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서양철학의 이해 (책소개)/5.고.중세철학 27

모놀로기온 프로슬로기온 (2012)

책소개'신존재증명'으로 유명한 중세철학자 안셀무스의 책. 안셀무스는 자신이 개발한 학문적 방법과 목표를 통해 스콜라철학과 신학을 규정함으로써 ‘스콜라학의 아버지’로 평가된다. 이성과 신앙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의 위대한 결실인 모놀로기온과 프로슬로기온은 잘 알려진 ‘신존재증명’ 외에 매우 많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목차역자 서문일러두기모놀로기온프로슬로기온역자 해제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연보텍스트와 참고문헌신구판 대조표찾아보기저자 소개저자 : 캔터베리의 안셀무스1033년 이탈리아 북부 아오스타의 부유한 귀족가문에서 태어났다. 클뤼니 수도원 등에서 교육을 받았고, 노르망디 베크의 베네딕도회 수도원에 입회해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베네딕도회 수도원학교 교장, 캔터베리 대주교 등을 지냈다. 지은책에 『모놀로기온』, 『..

안셀무스 (2006) - 기독교에 이성을 접목한 사상가

책소개기독교에 이성을 접목한 사상가인 안셀무스의 사상을 일반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한 책. 안셀무스의 삶과 사상은 현재의 나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목차철학자 캔터베리의 안셀무스와의 만남안셀무스의 사상사적 맥락안셀무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안셀무스의 주요 사상 : 신앙과 이성의 문제존재론적 신증명진리론의지론신플라톤주의안셀무스가 끼친 의미와 영향저자 소개저자 : 김영철현 부산가톨릭대학교 학술연구교수.독일 뮌스터대학교과 할례대학교에서 서양중세철학(안셀무스의 진리론)을 연구하고 철학박사학위를 받음.저서로는 『Anselm von Canterburys Wahrheitsbegriff in seinem Dialog “De veritate"』 『필로소피아』(공저) 등.논..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2001) - 맑스 박사 학위 논문

책소개 고대의 원자론을 다룬 맑스의 박사논문「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와 맑스가 이 시기 작성했던 고대 철학자들(주로 에피쿠로스 학파)에 대한 노트들을 번역한 책.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유물론의 고대적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원자론을 이해할 수 있으며, 데모크리토스나 에피쿠로스의 원자론뿐만 아니라 맑스의 유물론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목차1.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일반적 차이2.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세부적 차이3. 부록 : 에피쿠로스 신학에 대한 플루타르크의 논쟁에 대한 비판4, 노트 : 에피쿠로스 철학 노트 저자 소개 역 : 고병권 노들장애인야학 철학 교사. 읽기의 집 집사. 생의 최소 단위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임을 잊지 않으며 아픈 ..

에피쿠로스 쾌락 (2022) -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책소개어떤 욕망에도 흔들림 없이 살게 하는 ‘아타락시아’를 누리는 길국내 최초, 에피쿠로스의 현존 원고 전체 8편 그리스어 완역에피쿠로스가 활동하던 시대는 제1-2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해 아테네의 국력이 쇠퇴하고, 알렉산드로스가 이끌던 마케도니아가 전 세계를 휩쓸던 때였다. 도시국가(폴리스)가 몰락하고 혼란기에 들어서면서, 폴리스 중심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닌 헬레니즘 시대를 살아가게 하는 개인주의적이고 실존주의적인 철학이 필요했고, 에피쿠로스는 바로 그런 사유가 가능한 철학을 했다.그는 기본적으로 데모크리토스의 자연철학을 토대로 한 원자론적 유물론자였기 때문에, 인간의 영혼과 신도 물질적인 존재로 보고, 신화적인 신의 개입을 배제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최고선은 세계의 작동 원리와 욕망..

프로타고라스 (2021)

책소개“덕은 가르쳐 줄 수 있는가”를 둘러싸고 벌이는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의 치열한 토론드라마와 철학의 결합이 가장 극대화된 작품으로행간 읽기를 통해 철학적 주제와 관련된, 감추어진 통일성 찾기가 묘미플라톤의『향연』과 더불어 플라톤의 문학적 역량이 가장 탁월하게 발휘된 것으로 평가받는 대화편이다. ‘소피스트들’이라는 부제가 붙여지기도 했던 이 대화편에서 플라톤은 다른 어떤 대화편에서보다도 더 등장인물과 배경의 묘사에 공을 들임으로써 아테네의 전성기에 아테네에서 가장 부유한 집안에서 벌어진 소피스트들과 촉망받는 젊은이들의 모임을 생생하게 그려 낸다. 이 대화편은 플라톤의 대화편들 중에서 가장 밝고 희극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는 대화편 중 하나이며, 언어유희와 농담, 우스꽝스러운 묘사들이 가득하다.목차‘..

에픽테토스의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 (2019)

책소개에픽테토스가 전하는 인생의 지혜내면의 자유를 추구했던 에픽테토스의 철학과 통찰이 담긴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52가지의 인생의 지혜가 담겨 있다. 1부 ‘내 권한 밖에 있는 것들을 바라지 말라’에서는 내가 사랑하는 것의 본질을 늘 기억하고 내가 가진 것을 자랑스러워하라고 조언한다. 우리를 괴롭히는 것들은 대개 행위 그 자체가 아닌 우리의 생각일 때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에픽테토스는 어떤 일을 당할 때마다 스스로를 들여다보라고 말한다. 그 어떤 시련도 자신의 의지에는 장애가 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2부 ‘힘들고 괴롭다면 내 감정부터 돌아보자’에서는 남의 권한에 속하는 것을 얻거나 버리려 들지 말고, 누구를 부러워하거나 시기를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과 똑같은 영예를 ..

스콜라 철학 생각! (2017)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중세 사상 시리즈 2

소개 스콜라 철학 생각!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 중세 사상 시리즈 2)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그 해답을 찾아 떠나는 머나먼 생각의 세계! 과연, -YES 일까요? -NO 일까요? 여러분은 어떤 생각인가요? 로마제국의 멸망(476), 게르만 민족의 이동 이후에 유럽은 얼마 동안 문화 부진의 시기에 들어선다. 이 무렵의 문화는 대륙이 아니라, 오히려 아일랜드와 잉글랜드에서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알드헬름(640경-709), 베다(673-736)는 초기 잉글랜드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이 동안 북갈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프랑크 왕국이 발전하고, 카를 대제(742-814) 때 당시의 유럽을 거의 통일하였다. 대제에 의해 시작된 학예의 전개는 중세 유럽에 최초의 문화를 개화시킨 것으로 '..

교부 철학 생각! (2017)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중세 사상 시리즈 1

소개 교부 철학 생각!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 중세 사상 시리즈 1)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그 해답을 찾아 떠나는 머나먼 생각의 세계! 과연, -YES 일까요? -NO 일까요? 여러분은 어떤 생각인가요? 중세의 사상이라고 하면 서양 중세의 그리스도교 사상을 무시할 수가 없고, 이 사상은 유대교에 유래하는 것이니 이미 '창조'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창조란 한마디로 만유, 즉 이 세상 만물과 그 근원인 초월적인 신과의 관계를 말한다. 천지만물, 곧 자연의 근원(arche)을 생각하게 되고 탐구한 것은 서양 고대 그리스 철학의 시발이기도 하다. 그러나 고대의 그리스 철학사상 속에서는 그리스도교에서 시인하는 '무(無)에서의 창조'라는 생각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런데 중세의 ..

중세 4-2 철학 (2018) - 1400~1500, 탐험, 무역, 유토피아의 시대

소개 *해당 도서는 [중세 4 : 1400~1500 : 탐험, 무역, 유토피아의 시대]의 분권 도서입니다.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컬렉션 저자 소개 저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기획)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장미의 이름』의 저자이자 역사, 철학, 미학, 기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시대의 지성을 대표하는 사상가다. 193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2016년 2월 사망했다. 토리노 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학위를 받았다. 이후로 여러 대학의 강단에 서면서 미학, 철학,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등의 이론서들을...

중세 3-2 철학 (2018) - 1200~1400, 성, 상인, 시인의 시대

소개 *해당 도서는 [중세 3 : 1200~1400 : 성, 상인, 시인의 시대]의 분권 도서입니다.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컬렉션 저자 소개 저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기획)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장미의 이름』의 저자이자 역사, 철학, 미학, 기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시대의 지성을 대표하는 사상가다. 193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2016년 2월 사망했다. 토리노 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학위를 받았다. 이후로 여러 대학의 강단에 서면서 미학, 철학,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등의 이론서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