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역사기억여행 (2010~) (여행지)/2.독립운동기억 41

임시정부기념관 3층전시실 - 임시정부 활동(2023-06-25)

상하이 시기 (1919~1932)초기 활동 (1919)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1919년 10월 11일). 앞줄 왼쪽부터 신익희, 안창호, 현순. 뒷줄 김철, 윤현진, 최창식, 이춘숙.1919년 9월 1일, 집정관 총재인 이승만의 이름으로 발행된 100달러 대한민국 공채표.초기 임시정부는 내무총장 안창호의 주도로 연통제(국내의 비밀행정조직망)와 임시정부 통신 기관인 교통국을 조직하는 한편 《독립신문》을 발행하였으며, 각종 외교 선전활동 등을 전개하였다. 또한, 애국공채 발행과 국민의연금을 통해 독립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였다.1919년 7월 임시정부는 국제연맹 등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일관계사료집(韓日關係史料集)》을 편찬하기로 하고, 7월 7일 정부령으로 국무원 내에 '임시사료편찬회'..

임시정부기념관 3층전시실 - 정당이 만들어지다 (2023-06-25)

한국독립당 (韓國獨立黨) 지청천이 북만주에서 만든 한국독립당(1930~1933) /한국독립당 대한민족당 공견대족진영 애국단체연합약칭:한독당 (비공식) / KIP (영문) / 이념:공화주의 보수주의 반공주의 / 한국의 독립운동 (~1945)당직자 대표: 조소앙 (초대)역사창당1930년 1월 25일 /  해산:1970년 1월 25일 / 통합된 정당:신민당내부 조직중앙당사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시 (~ 1945)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1945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1930년 1월 25일 상하이에서 결성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었다. 대한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 제국에 대항한 단체로 이동녕·안창호·이유필·김두봉·안공근·조완구·조소앙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다.1930년 출범 초기에는 중국 ..

임시정부기념관 3층전시실 - 임시헌법과 임시의정원 (2023-06-25)

대한민국 임시의정원대한민국 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1919년 4월 10일 ~ 1946년 2월 6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다.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헌법 상 한국 국민을 대표하는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회 구성은 각 도별 대표와 비례대표가 있었고, 의정원의 구성형태는 단원제 의회였다.1919년 4월 10일 개원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당시중화민국 상하이에 있었다.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사전조직이자 임시정부의 의회이기도 했다. 4월 10일 각 도의 지역구 의원 29명을 선발한 뒤 4월 11일 의정원 투표로 상하이 임시정부 각료를 선출했다. 4월 10일의 초대 의정원 의원은 20세 이상인 자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였으나, 1919년 9..

임시정부기념관 2층 전시실 (임시정부관) / 2024-05 -31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大韓民國) / 1919년~1948년  표어:대한독립만세 (大韓獨立萬歲) / 국가(애국가) / 수도:서울(명목상 수도)임시정부 소재지 / 상하이 1919-1932 / 항저우 1932-1935 / 자싱 1935 / 난징 1935-1937 / 창사 1937-1938 / 광저우 1936-1939 / 치장 1939-1940 / 충칭 1940-1945 / 서울 1945-1948정치 정치체제 (민주공화정) / 의원내각제 (1919) / 대통령제 (1919~25) / 의원내각제 (1925~27) /  집단지도체제 (1927~40) / 주석제 (1940~48) / 임시 대통령 / 국무령 / 주석 / 부주석 이승만 (1919~25) / 이동녕 (1927~33) / 김구 (1940~47), / ..

임시정부기념관 2층 전시실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 2024-05 -31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National Memori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24 (현저동) / 개관일 2022년 3월 1일 / 운영자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설립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위원회(위원장: 이종찬) / 관장 김희곤 / 웹사이트 www.nmkpg.go.kr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기념하기 위하여 2022년 3월 1일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건립된 국립 기념관이다. 맞은 편에 서대문독립공원이 자리잡고 있다.설립2017년 7월 건립이 결정되었으며,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2022년 3월 1일 개관하였다.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이종찬이 건립위원회 위원장..

의열사 (義熱柌)

의열사(義熱柌) 이곳은 효창공원 내에 묘역이 있는 독립운동가 7인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1988년 효창공원 정비 공사때 건립을 추진하여 1990년에 준공하였고, 그 이듬해에 이동년. 김구.조성환 차리석. 이봉창.윤봉길.백정기 등 7인의 영정과 위패를 이곳에 모셨다. 7위선열을 기리는 추모 행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60주년인 1979년 4월13일 합동 추모 제전을 지낸 이래 계속 있었으며, 2011년부터는 전통 제례 방식을 따라 임시 정부 수립일 (4월 11일) 이나 환국일 (11월23일) 즈음에 '효창원 7위 선영 의열사 제전'을 거행하고 있다. 그동안 의열사를 제한적으로 개방했으나 후손들이 이곳에서 살아 숨 쉬는 역사를 생생하게 느끼고 애국 애족의 정신을 기르도록 2016년 5월부터 상시로 개..

임시정부 요인의 묘

임정요인의 묘 이 곳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약한 임정 주석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장 차리석 선생의 묘역이다. 이동녕(1869~1940) 선생은 충남 천안 출신으로 독립협회 활동과 언론.계몽운동,기독교청년회 [YMCA] 운동 및 을사늑약반대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1906년 북간도 망명 후 서전의숙을 설립하여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907년 귀국하여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는 한편 언론.교육 활동을 하면서 항일 구국 운동에 나섰다. 1910년 서간도에 망명하여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3.1운동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에 참여하였고,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을 조직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의정원의장, 국무위원, 주석 등을 지냈다. 1940년 중국 치장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

삼의사 묘 (안중근)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삼의사 묘 (三義士 墓) 이곳은 조국 광복을 위해 몸 바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를 모신 묘역이다. 삼의사는 1946년 김구선생의 주선으로 이곳에 봉한 안장되었다. 산의사의 묘 왼편에는 1910년3월26일 중국 뤼순감옥에서 순국한 안중근(安重根1879~1932)의사의 유해를찾으면 안장하고자 마련한 빈 무덤이 있다. 이봉창(李奉昌 1901~1932) 의사는 서울 용산 출신으로 용산 문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상하이로 건너가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선생과 함께 일왕 폭살 계획을 세우, 1932년 1월8일 동경 사쿠라다문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히로히토에게 폭탄을 던졌으나 불행히도 명중시키지 못하고 현장에서 체포되어 그해 10월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