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종교의 이해 (책소개)/2.한국종교

격암유록 (2013) - 마지막 해역서

동방박사님 2024. 6. 21. 17:16
728x90

책소개

이 시대 인류의 참 생명로를 밝힌 진경(眞經)!
미결로 남은 해석상의 의문을 해소시킨 마지막 해역서!


이 책은 글의 원뜻을 살리기 위해 복잡한 부연설명은 피하고 원문(原文)만을 그대로 한글로 옮긴 순수원문해설서다. 이 책의 원문은 주역과 한문지식만으로 풀 수 있는 글이 아니다. 마음과 근원세계의 각성 없이는 책속의 진짜 중대사를 파악하기 어렵고 천의(天意)를 알 수도 없다. 이 시대 인류에게 책이 전하고자하는 핵심사항은 구세진인, 해인과 초락도, 다가올 일들, 참된 피난처는 마음(心)이라는 네 개의 메시지다.

이 책의 원저자(神人)는 하늘이 예정한 운(天運)은 피할 수 없으니 위의 메시지를 깊이 궁구하여 ‘사는 길’을 찾으라고 거듭 경고하고 있다. 이 책은 시대를 초월하여 생명의 빛을 담고 있는 진경(眞經)이자, 그 자체로 영묘한 조화력을 지닌 호신부적(護身符)이다. 책을 계속해서 읽으면 글의 참뜻과 몸, 마음의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어디든지 비치하면 사불범정의 신험(神驗)이 있고, 이 책을 전하는 일은 더 없는 활인공덕이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 1 부 격암유록 원문 해설


남사고비결(南師古秘訣) | 세론시(世論視) | 계룡론(鷄龍論) | 내패예언육십재(來貝予言六十才) | 말운론(末運論) | 성산심로(聖山尋路) | 사답칠두(寺畓七斗) | 석정수(石井水) | 생초지락(生初之樂) | 새삼십오(賽三五) | 새사십일(賽四一) | 새사십삼(賽四三) | 새사십사(賽四四) | 라마단이(羅馬簞二) | 라마일 이십삼조(羅馬一 二十三條) | 가전(哥前) | 무용출세지장(無用出世智將) | 새육십오(賽六五) | 궁을론(弓乙論) | 도하지(道下止) | 은비가(隱秘歌) | 농궁가(弄弓歌) | 가사요(歌辭謠) | 조소가(嘲笑歌) | 말운가(末運歌) | 극락가(極樂歌) | 정각가(精覺歌) | 길지가(吉地歌) | 궁궁가(弓弓歌) | 을을가(乙乙歌) | 전전가(田田歌) | 반사유가(盤四乳歌) | 십승가(十勝歌) | 해인가(海印歌) | 양백가(兩白歌) | 삼풍가(三豊歌) | 칠두가(七斗歌) | 석정가(石井歌) | 십성가(十姓歌) | 삼팔가(三八歌) | 해운개가(海運開歌) | 백석가(白石歌) | 격암가사(格庵歌辭) | 궁을도가(弓乙圖歌) | 계룡가(鷄龍歌) | 사답가(寺畓歌) | 계명성(鷄鳴聲) | 가사총론(歌辭總論) | 출장론(出將論) | 십승론(十勝論) | 양백론(兩白論) | 삼풍론(三豊論) | 계룡론(鷄龍論) | 송가전(松家田) | 승운론(勝運論) | 도부신인(桃符神人) | 성운론(聖運論) | 말초가(末初歌) | 말중운(末中運) | 갑을가(甲乙歌)

제 2 부 부 록

십간의 의미 | 십이지의 의미 | 주역팔괘의 의미 | 삼천변화도 | 주역육십사괘 | 하도와 낙서 | 복희선천팔괘도와 문왕후천팔괘도 | 육도삼략의 육도

제 3 부 格庵遺錄 原文

南師古秘訣(남사고비결) | 世論視(세론시) | 鷄龍論(계룡론) | 來貝予言六十才(내패예언육십재) | 末運論(말운론) | 聖山尋路(성산심로) | 寺畓七斗(사답칠두) | 石井水(석정수) | 生初之樂(생초지락) | 賽三五(새삼십오) | 賽四一(새사십일) | 賽四三(새사십삼) | 賽四四(새사십사) | 羅馬簞二(라마단이) | 羅馬一二十三條(라마일 이십삼조) | 哥前(가전) | 無用出世智將(무용출세지장) | 賽六五(새육십오) | 弓乙論(궁을론) | 道下止(도하지) | 隱秘歌(은비가) | 弄弓歌(농궁가) | 歌辭謠(가사요) | 嘲笑歌(조소가) | 末運歌(말운가) | 極樂歌(극락가) | 精覺歌(정각가) | 吉地歌(길지가) | 弓弓歌(궁궁가) | 乙乙歌(을을가) | 田田歌(전전가) | 盤四乳歌(반사유가) | 十勝歌(십승가) | 海印歌(해인가) | 兩白歌(양백가) | 三豊歌(삼풍가) | 七斗歌(칠두가) | 石井歌(석정가) | 十姓歌(십성가) | 三八歌(삼팔가) | 海運開歌(해운개가) | 白石歌(백석가) | 格庵歌辭(격암가사) | 弓乙圖歌(궁을도가) | 鷄龍歌(계룡가) | 寺畓歌(사답가) | 鷄鳴聲(계명성) | 歌辭總論(가사총론) | 出將論(출장론) | 十勝論(십승론) | 兩白論(양백론) | 三豊論(삼풍론) | 鷄龍論(계룡론) | 松家田(송가전) | 勝運論(승운론) | 桃符神人(도부신인) | 聖運論(성운론) | 末初歌(말초가) | 末中運(말중운) | 甲乙歌(갑을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