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대한민국명소 (2006~) (여행지)/5.경기권 관광

경기도여주 명성황후 유적지 (기념관) 2024-04- 08

동방박사님 2024. 5. 11. 17:57
728x90

명성황후

출생 연도 / 1851(철종 2) /사망 연도: 1895(고종 32) / 본관: 여흥 /출생지: 경기도 여주 / 관련 사건: 임오군란|갑신정변|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

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1851(철종 2)에 태어나 1895(고종 32)에 사망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서울에서 생활하다 왕비로 간택되었다. 1873년 성인이 된 고종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척족세력을 규합하여 정치적 협력자로 나서서 시아버지 대원군과 대립했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거듭된 국내 정변의 중심에 있었고, ·일의 간섭으로 인한 혼란 속에 러시아에 의지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하자 위기를 느낀 일본이 살해했다. 사후 고종이 황제국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후로 추숭되었다.

민치록(閔致祿) 감고당(感古堂) 미우라고로(三浦梧樓) 명성황후기념관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

명성황후(明成皇后)는 국내외에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사 속의 한 여성으로, 여흥(驪興) 민씨 가문에서 배출한 세 번째의 조선 왕비이다. 4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일찍 죽고, 순종만이 장성하여 대한제국 2대 황제를 지냈다.

명성황후는 청 · 일의 간섭으로 인한 혼란과 거듭되는 정변, 일상의 궁중 의례, 방문 인사들의 접견, 국왕에 대한 내조, 왕세자의 건강과 교육, 비명에 간 친정어머니와 오빠들의 운명, 자신의 건강 문제 등으로 노심초사하는 일상을 보냈다.

사후 일본 측의 왜곡과 야사에 의해 조선 궁정의 음모와 부패의 장본인이라는 인식이 오랫동안 굳어져 왔으나, 근래 서양 측의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기 시작하면서 종래와는 달리 고종의 정치적 내조자이자 조선의 국모로 재조명되어 가고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명성황후는 1851(철종 2)에 경기도 여주에서 부친 민치록(閔致祿)과 모친 한창부부인(韓昌府夫人) 이씨 사이에 태어났다. 8세 때 부친이 타계한 뒤, 어머니와 함께 서울의 감고당(感古堂)에 와서 살았다. 감고당은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친정집이었다. 1863(철종 14) 철종이 타계하자, 조대비의 명에 의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둘째 아들 이명복(李命福)이 국왕으로 옹립되었다. 3년 뒤인 1866년 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의 역할에 의해 16세 때 왕비로 간택되었다.

고종 즉위 이후 10년 동안은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흥선대원군의 섭정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성년이 되면서 직접 정사를 보고자 하는 고종의 욕망과 이를 지지하는 척족 인물들과 재야의 여론에 의해 흥선대원군이 하야하게 되었다. 이후 고종과 왕비는 개화정책을 추구하였으나, 안에서는 보수유생, 구식군대, 급진개화파, 동학농민군의 도전에 직면하였고, 밖으로는 청국의 강화된 내정간섭으로 국정이 표류하였다. 이런 혼란 속에 명성황후는 임오군란(壬午軍亂) 당시 궁중을 탈출했다가 환궁하였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당시는 기지를 발휘하여 거사를 무위에 그치게 하는데 일조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의 봉기를 틈타 일본이 무단으로 조선에 파병하여 경복궁을 침략, 조선 조정을 장악하면서 고종과 명성황후는 궁중에 연금된 상태가 되었다. 이후 조선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였으나, 러시아 주도의 삼국간섭에 의해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였다. 이때 명성황후는 러시아에 대한 접근을 통해 군주권 회복을 추구하였고, 조선 보호국화가 좌절된 일본정부는 미우라 고로[三浦梧樓]를 주한공사로 파견하였다. 이처럼 내외의 격동 속에 고종을 적극 내조해 왔으나, 이로부터 한 달 여 뒤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경복궁을 습격하여 명성황후를 야만적으로 살해하였다.

사건 직후 일본 정계의 요인과 외교관, 기쿠치 겐죠[菊池謙讓] 등 언론인은 명성황후가 부패의 화신으로서 조선을 망친 궁중의 암탉이며, 이 사건을 흥선대원군과 조선군 훈련대의 범죄로 덮어 씌웠다. 미우라 공사는 흥선대원군의 요청에 응하여 군대를 동원하였으나 궁궐에 도착해 보니 사건은 일단락된 뒤였다. 이 사건과 일본 군민은 무관하다하였다. Japan Daily Mail 등 일본의 영자신문은 이 사건을 중세의 야만왕조인 조선 궁중의 암투에서 빚어진 것으로 호도하였다. 이런 사실의 왜곡은 일제하에도 지속되었다.

명성황후를 직접 대면했던 서양 외교관과 선교사의 부인 혹은 비숍 같은 영국인 여행가의 기록은 일본 측과 달리 명성황후에 대한 긍정적 서술이 적지 않다. 명성황후는 궁중 여성으로서는 동양의 고전에 밝았고, 서양의 종교와 풍속, 정치와 의회제도, 여성의 교육과 지위 등에 관심이 지대하였다. 한편 지적이고 개화된 궁중 여성이기도 했다. 명성황후는 유가적 소양과 서양의 문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과 왕실, 군주와 국가의 활로를 추구하던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국모이자 근대형의 여성정치가로서 재평가되고 있기도 하다.

상훈과 추모

1897(광무 1) 명성(明成)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그해 11, 청량리의 홍릉(洪陵)에 장례를 치렀다가 1919년 고종의 장례 때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에 합장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경기도 여주 생가에 명성황후기념관이 들어서 매년 추모행사를 하고 있고, 명성황후의 일생을 조명한 뮤지컬과 영화, 드라마가 제작되어 한류의 창출에 기여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시해에 가담한 범죄자들의 후손이 중심이 되어 민간 차원의 사죄와 함께 한일 간의 친선 교류에 힘쓰고 있다.

명성황후 기념관

명성황후 생가 맞은편에 위치한 명성황후 기념관은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워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적에 건립한 기념관이다. 520의 전시실은 명성황후의 궁중 유물 및 각종 문서, 고종의 영정 등을 비롯한 관련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져 봄, 가을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기념관 주변으로 넒은 주차장과 공중화장실, 연못 등을 설치하여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명성황후 明成皇后

조선 고종의 왕비 대한제국의 초대 책봉 황후 / 재위 1866320~ 1895108(음력)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 18511117(음력 925) ~ 1895108(음력 820))는 조선의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高宗)의 왕비이자 책봉황후이다. 인현왕후의 생부인 민유중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사도시 첨정으로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 여성부원군에 추봉된 민치록이고, 어머니는 감고당 한산 이씨이다. 아명은 자영(玆暎, 본관은 여흥. 출신지는 경기 여흥이며, 여주 나들목 인근에 생가 공원이 있다

고종의 정비로 1871년 첫 왕자를 5일 만에 잃고, 최익현 등과 손잡고 흥선대원군의 간섭을 물리치고 고종의 친정을 유도했다. 민씨 척족을 기용함으로써 세도정권을 부활시켰으며,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일본한테 겨냥하는 견제를 위해 청나라의 지원에 의존하다가 1894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당한 이후에는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을 견제했다. 맨 처음에는 개항에 미온적이었으나, 점진적인 개화시책을 통해 친일 성향을 띤 급진 개화파의 개화정책에 제동을 걸었다. 그러다가 주조선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의 공모에 의해 일본인 병사와 낭인들에게 암살당했다(을미사변(乙未事變), 1895). 사후 대한제국이 성립되면서 황후로 추봉되었다. 정식 시호는 효자원성정화합천홍공성덕제휘열목명성태황후(孝慈元聖正化合天洪功誠德齊徽烈穆明成太皇后)이다.거주지는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지어진 건청궁에서 주로 생활했다.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