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대한민국명소 (2006~) (여행지) 607

5.한성백제박물관 제3전시실 - 삼국의 각축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4.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3) - 백제, 동아시아를 품다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3.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2) - 백제인의 삶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2.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1) - 백제의 꿈, 한강에서 꽃피다.(왕도 한성)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1.한성백제박물관 제1전시실 - 서울의 선사문화, 백제의 여명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경기도 오산시 - 물향기 수목원 (2024-05-25)

경기도물향기수목원 경기도물향기수목원은 「물과 나무와 인간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조성되어 2006년 5월 개원하였습니다. 수목원은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 일대에 있으며, 규모는 34㏊이고, 예로부터 맑은 물이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붙은 수청동(水淸洞)이란 지명에서 명칭이 유래합니다.물향기수목원은 모두 24개 주제원으로 구성되며, 주로 물과 관련된 습지생태원, 수생식물원, 호습성식물원과 한국의소나무원, 단풍나무원, 유실수원, 중부지역자생원 등이 있습니다. 주요 건축물로는 물방울 온실, 산림전시관, 난대·양치식물원, 방문자센터 등이 있습니다. 보유식물은 가시연꽃, 미선나무 등 총 1,987여종입니다.물향기수목원은 1호선 전철역(오산대역)에서 가깝고, 경사가 완만하며, 그늘이 많고 의자..

경기도 수원 화성행궁 (2024-05-25)

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은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행궁이다. 1789년(정조 13년)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정조는 1789년 10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옮긴 이후 1800년(정조 24년) 1월까지 12년 간 13차례에 걸쳐 화성에 행차했고, 이때마다 행궁에 머물렀다.복원576칸[間]으로 정궁(正宮) 형태를 이루며 국내 행궁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경기도 관찰부, 수원 군청, 자혜의원, 학교 등이 자리하면서 용도 변경이 있었고, 1910년 8월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낙남헌을 제외한 대부분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

명성황후 생가 & 감고당 (2024-04-08)

명성황후 생가명성황후 생가는 숙종 13년(1687)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그 당시 건물로는 안채만이 지금까지 남아 보존되고 있다. 1985년에는 대대적인 생가 복구가 진행이 되었다. 1996년에 안채가 수리되었고 행랑채와 사랑채, 별당채 등이 함께 지어져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명성 황후가 어렸을 때 공부했다는 방이 있었던 자리에 탄생을 기념해 세운 "명성황후 탄강구리(明成皇后 誕降舊里)"(뜻: 명성황후가 태어나신 옛 마을)이라 새겨진 비가 세워져 있다.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집이다.명성황후 출생과 가계명성태황후 민씨는 경기도 여주시 근동면(近東面) 섬락리(蟾樂里) 사저 (현재의 여주시 능현동 250-1에서 민유중의 6대손으로 사도시 첨정이었던 민치록(閔致祿)의..

경기도여주 명성황후 유적지 (기념관) 2024-04- 08

명성황후출생 연도 / 1851년(철종 2)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 본관: 여흥 /출생지: 경기도 여주 / 관련 사건: 임오군란|갑신정변|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1851년(철종 2)에 태어나 1895년(고종 32)에 사망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서울에서 생활하다 왕비로 간택되었다. 1873년 성인이 된 고종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척족세력을 규합하여 정치적 협력자로 나서서 시아버지 대원군과 대립했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거듭된 국내 정변의 중심에 있었고, 청·일의 간섭으로 인한 혼란 속에 러시아에 의지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하자 위기를 느낀 일본이 살해했다. 사후 고종이 황제국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후로 추숭되었다.민..

근현대사 인물산책 (함태영.차미리사 집중탐구) / 2024-03-13

함태영 (咸台永) 1949년의 함태영 /대한민국의 제3대 부통령/임기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출생일 1872년 10월 22일/출생지 조선 함경도 무산군 무산읍/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사망일 1964년 10월 24일(92세)/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1가 396번지/(고혈압과 노환의 합병증으로 병사)/국적 대한민국 학력 한성법관양성소 졸업/주오 대학 정치학과 1년 중퇴/평양신학교 졸업/경력 한국신학대학교 재단 이사장 독립촉성중앙회 최고위원/자유당 상임고문/정당 무소속/본관 강릉/부모 함우택(부), 원주 변씨 부인(모)/배우자 밀양 손씨 부인(사별)/전주 최씨 부인(재혼)/고숙원(삼혼)/자녀 아들 함병철, 함병승, 함병창, 함병서, 함병욱, 함병소, 함병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