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대한민국명소 (2006~) (여행지)/5.경기권 관광 63

경기도 오산시 - 물향기 수목원 (2024-05-25)

경기도물향기수목원 경기도물향기수목원은 「물과 나무와 인간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조성되어 2006년 5월 개원하였습니다. 수목원은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 일대에 있으며, 규모는 34㏊이고, 예로부터 맑은 물이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붙은 수청동(水淸洞)이란 지명에서 명칭이 유래합니다.물향기수목원은 모두 24개 주제원으로 구성되며, 주로 물과 관련된 습지생태원, 수생식물원, 호습성식물원과 한국의소나무원, 단풍나무원, 유실수원, 중부지역자생원 등이 있습니다. 주요 건축물로는 물방울 온실, 산림전시관, 난대·양치식물원, 방문자센터 등이 있습니다. 보유식물은 가시연꽃, 미선나무 등 총 1,987여종입니다.물향기수목원은 1호선 전철역(오산대역)에서 가깝고, 경사가 완만하며, 그늘이 많고 의자..

경기도 수원 화성행궁 (2024-05-25)

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은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행궁이다. 1789년(정조 13년)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정조는 1789년 10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옮긴 이후 1800년(정조 24년) 1월까지 12년 간 13차례에 걸쳐 화성에 행차했고, 이때마다 행궁에 머물렀다.복원576칸[間]으로 정궁(正宮) 형태를 이루며 국내 행궁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경기도 관찰부, 수원 군청, 자혜의원, 학교 등이 자리하면서 용도 변경이 있었고, 1910년 8월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낙남헌을 제외한 대부분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

명성황후 생가 & 감고당 (2024-04-08)

명성황후 생가명성황후 생가는 숙종 13년(1687)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그 당시 건물로는 안채만이 지금까지 남아 보존되고 있다. 1985년에는 대대적인 생가 복구가 진행이 되었다. 1996년에 안채가 수리되었고 행랑채와 사랑채, 별당채 등이 함께 지어져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명성 황후가 어렸을 때 공부했다는 방이 있었던 자리에 탄생을 기념해 세운 "명성황후 탄강구리(明成皇后 誕降舊里)"(뜻: 명성황후가 태어나신 옛 마을)이라 새겨진 비가 세워져 있다.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집이다.명성황후 출생과 가계명성태황후 민씨는 경기도 여주시 근동면(近東面) 섬락리(蟾樂里) 사저 (현재의 여주시 능현동 250-1에서 민유중의 6대손으로 사도시 첨정이었던 민치록(閔致祿)의..

경기도여주 명성황후 유적지 (기념관) 2024-04- 08

명성황후출생 연도 / 1851년(철종 2)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 본관: 여흥 /출생지: 경기도 여주 / 관련 사건: 임오군란|갑신정변|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1851년(철종 2)에 태어나 1895년(고종 32)에 사망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서울에서 생활하다 왕비로 간택되었다. 1873년 성인이 된 고종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척족세력을 규합하여 정치적 협력자로 나서서 시아버지 대원군과 대립했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거듭된 국내 정변의 중심에 있었고, 청·일의 간섭으로 인한 혼란 속에 러시아에 의지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하자 위기를 느낀 일본이 살해했다. 사후 고종이 황제국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후로 추숭되었다.민..

남양주 이석영 기념관/리멤버1910 (2024-03-10)

이석영 (독립운동가) 이석영(李石榮, 1855년 ~ 1934년 2월 16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1855년에 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본이 나라를 빼앗자 이석영은 자신의 농토를 팔아 망명 생활비를 마련하여 형제들하고 같이 만주로 망명하였으며, 경학사·신흥무관학교의 창설 운영자금으로 헌신하였다. 독립운동 자금 등으로 재산을 다 쓴 이후 이석영은 중국 각지를 홀로 떠돌아다녔다. 1934년 중국 상하이에서 8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동아일보 1934년 2월 28일자 기사. 이석영의 장남인 이규준(1899 ~ 1927)도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일제의 밀정인 김달하 등을 암살하고 한커우(漢口)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29세의 나이로 암살당해 사망하였다.

의정부시 송산 사지 (2024-02-25)

송산사지(松山祠址) 송산사지(松山祠址) 는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에 있는, 조선의 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고려 왕조와의 절개를 지킨 조견, 원선, 이중인, 김양남, 유천, 김주 등 여섯 분의 뜻을 기리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사당이 있던 터이다. 1977년 10월 13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송산사지(松山祠址) 조선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고려 왕조와의 절개를 지킨 조견, 원선, 이중인, 김양남, 유천, 김주 등 여섯 분의 뜻을 기리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사당이 있던 터이다. 조선 정조 22년(1798)에 건립되 '삼귀서사(三歸書社)'라 하였는데, 순조 3년(1803)에 '송산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고종 5년 (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건물은 헐려 없어졌고, 1892년 ..

의정부 미술도서관 (2024-02-25)

의정부미술도서관 [ 홈페이지 소개글 - 비전] 의정부미술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역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미술관의 역할까지도 수행하는 공공플랫폼으로 미술관과 도서관을 융합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 역할을 더욱 충실히 이행하고자 공간의 매력을 더하였습니다. 공간의 변화는 도서관 문화를 바꾸고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며, 지역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지식과 문화와 휴식이 공존하는 도서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의정부 음악도서관 (2024-02-07)

의정부 음악도서관 [홈페이지 인사말] 의정부음악도서관은 연면적 1,691.27㎡, 지상 3층의 규모로 장암 근린공원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책·음악·공간이 융합된 음악전문공공도서관입니다. 의정부음악도서관은 의정부시의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블랙뮤직(재즈·블루스·힙합·R&B등)을 테마로 공간을 디자인하였으며, 도서와 더불어 CD·LP·악보·DVD 등의 비도서 자료를 시민과 함께 향유할 수 있도록 장서 구성을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의정부음악도서관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 음악 플랫폼의 역할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경기도양평군 지평리전투 전적비

지평리전투 전적비 지평리전투는 7.25 한국전쟁 당시에 미국군과 프랑스군이 지평리에서 중공군의 집중공격을 막어낸 방어전투로 이 전투로 중공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유엔군은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참가한 이후 처음으로 전쟁의 상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재 반격의 기틀을 다진 전투이다. 지평리 전투 전적비는 지평리 전투에 참전한 용사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건립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