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1.천주교일반 62

베르뇌 주교 서한집 (상)(하) - 2018

책소개박해 시대의 조선 대목구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집『베르뇌 주교 서한집』은 제4대 조선 대목구장 베르뇌(Simeon Francois Berneux, 張敬一) 주교의 서한들을 한데 모아 원문-한글 대역판으로 엮은 책이다. 조선 천주교회가 자립할 수 있도록 체계를 잡아 준 베르뇌 주교는 조선 대목구장으로 11여 년에 걸쳐 사목하면서 신학교, 목판인쇄소 등을 건립했다. 이 서한집에는 베르뇌 주교가 조선 대목구장 직함을 사용하기 시작한 1855년부터 1866년 순교하기까지 11년간 남긴 서한들 가운데에서 공한(公翰) 성격을 지닌 130여 통을 수록하고 번역하였다.병인박해 이전까지의 대목구장 가운데 베르뇌 주교는 가장 긴 11여 년간 조선에 있으면서, 최초로 성직자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목판 인쇄소를 설치..

사막교부, 이렇게 살았다 (2006)

책소개뤼시앵 레뇨 신부가 '진귀한 우표나 희귀한 물건을 모으듯이' 도처에 흩어져 있는 사막교부들의 자료를 찾아 모은 지 어언 40년 드디어 이 신비스럽고 탁원한 사람들의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일상을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일화와 금언은 그리스어, 이집트어, 시리아어, 아랍어, 아르메니아어, 그루지야어, 심지어 슬라브어로 출판되었거나 많은 필사본 선집들에 산재되어 있었다. 레뇨 신부의 오랜 노고로 이제 우리는 사막교부들의 개성 뚜렷하고 독창적인 삶을 한눈에 읽게 되었다. 그는 교부들의 일반적 관례와 관습을 소개하면서도 각 인물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해 마지않았다. 사막교부들은 하나의 사안을 두고도 다르게 이야기했고 다양한 사건 속에서도 공통된 본질을 통찰했다. 그래서 우리는 수천 가지 금언과 일화에 담긴 그..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2021) -교회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이자 신학자

책소개악, 절망, 죽음, 행복, 정의, 평화……현대인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고민들,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풀어 본다시대가 흐르고 기술이 발전했지만, 우리 삶은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원하는 것은 쉽게 얻을 수 있는 세상임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많은 고민들이 끊임없이 밀려든다. 내가 누구인지부터 시작하여 왜 죄를 짓고 왜 악한 일들이 벌어지는지, 끝도 보이지 않는 절망과 불행이 왜 계속되는지,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지, 이 세상에 정의와 평화가 실현되는 날이 과연 올 것인지 등…….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의문을 품고 답을 구해 보려고 하지만, 그 답을 찾기란 결코 쉽지 않다. 그런데 1,600년 전에 우리와 똑같이 이러한 고민들을 하면서 그 답을 찾고자 절실히 노력했던 인물이 있다. 바로 아우구스티누스 성인..

브뤼기에르 주교 바로 알기 (2024) - 이 시대에 왜 브뤼기에르 주교인가?

책소개“희망의 메시지를 전한 의로운 사람의 이야기”초대 조선 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주교의 목숨을 건 조선 선교 여정바르톨로메오 브뤼기에르, 조금 생소한 이름인 브뤼기에르 주교는 어려움이 뻔히 보였던 조선으로의 선교에 자원하며 교황청이 대목구를 정식으로 설립할 수 있도록 공헌했다. 초대 조선 대목구장(교구장)으로 임명되어 조선으로 향하던 중, 국경을 눈앞에 두고 선종한 브뤼기에르 주교를 바로 아는 것은 우리 신앙의 뿌리를 알아 오늘의 신앙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박해의 시기 조선에 초대 대목구장으로 간다는 사실은 목숨을 내놓는 순교의 길에 들어섬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때 브뤼기에르 주교님은 “제가 가겠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요청에 응답합니다. …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 의로운 사람의 이야기를..

잠언·코헬렛·아가·지혜서·집회서 (2024)

책소개‘온 세상 땅끝까지’‘하느님의 말씀’을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시리즈 제12권,《잠언·코헬렛·아가·지혜서·집회서》가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됩니다. ‘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교부들의 발자취 (2024) -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함께 살펴보는

목차ㆍ 옮긴이의 글1 로마의 성 클레멘스2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우스3 성 유스티누스4 리옹의 성 이레네우스5 알렉산드리아의 성 클레멘스6 오리게네스: ① 생애와 작품오리게네스: ② 가르침7 테르툴리아누스8 성 키프리아누스9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10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우스11 예루살렘의 성 키릴루스12 성 바실리우스: ① 생애와 저서성 바실리우스: ② 가르침13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우스: 생애와 저술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우스: ② 가르침14 니사의 성 그레고리우스: ① 생애와 작품니사의 성 그레고리우스: ② 가르침15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① 안티오키아에서의 삶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② 콘스탄티노플에서의 삶16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루스17 프아티에의 성 힐라리우스18 베르첼리의 성..

사막의 안토니우스 (2015)

책소개3세기 중엽, 부모에게 물려받은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깊은 사막으로 가 죽을 때까지 은수 생활을 한 성 안토니우스의 삶에 대해 소개한다. 사막에서 수도생활을 방해하는 온갖 유혹에 맞서 싸우며 굳건히 한길을 간 그의 삶은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유혹에 맞서고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야 하는지 그 모범을 제시한다. 이 책은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가 쓴 『안토니우스의 생애』와 안토니우스의 「금언」, 「서간」을 담아 이 위대한 사막 교부에 대해 자세히 알려 준다.목차약어표서론아타나시우스와 『안토니우스의 생애』『안토니우스의 생애』의 구조안토니우스의 여정안토니우스의 생애머리말1 출생과 유년기2 말씀에 순종하여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다3 마을 변두리로 은거하다4 다른 은수자들에게서 가르침을 구하다..

종말론 (2020)

책소개그리스도교 신앙과 신학의 정통이자종말 사상의 교과서와 같은 책『종말론』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신학이 전통적으로 집중해 온 천국, 지옥, 심판, 부활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종말 사건과 연결시켜 통합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즉 오늘날 그리스도교 종말론에서 주장되는 지나친 인간 중심적 경향과 지나친 내세적 경향의 양극단을 배격하면서 그리스도교 종말론의 올바른 가치를 정립시킨 것이다. 특히 죽음, 영혼의 영속성, 영원한 삶, 죽은 이들의 부활, 예수님의 재림, 최후의 심판, 지옥과 연옥과 천국 등 종말론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들이 심도 있게 다뤄진다.예수님의 재림은 언제 어떤 방법으로 오는가? 우리가 죽으면 우리의 몸은 썩는데, 부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몸과 구별되는 영혼이란 있는가? 부활은 언제 이루어지는..

위격들의 구별 (2024)

책소개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속성 등 신론과, 창조와 피조물, 곧 천사·물질계·인간 그리고 하느님의 섭리에 대해 논하는 「신학대전」 제1부의 제31문제부터 제38문제까지를 담은 책이다. 「신학대전」 4권은 하느님의 삼위일체, 성부·성자·성령의 위격, 사랑과 은사 등을 다룬다.목차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격려와 축복의 말씀우리말 번역에 부쳐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한국어판 번역에 즈음하여「신학대전」 번역 출간을 축하드리며서언저자 토마스 아퀴나스제31문제 하느님 안에서 단일성(單一性) 혹은 복수성(複數性)에 속하는 것들에 대하여제1절 하느님 안에 삼일성(三一性) 즉 삼위일체(三位 一體)가 존재하는가제2절 성자는 성부께 대해 타자(他者)인가제3절 ‘홀로’, ‘오직 ···만’, ‘유독’ 또는 ‘유일한’이라..

성소 식별 (2024) -

목차시작하며1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 되십시오 YOU2 거룩함을 추구하십시오 HOLINESS3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 PRAYER4 주님의 때를 기다리십시오 TIME5 누군가와 진솔한 대화를 나누십시오 TALK6 각 성소에 대해 지식을 쌓으십시오 KNOW7 구체적으로 행동하십시오 ACT 저자 소개저 : 조지 엘리엇 미국 텍사스주 갤버스턴-휴스턴 관구 타일러 교구 소속 사제로, 성 십자가 대학교에서 신학을, 로마 아우구스티니아눔에서는 교부학을 전공했다. 가톨릭 미디어 캐스트의 공동 설립자이며 이사를 역임했다. 미 공군사관학교 재학 중 신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카를로 보로메오 신학교에 파견되어 1년간 성소 전담 사제로 일했다. 현재 교구 성소위원회 위원, 스티븐 F. 오스틴 주립대학교 지도신부, 예수 성심 성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