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기독교 신학연구 (책소개)/3.칼빈주의연구 46

겸손한 칼빈주의 (2020) -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칼빈주의자의 모든 것

책소개 칼빈주의의 가장 중요한 다섯 자는 튤립(TULIP)이 아니라 예수님(JESUS)이다! 칼빈주의가 무엇인지에 대한 유용한 요약이자 스스로를 칼빈주의자라고 확신하는 사람들에게 약이 되는 책이다. 칼빈주의를 머릿속에만 담지 말고 가슴속에 품음으로써 진리에 열심을 품을 뿐 아니라 겸손하고 은혜롭게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에 찬양과 영광을 돌릴 것을 촉구한다. 저자는 자신이 칼빈주의를 옹호하는 데는 빠르지만, 다른 관점을 취하는 그리스도인들을 겸손하게 사랑하는 데 종종 둔감했음을 인정한다. 따듯하면서도 재치 있고 도전적인 이 책은 칼빈주의의 다섯 가지 핵심을 꿰뚫어보며, 이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주님과 다른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사랑을 더욱 불러일으킨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1. 칼빈주의의 문제..

존 파이퍼와 떠나는 칼빈주의 여행 (2022)

책소개 성경에서 얻는 하나님에 대한 명확한 지식은 하나님을 향한 애정에 불을 지피는 불쏘시개와 같다. 저자도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이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제일 중요한 지식은 아마도 “우리의 구원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 하나님은 과연 어떤 분이신가?”에 관한 내용일 것이다. ‘칼빈주의 5대 교리’가 바로 그 지식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결국 우리가 성경으로 돌아가게 되길 바라는 마음뿐이다. 저자의 글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깨닫고, 사랑하고, 즐거워하고, 순종해야 한다. 여기서 저자와 여러분의 만남을 통해 우리 모두 “하나님의 더 넓고 깊고 높은 은혜의 세계를 향해” 한걸음 더 들어가게 되길 기도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1장 ..

현대인을 위한 칼빈의 기독교강요 (2022) - 해설과 토론

책소개 한국복음주의신학의 개척자인 학성(鶴聲) 한철하 박사(1924-2018)는 세계적인 칼뱅학자이다. 세계칼뱅학회를 창립한 독일 뮌스터대학의 Dr. Wilhelm Neuser는 그의 칼뱅 이해에 대해서 경이롭고, 놀랄만하다고 격찬하며, 그의 신학을 높이 평가했다. 본 책은 평생 칼뱅학자로 살아온 그의 마지막 강의를 책으로 엮은 유작이다. 특별히 그와 더불어 한국의 지성들이 약 15년간 길균모임에서 “기독교강요”에 대해 토론한 내용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신학은 물론 정치, 경제, 역사,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토론이 전개됨으로써 한국판 향연(symposium)이 펼쳐져 있다. 그의 “기독교강요”에 대한 사랑과 연구는 지극했다. ACTS 설립과 더불어 기독교강요를 계속 강의하였고, 미국 Fu..

아브라함 카이퍼의 칼빈주의 강연 (2022) - 문화 변혁의 기독교 세계관 선언서

책소개 - 기독교 세계관의 원조 - 삶과 세계를 포괄하는 칼빈주의 - 1898년 프린스턴 대학교 스톤 강연 『칼빈주의』 최초의 화란어 완역본 본서는 네덜란드 개혁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1898년 미국 프린스톤 신학교의 스톤 강좌에서 했던 여섯 개의 강연을 싣고 있다. 이 강연들은 모두 ‘칼빈주의’(Het Calvinisme)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적용됩니다. 카이퍼 자신이 고백하듯이, 그는 옛 16세기 제네바의 개혁자 장 칼뱅(Jean Calvin, 1509-1564)의 신학적 유산을 답습하거나 과거로 돌아가는 것에 결코 만족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칼뱅의 신학 사상을 20세기 당대의 사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적용하기를 추구했다. 따라서 그는 ..

칼빈의 팔복 강해 (2022)

책소개 위대한 종교개혁자가 남긴 ‘팔복 강해설교’의 진수 1559년 7월부터 시작된 칼빈의 공관복음 설교 시리즈 가운데 ‘팔복’(지복)에 관한 설교를 묶었다. 건강 악화로 강단에서 내려온 1564년 2월까지도 끝내지 못한 ‘팔복 강해’는 결국 그의 타계로 인해 미완으로 남았다. 칼빈의 생애 말년에 이뤄진 이 설교들은 일생을 설교자로 살았던 그의 원숙한 말씀 선포의 정수를 보여 준다. 이 설교를 통해 위대한 종교개혁자가 16세기 제네바의 예배당에서 전한 메시지를 생생하게 듣게 될 것이다. * 각 설교 말미에 ‘칼빈의 즉흥기도’와 함께, 로버트 화이트의 ‘설교 해설’이 실려 있다. 목차 서론 · 8 설교 전 기도 · 21 1장. 부르심과 택하심 · 23 해설_복음서들의 조화에 관한 61번째 설교 · 48 2..

칼빈의 예정론과 섭리론 (2021) - 그의 중간개념(medium quiddam)을 중심으로

책소개 자연재해, 전염병 그리고 전쟁. 이런 중대한 일들은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인가. 흑사병을 겪었던 16세기 중세에도 동일한 질문이 있었고 신학자들은 이런저런 해결책을 내 놓았다. 지은이는 당시로 돌아가 하나님의 섭리에 있어서 우연과 필연의 중간상태가 있는가?하는 문제와 하나님의 결정과 허용의 문제, 인간의 의지와 하나님과의 협력의 문제 등을 중세 스콜라 신학과 16-18세기 일부 개혁파 신학자들과 그리고 칼빈의 관점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한다. 칼빈의 예정론과 섭리론을 묶고 우연과 필연의 중간상태를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신학계의 많은 관심이 예상된다. 목차 추천사 저자 서문 Ⅰ 서론 Ⅱ medium quiddam에 대한 역사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