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 357

조선왕릉 전시관 (2024-06-07)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1392~1897)과  대한제국(1897~1910) 시대에 조성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이다.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릉 조성과 관리에 효(孝)와 예(禮)를 갖추어 정성을 다하였다. 왕릉을 조성할 때에는 풍수사상에 따라 최고의 명당을 선정하고, 최소한의 건조물을 설치하여 주변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왕릉 조성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관리실태는 상세하게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모범으로 삼도록 하였고, 현재까지도 각 왕릉에서는 매년 왕릉제향을 지내면서 역사적 전통을 잇고 있다. 조선왕릉과 같이 500년 이상 이어진 한 왕조의 왕릉들이 훼손 없이 온전히 남아 있는 예는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다. 이러한 역사적·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

조선왕릉 태강릉 (서울 태릉과 강릉) 2024-06-07

서울 태릉과 강릉 (서울 泰陵과 康陵)태릉홍살문과 정자각(2017년4월) /종목:사적 제201호(1970년5월26일지정)/면적;1,639,180m2 /시대:조선시대 /소유;문화재청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727 (공릉동)태릉(泰陵)은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의 능이고, 강릉(康陵)은 명종과 그의 비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다. 두 능을 아울러 태강릉(泰康陵)이라고도 한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01호로 지정되었다.태릉(泰陵)조선 왕조 제11대 임금인 중종(中宗)의 왕비(제3비)인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1565년)의 능으로, 1565년에 조성되었다. 태릉은 왕비의 봉분(封墳) 1기만을 조성한 단릉(單陵)이다. 왕후는 중종의 제2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

조선왕릉 화성 융릉 건릉 (2024 -05-25)

화성융릉 (華城隆陵)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조선후기 제21대 영조의 아들인 장조와 왕비 헌경왕후의 능.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 경기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 (안녕동)내용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조(莊祖)와 그의 비 헌경왕후(獻敬王后)의 능이다. 근처에 위치한 건릉(健陵)과 함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장조는 1735년(영조 11) 창경궁에서 탄생해 그 이듬해에 세자에 책봉되고, 1762년 28세 때 창경궁에서 죽었는데, 영조가 뒤에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 뒤 정조가 즉위하자 장헌세자(莊獻世子)라 하고 고종 때 장조로 추존되었다가 1899년 의황제(懿皇帝)로 다시 추존되었다.헌경왕후는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의 딸로서 1744년 세자빈에 간택되었다가 세자가 죽은 뒤 17..

서울 의릉(조선 20대 경종과 두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 2024-05-12

의릉 (懿陵)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 제20대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동원상하릉.의릉(懿陵)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 제20대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동원상하릉이다. 1724년에 경종의 능침을 조성하고, 1730년에 경종과 같은 언덕에 약 80자 정도 아래에 선의왕후의 능침을 마련하여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봉분이 완성되었다. 1962년에 중앙정보부(지금의 국가정보원)가 의릉 경내에 자리 잡으면서 의릉의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에 연못을 만들고 정원으로 활용하였으나, 1995년 중앙정보부가 이전하고 능역의 복원이 이루어졌다.건립경위1724년 8월 25일에 경종(景宗, 1688~1724, 재위 1720~1724)이 창경궁 환취정에서 승하하였다. 산릉 터를 자세히 살핀 결과,..

정릉 (신덕왕후) - 2024-05-11

정릉 (신덕왕후) 서울 貞陵 / 종목 사적 제208호/(1970년 5월 26일 지정) / 면적 299,574m2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문화재청 / 서울 정릉(대한민국)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2동 산87-16번지정릉(貞陵)은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능으로 원래 정동(貞洞) 영국대사관 자리에 있었던 것을 태종 9년에 옮겼다. 사적 제208호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에 있다.정릉 (신덕왕후) 개요신덕왕후 강씨는 1356년에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의 딸로 태어났다. 태조 원년(1392년) 조선의 개국으로 강씨는 음력 8월 7일 조선의 첫 왕비가 되어 현비(顯妃)에 봉해졌으며, 그 당시 이미 태조와의 사이에서 방번, 방석 두 왕자와 경순공주를 두고 있었다.태조..

여주 고달사지 (2024-04-18)

고달사지 (驪州 高達寺址) 종목 사적 제382호 / (1993년 7월 23일 지정) /면적 60,033m2/시대 남북국 시대 주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번지 외 여주 고달사지(驪州 高達寺址)는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에 있는 신라의 고달사 터이다. 1993년 7월 23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82호로 지정되었다. 고달사지 개요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처음 세워진 후, 고려 광종 이후 역대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절로 성장하였다. 고달사에는 석조 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모두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들었다고 전한다. 고달은 가족들이 굶어 죽는 줄도 모르고 절을 이루는 데에 혼을 바쳤다고 하는데, 절을 다 이루고 나서는 스스로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되었으며, 훗날 도를 이루..

원주 거돈사지 역사의 흔적 (2024-04-18)

원주 거돈사지(原州 居頓寺址) 사적 제168호 / (1968년 12월 19일 지정) / 면적25,339m2 /신라시대 /국유,사유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9 원주 거돈사지(原州 居頓寺址)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현계산 기슭의 작은 골짜기를 끼고 펼쳐진 곳에 있는 절터이다. 1968년 12월 1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절터는 현재 남아있는 3층석탑(보물 제750호)으로 보아 신라시대에 처음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1탑식 가람 배치를 하고 있는 이 절터에는 높은 축대 위에 중문을 세운 자리가 있으며, 그 뒤로 3층석탑과 금당터, 강당터가 남아 있다. 금당은 절의 중심건물로, 규모가 전면 6칸, 측면 5칸으로 되어 있다. 이 안에는 2m 정도 높이의 화강..

원주 거돈사지 전시관 (2024-04-18)

고려에서 조선 초까지 왕사.국사제도는 신라때 국통(國統) 이라는 제도와 그 맥을 같이한다. 불교 법계를 정비하고 영향력있는 승려를 대우해 신앙적 믿음과 정치적 이념을 결부시켜 안녕적으로 국가를 통치하고 운영하고자 했다. 백성의 덕망을 얻은 고승을 총해 믿음을 돌보고 결합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였다. 이 제도는 고려 태조를 거쳐 광종대에 이르러 보다 정교하고 체게적으로 정립된다. 덕망이 높은 고승을 추대하여 국왕이 예를 갖춰 모셨다. 불교가 국교로서 많은 사람의 신앙으로 청착되어 있었으므로 님중이 정치에 참여 못하는 대신, 그들을 도덕으로 교화할 수 있는 정신적 지도자인 고승을 국사로 책봉함으로써나라의 안녕과 안정을 도모하였다. 왕사와 국사의 역할에는 그 기능에서 차이가 있다. 고려전기 왕사는 국왕을..

원주 법장사지 역사와 흔적 (2024-04-18)

원주 법천사지(原州 法泉寺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사적/종목 사적 제466호(2005년 8월 31일 지정)면적 142,122m2 시대 통일신라/소유 국유,공유,사유/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629번지 외 원주법천사지(原州法泉寺址) / 대한민국 강원도의 기념물(해지) / 종목 기념물 제48호 /(1982년 11월 3일 지정)/(2005년 8월 31일 해지) 원주 법천사지(原州 法泉寺址)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법천사 터이다. 2005년 8월 3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66호로 지정되었다. 원주 법천사지(原州 法泉寺址) 개요 법천사는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법상종 사찰로 명봉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이 곳에는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지광국사 현묘탑비와 법당터 및 ..

원주 법천사지 유적전시관 (2024-04-18)

원주 법천사지 유적전시관 원주 법천사지유적전시관은 사적 원주 법천사지 내 위치한 전시관으로 남한강 유역의 주요 페사지인 거돈사지와 흥법사지를 보존관리하고 연구하는 공간입니다. 원주 법천사지는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법고사로 창건하여, 고려 문종 때 지광국사 해린의 하산소로 지정되면서 대형 사찰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법상종 계열의 사찰로 왕실의 후원을 받았으며 페사되기 전까지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법천사지에는 국보 법천사지 지광국탑비와 2024년에 원주로 돌아올 예정인 국보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당간지주가 있습니다 기획전시홀 밎 로비 (1층) 위 공간은 향후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및 지광국사탑비 실내로 들어오기 전까지 기획 전시실로 운영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