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대한민국명소 (2006~) (여행지)/1.서울시 관광 109

5.한성백제박물관 제3전시실 - 삼국의 각축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4.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3) - 백제, 동아시아를 품다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3.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2) - 백제인의 삶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2.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1) - 백제의 꿈, 한강에서 꽃피다.(왕도 한성)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1.한성백제박물관 제1전시실 - 서울의 선사문화, 백제의 여명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근현대사 인물산책 (함태영.차미리사 집중탐구) / 2024-03-13

함태영 (咸台永) 1949년의 함태영 /대한민국의 제3대 부통령/임기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출생일 1872년 10월 22일/출생지 조선 함경도 무산군 무산읍/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사망일 1964년 10월 24일(92세)/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1가 396번지/(고혈압과 노환의 합병증으로 병사)/국적 대한민국 학력 한성법관양성소 졸업/주오 대학 정치학과 1년 중퇴/평양신학교 졸업/경력 한국신학대학교 재단 이사장 독립촉성중앙회 최고위원/자유당 상임고문/정당 무소속/본관 강릉/부모 함우택(부), 원주 변씨 부인(모)/배우자 밀양 손씨 부인(사별)/전주 최씨 부인(재혼)/고숙원(삼혼)/자녀 아들 함병철, 함병승, 함병창, 함병서, 함병욱, 함병소, 함병춘,..

골목길투어 부암동 일대 (2024-03-06)

창의문 彰義門 시대 1396년 (태조5년) . 창의문은 인왕산과 백악산이 만나는 곳에 있는 문이다.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지어진 문루가 그대로 남아 있다. 이 문루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41년(영조17)에 다시 세운 것으로, 문루를 새로 지으면서 인조반정 때 반정군이 이 문으로 도성에 들어온 것을 기념하기위해 공신들의 이름을 새긴 현판을 문루에 걸어 놓았다. 이 문 부근의 경치가 개경(開京)의 승경지(勝景地)인 자하동과 비슷하다고 하여 자하문이라는 별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창의문 彰義門 서울 성곽에는 동서남북에 4대문(四大門), 그 사이에 4소문(四小門)을 두었는데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北小門)으로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 는 뜻이 있다. 그러나 창의문은 북소문..

윤동주 문학관 (2024-03-06)

윤동주(尹東柱, 1917년 12월 30일~1945년 2월 16일)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본관은 파평(坡平), 아호는 해환(海煥)이다. 1917년 12월 30일 동간도 명동촌(明東村)에서 태어났다. 본적은 함경북도 청진시 포항동 76번지이다. 명동촌은 동간도의 척박한 땅이었지만 1899년 함경도 출신의 김약연, 김하규, 문병규 등이 140여 명의 식솔을 이끌고 동간도로 집단 이주한 후 윤동주의 조부인 윤하현 등이 합류하면서 '동방을 밝히는 곳(明東村)'이라는 뜻을 지닌 동간도 최대의 한인촌을 형성했다. 명동학교(明東學校)에서 수학하였고, 광명중학교와 서울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졸업하였다. 연희전문학교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등단했다. ..

윤동주 문학관 (윤동주생애 : 동영상 캡처) 2024-03-06

생애 초반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은 함경북도 종성군 동풍면 상장포에 거주하다가 1886년 길림성 자동으로 이주하였으며, 독실한 장로교회 장로인 할아버지 윤하현 장로는 명동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아버지 윤영석은 1910년 명동학교의 설립자인 김약연의 누이동생인 김용과 결혼하고 명동학교에서 교사로 교편을 잡았다. 19세기 말 조선인들이 간도로 대거 이주하게 된 것은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기근이 심해지자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서였다. 그런데 간혹 미국의 청교도처럼 종교적인 이유에서 새로운 촌락 공동체를 건설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구세동(救世洞)·영생동(永生洞)·낙원동(樂園洞)·명신동(明信洞)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와 달리 유교를 신봉한 김약연은 처음에는 맹자의 정치철학에 입각하여 '신(信)·식(..

청와대 사수: 정종수 경사 순적비 & 최규식 경무관 (2024- 03-06)

정종수 경사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이다. 생애 1935년 7월 17일 경상북도 상주군(現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서 아버지 정진성(鄭陳成)과 어머니 전암분(全岩分) 사이에서 3대 독자로 태어났다. 1954년 상주공립농잠중학교(現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를 졸업하고 군 복무를 마친 뒤 1960년 12월 21일 경찰공무원에 입직했다. 재직 중에 유도 초단을 취득했으며, 서울특별시 경찰국 기동대를 거쳐 1967년 1월 서울종로경찰서 수사2계 폭력반에 배치돼 형사(순경)로 근무 중이었다. 1968년 1.21 사태 당시, 그는 서울종로경찰서 관할 자하문검문소에서 근무 중이었는데, 1월 21일 밤 10시 10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동(現 종로구 부암동) 세검정고개에서 서울종로경찰서장이던 故 최규식 경무관,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