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현대일본의 비판적 보수주의자들이 전후체제와 연동된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의 위기와 모순을 파악하는 사고법을 해명한다. 비판적 보수지식인들이 각 사상공간을 규율한 진보주의적 견해의 허구성을 추궁하고 일본사회의 리얼리티를 보수적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전후체제의 극복을 모색한 지적 여정을 탐구한다.
목차
서문 5
제1장 현대일본의 사상공간과 보수주의
─전후체제, 비평, 보수주의
1. 왜 일본의 보수주의인가 19
일본의 보수를 보는 시선 19
‘우익’과 ‘보수’ 19 | 일상적 보수와 정치적 보수 22
보수주의와 보수주의자 24
정치적 행위로서의 보수언설 24 | 일본 보수주의를 논한다는 것 27
2.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비평가 29
비판행위로서의 보수주의 29
비판적 보수지식인 29 | 보수비평가라는 존재 31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 33
논쟁적 보수주의자들 33 | 사상연쇄 36
비평의 콘텍스트 38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 38 |위기와 보수적 비평 42
3.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47
보수주의의 보편성 47
버크의 보수주의 47 | 보수주의의 원리 52
보수주의의 개별성과 보수의 감각 57
보수주의의 장소성과 개별성 57 | 이데올로기와 ‘구조연관’ 61 | 보수의 감각, 보수적 심성 64
4. 근대일본의 보수주의 68
버크 보수주의와 근대일본 68
‘보수개혁’이라는 숙명 68 | 메이지 헌정체제와 버크 수용 71 | 황통과 메이지헌법 74
보수주의와 내셔널리즘 77
자유주의 정신과 메이지 보수주의 77 | 제국과 문화적 보수주의 80
5. 전후체제와 보수주의 84
전후체제와 전후의식 84
전후체제와 55년체제 84 | 전후의식 87
전후체제의 비틀림과 보수적 주체 90
전후체제와 아메리카니즘 90 | 전후체제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 93
제2장 ‘평화’와 ‘민주’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후쿠다 쓰네아리의 보수주의
1.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보수주의 99
민주=안보공간과 일본의 지식사회 99
평화와 민주주의 99 | 청년세대와 새로운 사회과학 103
민주=안보공간의 리버럴 보수 108
리버럴 보수의 귀환 108 | 도의와 문화 111
2. 후쿠다 쓰네아리의 삶과 고독 115
극적인 인간 115
사상과제 115 | 비평활동 117
고독과 고립의 사이 120
고독한 인간 120 | 고립된 ‘보수반동’ 124
3. 비판적 보수주의와 비평정신 128
진보주의와 사회과학 128
자유주의 비판 128 | 사회과학과 ‘진보주의적 기분’ 131
비평정신과 평형감각 134
비평정신 134 | 임계의 평형감각과 상식 140
4. 괴리의 심리와 이원의 논리 144
지식인의 심리적 현실 144
정신과 육체의 괴리 144 |정신의 자율 148 | 육체의 자율과 에고이즘 150
이원론과 절대자 155
상대적 현실과 절대자 155 | 현재와 리얼리즘 160
5. 근대와 전통 164
근대의 숙명 164
‘정신의 정지’와 ‘근대의 숙명’ 164 | ‘근대의 확립’과 ‘근대의 초극’ 168 | 이상인간상과 자기완성 171
역사와 전통과 문화 175
역사적 필연성 175 | 전통과 발견 179
문화와 문화적 보수주의 184
‘삶의 방식’과 ‘화혼양혼’ 184 | ‘조화의 미감’과 문화적 보수주의 187
6. 개인과 사회, 자유와 숙명 190
개인과 사회 190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 190 | ‘개인의 전체성’과 ‘성숙한 개인주의’ 195
숙명 속의 자유 198
‘정신의 자유’ 198 | ‘전체 속의 자유’, ‘숙명 속의 자유’ 201 | 숙명과의 싸움 204
민주주의 207
소극적 개념으로서의 민주주의 207 | 콘센서스와 문화의 연속성 209
7.냉전과 평화 211
‘평화’와 평화론 211
‘수단과 목적의 역전’과 ‘현지해결주의’ 211 | 냉전의 아이러니와 숙명 216
‘전쟁과의 평화공존’ 219
소극적 평화와 ‘도덕과 정치의 혼동’ 219 | ‘전체의 생명’과 전쟁 221 | ‘차가운 평화’, ‘전쟁과의 평화공존’ 225
평화와 내셔널리즘 228
평화의 터부와 에고이즘 228 | 인터내셔널리즘과 내셔널리즘 232
8. 후쿠다 보수주의와 문화공동체 236
‘하늘을 믿는 현실주의자’ 236 | 개체와 전체 240 | 문화공동체로서의 국가 243
제3장 ‘성장’와 ‘상실’
─경제=성장공간의 일본과 에토 준의 보수주의
1. ‘전후’의 변용과 경제=성장공간 249
전환기 지식인과 ‘청년’ 249
‘전후 지식인의 파산’ 249 | 청년세대와 ‘내적 성찰’ 252 | ‘정치적 계절’과 ‘문학자의 시선’ 259
대중사회의 출현과 보수적 주체 264
경제적 전회와 대중사회의 출현 264 | 현실주의적 전회와 보수적 주체 267
2. 비평적 삶과 보수사상의 여정 271
문예비평의 길 271
문학 찾기와 ‘비재’의 세계 271 | 비평가의 탄생 274
타자 속의 자기 277
아메리카 체험 277 | 정치적 인간의 발견과 주체의 회복 279
3. 에토 준의 비평정신 283
비평이란 무엇인가 283
행위로서의 말과 문체 283 | 주체적 행위로서의 비평 286
상대주의적 리얼리즘 291
문학과 정치 291 | 리얼리즘과 상대론의 다이내미즘 295
4. 보수의 감각과 체험 299
체험과 상대주의 299
장소에 매인 개인 299 | 체험과 인내 303 | 감각과 이념 306
역사와 전통 309
‘현존하는 역사’ 309 | ‘전통의 새로움’과 ‘살아있는 폐허’ 315 | ‘문화의 잡거’와 ‘정신의 핵융합’ 319
5. ‘상실’과 ‘국가’ 324
상실로서의 전후 324
패전과 ‘상실’ 324 | 근대화와 자기확인 327
‘성숙’과 ‘국가’ 331
‘정의’와 ‘사정’ 331 | ‘성숙’이란 무엇인가 334
메이지 정신과 내셔널리즘 336
‘나라를 위하여’ 336 | ‘이익’과 ‘의리’ 341
6. 허구의 전후체제 345
아메리카니즘과 내셔널리즘 345
평화와 민주주의 345 | ‘아메리카의 그늘’과 ‘국가’ 348
‘놀이의 세계’ 354
전후세계의 해체, 개념과 현실의 분열 354 | ‘놀이의 세계’, ‘묵계’의 종언 357
7. 열려지는 ‘닫힌 언어공간’ 360
허구의 언어공간 360
‘전후문학의 파산’ 360 | 전후사 재해석 364
헌법과 검열의 규율 367
금압과 은폐 367 | ‘닫힌 언어공간?과 주체화 371
8. 에토 보수주의와 ‘황실’ 374
보수주의와 리얼리즘 374 | ‘국가=황실’과 리얼리즘의 형해화 376
제4장 ‘탈전후’와 ‘반근대’
─탈전후=역사공간의 일본과 니시베 스스무의 보수주의
1. 탈냉전과 탈전후=역사공간 383
경제적 성공과 ‘근대의 질주’ 383
경제대국화와 니시베 스스무 383 | 경제적 성공과 ‘국민화’ 387
탈전후=역사공간과 탈전후의식 390
걸프전쟁과 탈냉전의 보수정치 390 | ‘역사의 정치화’ 392
2. ‘싸우는 보수’와 사회과학 396
투쟁적 보수비평가의 탄생 396
‘일탈자의 습성’ 396 | ‘과격한 심성’ 400
‘가교로서의 사회과학’과 비평 404
‘사회과학적 지’ 404 | 비평=‘말의 공적 표현’ 409
3. 고도 대중사회와 아메리카니즘 415
고도 대중사회 415
‘민주주의의 과잉’, ‘산업주의의 왜곡’ 415 | ‘회의 없는 대중인’, ‘회의하는 지식인’ 419
아메리카니즘과 ‘진정한 전후’ 423
일본주의와 아메리카니즘 423 | ‘전후의 종언’과 ‘역사감각의 부흥’ 426
4. 회의하는 보수와 전통 431
보수선언 431
‘미지에의 도전’ 431 | ‘진보의 환각’과 ‘희석된 진보주의’ 436
‘보수의 유토피아’와 보수적 회의주의 439
‘보수의 환상’ 439 | 반근대주의와 회의적 보수주의 444
전통과 평형감각 448
전통과 역사 448 | 평형감각과 상식 454
5. 자유와 질서 458
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58
‘민주주의’와 ‘민중제’ 458 | ‘자유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61
공동체 속의 개인 465
‘숙명으로서의 자유’와 ‘활력 있는 삶’ 465 | 자유와 질서의 평형 468
6. 국가 472
문화공동체와 ‘국가’ 472
애국심과 국가의식 472 | ‘이야기로서의 국가’ 477
국제사회와 ‘국가’ 480
‘피부로서의 국가’ 480 | ‘규칙체계로서의 국가’와 ‘국민·정부’ 484
7. 전쟁과 평화 488
‘새로운 전쟁’ 488
걸프전쟁과 포스트전후 488 | ‘문명의 전쟁’, ‘야만의 전쟁’ 490 | 전쟁과 문화공동체 493
평화란 무엇인가 496
‘의태로서의 평화주의’ 496 | ‘전쟁에 대비하는 평화’ 499
8. 니시베 보수주의와 ‘역사적 질서’ 504
탈전후=역사공간의 사상과제 504 | 보수적 회의주의와 반근대주의 506 | 공동체와 ‘역사적 질서’ 508
제5장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적 주체화
─비판적 보수주의의 심리와 논리
회의하는 보수 513
보수적 주체화 513 | 개별화하는 보수 517 | 회의의 정신 520
명분과 실제의 사이 526
상대주의를 넘어 526 | 허구를 넘어 528 | 숙명을 넘어 531
낭만과 리얼리티의 사이 533
전통과 현재의식 533 | 낭만주의, 내셔널리즘, 리얼리즘 536 | ‘천황’과의 거리 540
자폐하는 보수 542
형해화하는 리얼리즘 542 | 옅어지는 보수적 비평 546 | 새로운 전통 548
참고문헌 552
제1장 현대일본의 사상공간과 보수주의
─전후체제, 비평, 보수주의
1. 왜 일본의 보수주의인가 19
일본의 보수를 보는 시선 19
‘우익’과 ‘보수’ 19 | 일상적 보수와 정치적 보수 22
보수주의와 보수주의자 24
정치적 행위로서의 보수언설 24 | 일본 보수주의를 논한다는 것 27
2.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비평가 29
비판행위로서의 보수주의 29
비판적 보수지식인 29 | 보수비평가라는 존재 31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 33
논쟁적 보수주의자들 33 | 사상연쇄 36
비평의 콘텍스트 38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 38 |위기와 보수적 비평 42
3.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47
보수주의의 보편성 47
버크의 보수주의 47 | 보수주의의 원리 52
보수주의의 개별성과 보수의 감각 57
보수주의의 장소성과 개별성 57 | 이데올로기와 ‘구조연관’ 61 | 보수의 감각, 보수적 심성 64
4. 근대일본의 보수주의 68
버크 보수주의와 근대일본 68
‘보수개혁’이라는 숙명 68 | 메이지 헌정체제와 버크 수용 71 | 황통과 메이지헌법 74
보수주의와 내셔널리즘 77
자유주의 정신과 메이지 보수주의 77 | 제국과 문화적 보수주의 80
5. 전후체제와 보수주의 84
전후체제와 전후의식 84
전후체제와 55년체제 84 | 전후의식 87
전후체제의 비틀림과 보수적 주체 90
전후체제와 아메리카니즘 90 | 전후체제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 93
제2장 ‘평화’와 ‘민주’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후쿠다 쓰네아리의 보수주의
1.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보수주의 99
민주=안보공간과 일본의 지식사회 99
평화와 민주주의 99 | 청년세대와 새로운 사회과학 103
민주=안보공간의 리버럴 보수 108
리버럴 보수의 귀환 108 | 도의와 문화 111
2. 후쿠다 쓰네아리의 삶과 고독 115
극적인 인간 115
사상과제 115 | 비평활동 117
고독과 고립의 사이 120
고독한 인간 120 | 고립된 ‘보수반동’ 124
3. 비판적 보수주의와 비평정신 128
진보주의와 사회과학 128
자유주의 비판 128 | 사회과학과 ‘진보주의적 기분’ 131
비평정신과 평형감각 134
비평정신 134 | 임계의 평형감각과 상식 140
4. 괴리의 심리와 이원의 논리 144
지식인의 심리적 현실 144
정신과 육체의 괴리 144 |정신의 자율 148 | 육체의 자율과 에고이즘 150
이원론과 절대자 155
상대적 현실과 절대자 155 | 현재와 리얼리즘 160
5. 근대와 전통 164
근대의 숙명 164
‘정신의 정지’와 ‘근대의 숙명’ 164 | ‘근대의 확립’과 ‘근대의 초극’ 168 | 이상인간상과 자기완성 171
역사와 전통과 문화 175
역사적 필연성 175 | 전통과 발견 179
문화와 문화적 보수주의 184
‘삶의 방식’과 ‘화혼양혼’ 184 | ‘조화의 미감’과 문화적 보수주의 187
6. 개인과 사회, 자유와 숙명 190
개인과 사회 190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 190 | ‘개인의 전체성’과 ‘성숙한 개인주의’ 195
숙명 속의 자유 198
‘정신의 자유’ 198 | ‘전체 속의 자유’, ‘숙명 속의 자유’ 201 | 숙명과의 싸움 204
민주주의 207
소극적 개념으로서의 민주주의 207 | 콘센서스와 문화의 연속성 209
7.냉전과 평화 211
‘평화’와 평화론 211
‘수단과 목적의 역전’과 ‘현지해결주의’ 211 | 냉전의 아이러니와 숙명 216
‘전쟁과의 평화공존’ 219
소극적 평화와 ‘도덕과 정치의 혼동’ 219 | ‘전체의 생명’과 전쟁 221 | ‘차가운 평화’, ‘전쟁과의 평화공존’ 225
평화와 내셔널리즘 228
평화의 터부와 에고이즘 228 | 인터내셔널리즘과 내셔널리즘 232
8. 후쿠다 보수주의와 문화공동체 236
‘하늘을 믿는 현실주의자’ 236 | 개체와 전체 240 | 문화공동체로서의 국가 243
제3장 ‘성장’와 ‘상실’
─경제=성장공간의 일본과 에토 준의 보수주의
1. ‘전후’의 변용과 경제=성장공간 249
전환기 지식인과 ‘청년’ 249
‘전후 지식인의 파산’ 249 | 청년세대와 ‘내적 성찰’ 252 | ‘정치적 계절’과 ‘문학자의 시선’ 259
대중사회의 출현과 보수적 주체 264
경제적 전회와 대중사회의 출현 264 | 현실주의적 전회와 보수적 주체 267
2. 비평적 삶과 보수사상의 여정 271
문예비평의 길 271
문학 찾기와 ‘비재’의 세계 271 | 비평가의 탄생 274
타자 속의 자기 277
아메리카 체험 277 | 정치적 인간의 발견과 주체의 회복 279
3. 에토 준의 비평정신 283
비평이란 무엇인가 283
행위로서의 말과 문체 283 | 주체적 행위로서의 비평 286
상대주의적 리얼리즘 291
문학과 정치 291 | 리얼리즘과 상대론의 다이내미즘 295
4. 보수의 감각과 체험 299
체험과 상대주의 299
장소에 매인 개인 299 | 체험과 인내 303 | 감각과 이념 306
역사와 전통 309
‘현존하는 역사’ 309 | ‘전통의 새로움’과 ‘살아있는 폐허’ 315 | ‘문화의 잡거’와 ‘정신의 핵융합’ 319
5. ‘상실’과 ‘국가’ 324
상실로서의 전후 324
패전과 ‘상실’ 324 | 근대화와 자기확인 327
‘성숙’과 ‘국가’ 331
‘정의’와 ‘사정’ 331 | ‘성숙’이란 무엇인가 334
메이지 정신과 내셔널리즘 336
‘나라를 위하여’ 336 | ‘이익’과 ‘의리’ 341
6. 허구의 전후체제 345
아메리카니즘과 내셔널리즘 345
평화와 민주주의 345 | ‘아메리카의 그늘’과 ‘국가’ 348
‘놀이의 세계’ 354
전후세계의 해체, 개념과 현실의 분열 354 | ‘놀이의 세계’, ‘묵계’의 종언 357
7. 열려지는 ‘닫힌 언어공간’ 360
허구의 언어공간 360
‘전후문학의 파산’ 360 | 전후사 재해석 364
헌법과 검열의 규율 367
금압과 은폐 367 | ‘닫힌 언어공간?과 주체화 371
8. 에토 보수주의와 ‘황실’ 374
보수주의와 리얼리즘 374 | ‘국가=황실’과 리얼리즘의 형해화 376
제4장 ‘탈전후’와 ‘반근대’
─탈전후=역사공간의 일본과 니시베 스스무의 보수주의
1. 탈냉전과 탈전후=역사공간 383
경제적 성공과 ‘근대의 질주’ 383
경제대국화와 니시베 스스무 383 | 경제적 성공과 ‘국민화’ 387
탈전후=역사공간과 탈전후의식 390
걸프전쟁과 탈냉전의 보수정치 390 | ‘역사의 정치화’ 392
2. ‘싸우는 보수’와 사회과학 396
투쟁적 보수비평가의 탄생 396
‘일탈자의 습성’ 396 | ‘과격한 심성’ 400
‘가교로서의 사회과학’과 비평 404
‘사회과학적 지’ 404 | 비평=‘말의 공적 표현’ 409
3. 고도 대중사회와 아메리카니즘 415
고도 대중사회 415
‘민주주의의 과잉’, ‘산업주의의 왜곡’ 415 | ‘회의 없는 대중인’, ‘회의하는 지식인’ 419
아메리카니즘과 ‘진정한 전후’ 423
일본주의와 아메리카니즘 423 | ‘전후의 종언’과 ‘역사감각의 부흥’ 426
4. 회의하는 보수와 전통 431
보수선언 431
‘미지에의 도전’ 431 | ‘진보의 환각’과 ‘희석된 진보주의’ 436
‘보수의 유토피아’와 보수적 회의주의 439
‘보수의 환상’ 439 | 반근대주의와 회의적 보수주의 444
전통과 평형감각 448
전통과 역사 448 | 평형감각과 상식 454
5. 자유와 질서 458
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58
‘민주주의’와 ‘민중제’ 458 | ‘자유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61
공동체 속의 개인 465
‘숙명으로서의 자유’와 ‘활력 있는 삶’ 465 | 자유와 질서의 평형 468
6. 국가 472
문화공동체와 ‘국가’ 472
애국심과 국가의식 472 | ‘이야기로서의 국가’ 477
국제사회와 ‘국가’ 480
‘피부로서의 국가’ 480 | ‘규칙체계로서의 국가’와 ‘국민·정부’ 484
7. 전쟁과 평화 488
‘새로운 전쟁’ 488
걸프전쟁과 포스트전후 488 | ‘문명의 전쟁’, ‘야만의 전쟁’ 490 | 전쟁과 문화공동체 493
평화란 무엇인가 496
‘의태로서의 평화주의’ 496 | ‘전쟁에 대비하는 평화’ 499
8. 니시베 보수주의와 ‘역사적 질서’ 504
탈전후=역사공간의 사상과제 504 | 보수적 회의주의와 반근대주의 506 | 공동체와 ‘역사적 질서’ 508
제5장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적 주체화
─비판적 보수주의의 심리와 논리
회의하는 보수 513
보수적 주체화 513 | 개별화하는 보수 517 | 회의의 정신 520
명분과 실제의 사이 526
상대주의를 넘어 526 | 허구를 넘어 528 | 숙명을 넘어 531
낭만과 리얼리티의 사이 533
전통과 현재의식 533 | 낭만주의, 내셔널리즘, 리얼리즘 536 | ‘천황’과의 거리 540
자폐하는 보수 542
형해화하는 리얼리즘 542 | 옅어지는 보수적 비평 546 | 새로운 전통 548
참고문헌 552
출판사 리뷰
현대일본의 구조적 모순과 일본인의 역사적, 현재적 삶의
허상을 추궁하는 비판적 보수주의를 해부한다!
일본의 보수주의는 전후체제의 사상공간이 배태한 리얼리티와 모순을 드러낸다
현대일본의 비판적 보수주의자들이 전후체제와 연동된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의 위기와 모순을 파악하는 사고법을 해명한다. 비판적 보수지식인들이 각 사상공간을 규율한 진보주의적 견해의 허구성을 추궁하고 일본사회의 리얼리티를 보수적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전후체제의 극복을 모색한 지적 여정을 탐구한다.
현대일본의 진보주의와 대결한 보수지식인의 심리와 논리를 해명한다
전후체제의 모순과 위기를 예민하게 감지하면서 진보주의 이념의 의장을 벗겨내고 모순적 삶의 역동성을 드러내고자 했던, 일본의 국가와 사회를 규정하는 진보적 이념에 대항하여 역사와 전통의 보수적 체험을 되살리고자 했던, 보수적 인간의 사고법을 들여다본다. 비판적 보수지식인의 심리와 논리를 밝힘으로써 현대일본의 사상공간의 특질을 밝힌다.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비판적 보수주의를 규명한다
현대일본을 대표하는 보수비평가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보수사상을 해명한다. 이들의 비판적 보수비평에서 전후체제의 명분과 일본사회의 실제 사이의 괴리를 읽어내고 진보주의의 허구성을 추궁하는 보수적 리얼리즘의 실체를 파악한다. 영국 보수주의에 의탁하여 보편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전후체제에서 배태된 일본적 개별성을 응시하는 비판적 보수주의의 양상을 밝힌다.
허상을 추궁하는 비판적 보수주의를 해부한다!
일본의 보수주의는 전후체제의 사상공간이 배태한 리얼리티와 모순을 드러낸다
현대일본의 비판적 보수주의자들이 전후체제와 연동된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의 위기와 모순을 파악하는 사고법을 해명한다. 비판적 보수지식인들이 각 사상공간을 규율한 진보주의적 견해의 허구성을 추궁하고 일본사회의 리얼리티를 보수적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전후체제의 극복을 모색한 지적 여정을 탐구한다.
현대일본의 진보주의와 대결한 보수지식인의 심리와 논리를 해명한다
전후체제의 모순과 위기를 예민하게 감지하면서 진보주의 이념의 의장을 벗겨내고 모순적 삶의 역동성을 드러내고자 했던, 일본의 국가와 사회를 규정하는 진보적 이념에 대항하여 역사와 전통의 보수적 체험을 되살리고자 했던, 보수적 인간의 사고법을 들여다본다. 비판적 보수지식인의 심리와 논리를 밝힘으로써 현대일본의 사상공간의 특질을 밝힌다.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비판적 보수주의를 규명한다
현대일본을 대표하는 보수비평가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보수사상을 해명한다. 이들의 비판적 보수비평에서 전후체제의 명분과 일본사회의 실제 사이의 괴리를 읽어내고 진보주의의 허구성을 추궁하는 보수적 리얼리즘의 실체를 파악한다. 영국 보수주의에 의탁하여 보편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전후체제에서 배태된 일본적 개별성을 응시하는 비판적 보수주의의 양상을 밝힌다.
'28.정치의 이해 (독서>책소개) > 6.보수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수주의자의 양심 (2019 배리 골드워터) (0) | 2023.01.01 |
---|---|
대형교회와 웰빙보수주의 (2020 김진호) 새로운 우파의 탄생 (0) | 2023.01.01 |
보수주의의 창시자 에드먼드 버크 (2019 제시노먼) (0) | 2023.01.01 |
보수주의 여행 (2014) (0) | 2023.01.01 |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