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성서연구 (책소개)/7.역사서.예언서

사사기·룻기·에스더 연구 입문 (2018)

동방박사님 2024. 5. 12. 07:49
728x90

책소개

본서는 사사기, 룻기, 에스더의 본문 형성 과정과 본문의 배경이 되는 사회적 정황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고대 근동의 상황과 관련하여 잘 제시하고 있다. 또한 역사비평의 장단점을 인지하는 가운데 문학비평의 맥락에서 본문이 제시하는 신학적 의미들을 고찰하고 있다.

저자 소개 

 
더블린대학교(University of Dublin) 히브리어 교수를 역임했고, 저서로는 Text in Context(Oxford University Press, 2000), Deuteronomy(Eerdmans, 1981) 외 다수가 있다.
 
킹스칼리지(King’s College)에서 구약학을 강의한 바 있으며, 저서로는 The Eschatology of Second Zechariah(1994)가 있다
역 : 임요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한 후, 도미하여 ·미국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 학위(Th.M.)를, ·남아공 University of Pretoria에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칼빈대학교 구약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월간 「원문과 설교」 구약 분야 편집 및 집필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구약...

책 속으로

저작 전반에 일관된 연대기가 있다. 다양한 연대 진술을 조사하는 데는 문제가 있지만, 이 문제들은 후대에 역사에 삽입하거나 신명기적 저자의 의도를 오해하는 데서 대두된다. 실제로 전체 역사를 함께 묶는 기본적으로 획일적인 연대기가 존재한다. - p. 22

사사기 2:11-16:31은 우선 2:11-3:6에서 이 시기의 신학적 서론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사건과 특정 개인들에 대한 언급을 다룬 기사가 이어진다. 우리는 폭넓게는 두 가지 범주의 자료와 두 유형의 개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이스라엘을 압제에서 구원하는 특별한 비상사태에 대처하도록 여호와가 세운 구원자들(deliverers)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사기 10:1-5과 12:7-15에 이스라엘의 사사(Judge)였던 여섯 명에 대한 기록이 있다. - p. 30-31

에스더서에 있는 어떤 실제 역사적인 핵심부는 클라인스의 말로 하면 “지극히 작을”(very tiny) 것 같다. 오히려, 에스더서를 반유대주의(anti-Semitism)를 유형론적으로 다룬 것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최선이다. - p. 242

유대교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에스더서가 하나님의 섭리보다는 맹목적인 운명을 믿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가 일상생활에서 베일에 가려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에스더서는 유대인들이 신적 목적(divine purpose)에 있어서 특별한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주장하는 데까지는 나가지 않는다. - p. 275-276
--- 본문 중에서

추천평

이 책은 성경 본문의 내용에서 시작하며, 여러 주제들을 고대 근동의 관점에서, 그리고 여러 학자의 견해들을 바탕으로 풀어 준다. 성경의 개별 책에 관한 교과서 성격의 이런 책이 또 한 권 번역되어 세상에 빛을 보게 된 점을 축하하며 기꺼이 추천한다. 아무쪼록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하여 사사기, 룻기, 에스더 본문을 통해 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속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들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

- 김정훈 (박사 | 부산장신대학교 구약학 교수)
이 시리즈 전체가 하루 속히 우리 말로 소개되어 구약성경의 세계가 더 많이 소개되기를 간절히 소망하며 적극 추천한다.
- 차준희 (박사 | 한세대학교 구약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