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 367

아리랑 조선인 혁명가 (2007) - 김산의 불꽃 같은 삶

책소개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청년의 고뇌와 투쟁을 통해 조선인 혁명가로 거듭난 김산(본명 장지락)의 삶을 벽안의 젊은 여성 님 웨일즈가 기록한 책 『아리랑』. 이 책은 그 시대를 철저하게 호흡해 간 지식인의 생생한 전기이자 숨 가쁜 동아시아 역사의 기록이고 증언이며 역사가 명하는 바에 따라 불화살같이 살아간 한 조선인 독립혁명가의 피어린 발자취이다.목차추천의 글 / 리영희한국어판 서문 / 님 웨일즈서장 / 님 웨일즈1. 회상2. 조국에서의 어린 시절3. 독립선언4. 도쿄 유학 시절5. 압록강을 건너서6. 상하이, 망명자의 어머니7. 때를 기다리는 사람들8. 걸출한 테러리스트 : 김약산과 오성륜9. 결코 결혼하지 않으리라10. 톨스토이에서 마르크스로11. 중국 ‘대혁명’에 참가하여12. 광둥코뮌13. 해륙풍..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과 종교 (2002) - 연구29

목차특집논문: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과 종교3.1운동기 불교계의 동향일제하 불교계 통일운동과 조계사한말 천주교와 토착문화의 갈등일제하 천도교 농민교육운동근대 한국에서의 '단군민족주의'1920년대 전반기 보천교의 浮沈과 민족운동1920년대 초 태을교인의 민족운동일제시대 청림교의 활동과 성격일반논문許蔿의 의병투쟁과 서대문형무소尹世?의 국내 항일독립투쟁과 義烈團運動동북아에서의 일본 아편정책과 그 성격식민지시대 강제연행 실태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한 우익 주체의 합작 동기제2공화국 대외정책의 이상과 실제서평이현희 저,'대한민국임시정부사'역사탐방인도의 國父 간디의 혼을 찾아서자료소개'일제시대 불교정책과 현황 - 조선총독부관보 불교관련자료집'

한국 독립운동과 종교활동 (2000) 연구25

책소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5번째 편이다. 종교관계 특집호로 독립운동에 대한 종교단체의 기여와 한계를 검토하고, 한국독립운동사에서의 종교의 역할과 위상을 재학인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기독교 세력의 신간회 참여활동과 1930년대 천도교와 조국광복회 관계 등 이제까지 소홀하게 다루어 졌던 부분까지 자세하게 다뤘다.목차1. 특집논문 / 한국독립운동과 종교2. 일반논문3. 자료소개저자 소개편자: 한국민족운동사학회한국민족운동사를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하고 갈래를 잡음으로써 겨레의 역사인식을 올바르게 하고 겨레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목적으로 1986년에 조직되어 월례발표회와 함께 연구업적을 간행하고 있다.

한국민족운동사 연구의 역사적 과제 (2001) 연구27

목차1.한국독립운동 자료수집 현황과 과제.독립기념관의 자료수집 현황과 과제/장세윤 ...7.국가보훈처의 독립운동자료 수집현황과 과제/송권면 ...55.국사편찬위원회의 독립운동자료 수집현황과 과제/이상일 ...91.정부기록보존소의 조선총독부문서 소장현황 및 내용 검토/김형국 ...1252.1930년대 만주지역 한인독립운동의 역사적 성격.일본제국주의와 만주국:지배와 저항의 틈새/임성모 ...155."만주국" 농촌의 사회상/윤휘탁 ...187.만주의 한국민족해방운동과 중국공산당/한홍구 ...239.과거 기억과 현재의 상재-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사/신주백 ...287일반논문.개화기 윤치호의 일본인식/유영렬 ...331.1910년대 기독교 여성운동의 양상/윤정란 ...367.1930년대 전반기 서울사해..

한국 근현대 민족운동의 재인식 (2001) 연구28

목차1. 논문근현대 학계의 황사영 백서관 연구안악지방에서의 애국계몽운동1907ㆍ8년 지방금융조합의 설립과 운영1910년대 동화정책과 사립경성유치원1920년대 민족주의계열 경제운동론의 정치적 성격설산 장덕수의 문화운동과 사외인식일제시기 간도와 조선간 무역에서의 관세문제만주국의 주권에 관한 연구일제 말 비밀결사운동의 전개와 성격2. 서평일제 강점기 천도교 청년운동의 종합적 연구한국근대사의 지평 넓히기3. 역사탐방중국지역 한국독립운동 사료조사러시아지역 항일독립운동의 현장

구한말의 민족운동 (2000) 연구24

책소개 구한말 민족운동의 발생과 그 전개과정 그리고 의의 등을 다룬 아홉 편의 논문을 엮고 있다. 심층적인 구한말 상황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책.목차갑오경장 중 고종의 왕권회권운동통감부 시기 이원용 연구서북학회의 관서지방 지회와 지교경기지역 국책보상운동에 대한 연구일제의 간도 금융정책에 관한 연구1920년대 수원지역의 청년운동과 수원청년동맹한말~1920년대 조선인자본가층의 경제 동향과 민족주의운동1920~1930년대 황해도지역 수리조합반대운동일본역사교과서 근대편의 한국인식설림 - 대한광복회 평안도 지부장 경제 조현균서평 - 제국주의 연구의 자료와 자유에 대하여역사기행 - 가나자와의 윤봉길의사 암장터 탐방책소개

한국기독교 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 (2015)

책소개이 책은 1920~30년대 기독교 민족운동이란 개념 아래 한국기독교세력이 전개한 민족운동론과 민족운동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3·1운동 이후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킬 때까지 기독교세력의 민족운동을 당시 국내 민족운동진영의 동향과 관련하여 접근하였고, 기독교 민족운동의 역사적 위치와 의미를 일제하 민족운동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19세기 말이래 기독교는 종교조직력을 기반으로 민족운동의 주요 세력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기독교를 수용한 상당수 한국인들은 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운동’(獨立協會運動)을 통해 정치사회운동과정에서 기독교 정치·사회세력으로 등장하였다. 1910년대에는 언론·집회 및 결사의 자유가 철저하게 금지된 상황에서 종교 기능이외 정치·사회적 기능을 담당했다. 종교조직을 ..

만주지역 민족운동과 한국 (2002) 연구31

목차특집논문:1930년대 남만지역에서의 항일무장투쟁1.남만지역 중국공산당의 항일무장투쟁과 한인대원-황민호2.조선혁명군의 한,중연합항일작전-최봉룡3.요녕민중자위군에 대한 연구-유병호일반논문1.1920년대 도시금융조합의 활동과 보통은행과의 갈등-문영주2.일제 강점기 화엄사의 본산승격운동-한동민3.해방 직후 북한의 농업생산과 분배(1945~1948)-전현수4.1950년대 대충자금 및 미국 대한원조의 경제적 성격-긴용옥5.미국 역사학계의 한국근현대사 연구 실태와 연구 경향-홍순권

황푸군관학교의 한인 학생 (2024) - 교관편

책소개제국주의 열강의 식민 침탈이 가속화되던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는 3 · 1운동 이후 무력을 양성하여 일본 제국을 몰아내자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시작 · 지속하는 것의 한계를 체감한 청년들은 일제의 눈을 피해 한반도 바깥으로 떠났다. 한편, 열강의 침략과 내부 이념 분열, 군벌의 난립 등으로 혼란하던 중국은 제1차 국공합작을 성사하여 내외부의 적을 함께 처리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세워진 것이 광저우의 ‘황푸군관학교(육군군관학교)’이다. 정치적 식견을 가진 군사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던 황푸군관학교는 중국인뿐 아니라 아시아의 피지배 민족 모두에게 열려 있었다.합작이 와해되고 국제 정세가 격변함에 따라 황푸군관학교는 개교 5년이 못되어 폐교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