728x90

노량진에서 한강대교로

노량진은 한강의 남안, 동작진의 서쪽에 있었던 나루터로, 노량진 노도진, 노량진도, 노들나루 등으로 불렸다. 노량진을 건너면 경기도 시흥으로 연결되며 충청도와 전라도방향으로 향하는 간선로의 첫 길목이 되엇다. 이곳은 교통의 요충지로 정조가 수원화성으로 행차 할 때 배다리가 놓인 곳이기도 했다. 도성 남대문에서 청파역, 석우 당현, 만초천을 지나면 노량진 행궁에서 옛 시흥읍치인 금천구 시흥동, 안양의 만안교를 지나 수원으로 연결된다. 1900년 한강철교, 1917년 한강 인도교가 건설되기 이전에는 이 지역에 설치된 노량진 기차역깅 서울로 들어오는 관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 했다 


1900 한강철교 1917, 한강인도교

한강에 근대 교량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007월이었다. 한강철교라고 명명된 이 다리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경인선 이권을 얻어낸 미국의 모스에 의해 18973월에 착공 되었으나, 자금난으로 공사가 중단되었고 일본에 의해 완공 되었다. 착공당시 이 다리는 보행로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일본은 공사비를 절감한다는 이유로 보행로 가설조건을 이행하지 않고 한강철교을 완공하였다. 이후 1917년 지금 한강대교라 불리는 한강 인도교가 중공 되었다. 이 다리는 중지도 (노들섬)와 오량진 간의 대교와 중지도와 한강로 간의 소교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초기에는 한강인도교로 해방 이후에는 제1한강교로 불리다가 1984년 이후 한강대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한강철교와 인도교의 수난

한강철교와 인도교은 을축년 대홍수 (乙丑年 大洪水)“ ”한국전쟁이렇게 두차례 큰 수난을 겪는다. 19257월 일어난 을축년 대홍수로 인도교의 쇼교 부분은 완전 유실 되엇고, 한강철교도 손상을 입었다. 이 홍수로 유실된 인도교의 소교부분은 완전 유실 되었고, 한강철교도 손상을 입었다.

이 홍수로 유실된 인도교의 소교는 1929년에 확장. 재건되엇고, 한강철교는 교량구조물을 1m높이고 상판과트러스트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재건설 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한강철교는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한다는 잉로 628일 새벽 230분 폭파 되었다. 이후 1952년 임시복구를 하고 19696월에야 비로서 완전 복구되었다. 한강 인도교는 한국전쟁 중 대교 구간 일부가 폭파되어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가 1954년에 미국의 원조을 받아 복구되었다.

 


한강인도교 사진엽서

노들섬에 놓인 한강인도교를 찍은 사진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사진 왼쪽이 강북, 오른쪽이 오늘날의 노량진이다. 오른쪽 끝부분에 보이는 산이 관악산이다. (1930년대)


한강철교와 인도교의 수난

한강철교와 인도교은 을축년 대홍수 (乙丑年 大洪水)“ ”한국전쟁이렇게 두차례 큰 수난을 겪는다. 19257월 일어난 을축년 대홍수로 인도교의 쇼교 부분은 완전 유실 되엇고, 한강철교도 손상을 입었다. 이 홍수로 유실된 인도교의 소교부분은 완전 유실 되었고, 한강철교도 손상을 입었다.

이 홍수로 유실된 인도교의 소교는 1929년에 확장. 재건되엇고, 한강철교는 교량구조물을 1m높이고 상판과트러스트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재건설 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한강철교는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한다는 잉로 628일 새벽 230분 폭파 되었다. 이후 1952년 임시복구를 하고 19696월에야 비로서 완전 복구되었다. 한강 인도교는 한국전쟁 중 대교 구간 일부가 폭파되어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가 1954년에 미국의 원조을 받아 복구되었다.



한강철교 폭파

한국전쟁 발발 후 북한군의 남침을 저지하기 위해 정부와 국군이 한강철교를 폭파하였다. 왼쪽 상단에 보이는 타눰형의 지형이 한강대교 건설로 만들어진 노들섬이다. (1950년. 6.28 정부기록사진집)


한강 부교를 이용한 피난길

한국전쟁 기간중 폭파된 한강 인도교 아래 임시로 놓인 부교를 이용해 강을 건너 피난을 떠나는 서울 시민들의 모습이다.(1951.4,29 AP통신제공)


복구된 한강 인도교 표지판

1954년 12월 18일 복구된 한강인도교 표지판이다, 한강 철교의 복구가 미8군의 한국재건원조게획의 일부분으로 시행된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1955년 임인식촬영)


한강철교 임시 복구 기념촬영

한강철교는 한국전쟁 발발후인 1950년 6월28일 북한군의 남침을 저지하기 위해 폭파되었다가 1952년 7월 복구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이 미8군사령관 벤플리트 장군과 함께 복구된 한강철교 A선을 지나고 있다..

(1952년 임인식촬영)


한강 인도교 임시 복구

한강인도교는 한강철교와 함께 한국전쟁 중 국군의 작전상 폭파로 폐선되었다가 서울 수복 이후 임시 복구되었다.


제 1한강교 위 전차

한강인도교에 전차 노선이 부설된 것은 1925년 7월의 을축년 대홍수 피해 복구공사 이후인 1930년 경이다.

이후  1935년 10월에 사진의 모습과 같이 확장 되었다. (1960년대  한영수 촬영)



'07.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 > 5.서울역사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생활사 박물관 (서울풍경)  (0) 2019.11.03
한강의 다리 사진전  (0) 2019.03.09
광진교.양화대교  (0) 2019.03.09
한남대교  (0) 2019.03.09
잠실대교.영동대교  (0) 2019.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