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6.남북분단 DMZ 26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2019) - 동아시아의 한반도, 유럽의 독일

책소개‘독일문제’와 ‘한반도 문제’란 무엇인가?‘독일문제’란 유럽 내에서 역사적으로 독일로 인해 생겨나고 독일을 중심으로 생겨난 여러 문제를 두루 지칭하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19세기 중반까지도 통일과 독립국가를 이뤄내지 못하고 분열된 채 일으켰던 다양한 유럽 내 힘의 불균형 문제에서 연유한 고유명사이다. 그런 까닭에 이를 전유해 동아시아에서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온 문제를 ‘한반도 문제’로 지칭하는 것은 공정한 표현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독일문제에서 핵심적 책임은 독일에 있지만, 한반도 문제에서의 책임은 한반도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굳이 우리가 ‘한반도 문제’라고 부를 수 있다면, 그것은 세력 간의 갈등과 대립 구조가 내부의 해결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여러 국가들 간의 합의를 통해서만 해소될 ..

DMZ의 역사 (2023) - 한반도 정전체제와 비무장지대

책소개한반도 정전체제의 종언은 가능한가?정전체제 다음에 올 어떤 미래를 상상하기 위해서―정전협정 조인 70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출간된,‘DMZ의 역사’를 조명한 최초의 책2023년 11월 21일,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018년 9월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정상회담에서 합의한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북한은 이에 대응해, 9·19 군사합의에 더 이상 구속되지 않겠다며 합의에 따라 지상, 해상, 공중에서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하는 재무장화에 나섰다. 그리고 실제로 비무장지대(DMZ) 경계초소(GP)를 복원시키는 움직임이 정찰되었다.정전협정 70년을 맞은 2023년이 저물어갈 무렵, 이처럼 「9?1..

DMZ 관광과 판문점투어의 전망대 DMZ (2022) - 관광에 인생을 걸다 1

책소개 분단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DMZ, 판문점 소개와 관광 안내서 최초로 DMZ·판문점 관광을 개발하고 남북관광사업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저자의 DMZ·판문점 관광 안내서이다. 저자가 개발한 DMZ·판문점 관광상품과 지리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DMZ?판문점 관광에서 느낀 여러 장단점과 개선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다. 책은 또 DMZ 생성과정과 현재의 모습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알려주는가 하면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분단의 현 상황을 보여주고도 있다. 또한 외국인들이 한국 방문 시 DMZ 관광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뜻밖에도 우리 국민은 DMZ에 무관심한 현실까지도 보여준다. 저자는 “분단의 결과물이지만 DMZ·판문점이 지닌 가치를 관광자원으로 잘 활용하고, 한편으로는 국민의 안보의..

비대칭 탈냉전 1990-2020 (2023) - 평화로 가는 좁은 회랑에 새긴 남북관계 30년

책소개 한소수교에서 하노이 노딜까지, UN 동시가입에서 남북정상회담까지― 42개 장면으로 보는 남북관계사 1990-2020 우리가 사는 ‘한반도의 질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질문을 조금 연장해보자. 남과 북의 관계가 냉온탕을 끝없이 오가며 풀릴 듯, 도무지 풀리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책은 ‘비대칭 탈냉전’이라는 렌즈로 1990-2020년의 남북관계사를 돌아본다. 1990년은 ‘탈냉전’이라는 이름의 대전환, 즉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한 세계 냉전질서와 그 위에 놓인 한반도 분단체제에 일대 격변이 벌어진 때다. 이 해를 전후로 동·서독이 통일하고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연쇄적 체제전환을 맞았다. 반면 한반도에서의 탈냉전은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소련·중국(사회..

2030 세대 역사학도 청년이 염원하는 남북관계와 한반도의 미래 (2022)

책소개 “우리는 과연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나가고 있는가?, 혹은 갈등을 올바르게 풀어나가는 법은 우리는 알고 있는가?” 이 질문을 기반으로 하여 한반도의 역사 속 현 청년 세대가 어느 시점에 서 있는지를 돌아볼 예정이다. 약 100년 전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선대들은 어떠한 일들을 겪어야 했고 그 경험들이 과연 역사 속에만 남아있는지, 아직도 현재의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돌아보고자 한다. 그다음으로 우리는 현재 우리의 모습을 돌아볼 것이다. 현재 우리는 어떠한 생각을 하고, 어떠한 삶을 살며, 어떠한 미래를 꿈꾸고 있는지를 돌아볼 것이다. 과거의 선대들의 삶을 돌아보고 현재 우리의 모습을 분석한 뒤, 우리의 자녀 세대들은 어떠한 삶을 살아가고 있을지, 현재 우리의 모습을 토대로 그 모습을 그려보..

데탕트와 남북관계 (2008)

책소개 이 책은 1970년대 초 동아시아 데탕트라는 국제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남북대화의 형성, 전개, 결과와 영향을 탐구한 것이다. 1970년대 초 국제적 데탕트시기를 맞이하여 남과 북은 사반세기의 대립과 반목을 뒤로 하고 접촉과 대화를 시작하고 1972년 7·4공동성명을 채택, 발표하였다. 본고는 이때를 전후하여 남북 간 접촉, 상호방문, 회담 등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던 남북대화의 실제와 이 과정에서 드러난 상호 간의 인식과 대응 양상 등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냉전기 남북대화의 이해 1. 남북대화의 내외적 요인 2. 연구 내용과 참고자료 제1부 1970년대 초 국제정세와 남북대화의 배경 제1장. 동아시아 데당트와 미국의 대한반도정책 1. 닉슨독트린과 미중관계 개선 2..

Inter-Korean Relations 남북관계 (2014)

책소개 한반도 평화통일로 향한 문은 열릴 것인가? 다시 ‘하나’가 되기 위하여 우리는 북한의 존재, 북한의 행보 그리고 북한과의 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오랜 대립 구도 속에서 분단은 지극히 당연한 우리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분단은 우리에게 록인(lock-in)과도 같다. 분단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 상태를 깨뜨릴 수 있는 에너지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분단 상태가 마치 안정된 평형 상태와도 같은 역설적 상황이 현재 한반도 그리고 우리 사회의 모습이다. 그렇게 60여 년의 세월이 흐르고 있다. 한국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고 전망하기 위해서일 뿐 아니라 아시아와 세계의 변화와 그 향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세계 유일 분단국인 한국과 세계 정치의 잠재적 발화처인..

경제정책 남북관계 (2020) - 개선에 대한 건의

목차 글머리에 _ 4 01 _ 대한민국 경제의 문제점 _ 12 1. 기울어진 저울추 _ 16 2. 달리는 로마전차 _ 21 3. 대물림되는 경제정책 _ 27 02 _ 대한민국 경제의 개선방안 _ 33 1. 영세기업, 소기업, 중기업의 연합 _ 34 2. 기업 간 연합의 장점 _ 40 3. 기업들의 연합과 협업 _ 47 03 _ 연합된 기업들에 대한 정부 지원방안 _ 53 1. 금융 지원정책 _ 53 2. 우수인재 확보 _ 59 3. 판매망 확충 방안 _ 63 04 _ 경제의 엔진 제조업 _ 70 대한민국 경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요약 _ 73 05 _ 북한과의 관계 개선방안 _ 77 1. 김일성의 등장 _ 77 2. 북한의 공산화 _ 81 3. 한국전쟁 _ 84 4. 예고된 전쟁 6·25 _ 86 5. 천..

남북관계,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 (2015)

책소개 이 책은 미국 스탠퍼드대학 한국학 프로그램에 몸담고 있는 저자들이 2014년 미국에서 출판한 Tailored Engagement: Toward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Inter-Korean Relations Policy를 번역해서 한국어판으로 낸 것이다. 저자들은 북한을 둘러싼 주요 관련국의 정책 변수와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대북정책을 살펴보고, 과정이나 목표에 불과한 대북정책을 넘어 실행 가능한 로드맵을 제안한다. 인도적 지원, 교육 교류 및 협력, 문화 교류 등 다방면에 걸쳐 제시된 로드맵을 통해 남북 관계에서 우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더불어 책 뒷부분에는 부록으로 2014년 9월 대한민국 국회에서 열린 공청회 회의록과 같은 달 미국 워싱턴..

알기 쉬운 남북관계 읽기 (2018) - 4.27 판문점선언 기념

책소개 평화가 밥이다. 평화가 커지면 한반도 경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규모로 커진다. 2018 판문점 선언 이후 북·미 회담에서 비핵화의 로드맵이 마련되고,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이제 한반도는 평화와 번영의 기틀 속에 세계의 중심국가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2000년 김대중 정부시기 『6·15 남북공동선언』부터 20년 가까이 남북관계에 천착해 왔다. 또한 필자는 졸고 『북한의 관료문화』 출간과 거의 매년 학술논문 등도 게재해 왔다. 2018년 4월 27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은 필자에게 새로운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통일의 기대감을 높였으며, 다시 북한 연구를 하도록 하는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다. 이에 그동안의 졸고와 자료들을 종합하고 학계 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