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국제평화 연구 (책소개)/2.국제정치외교

미국의 핵전략 (2024) - 전략적 억제와 안정의 딜레마

동방박사님 2024. 6. 11. 07:50
728x90

책소개

1940년대 핵무기의 등장 이후 냉전 시기의 핵보복전략인 대량보복전략부터 유연반응전략, 상호확증파괴전략,
냉전 종식 후 다양한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억제전략에 이르기까지
지난 80년간의 국제 안보 환경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경제 상황에 따른 미국 핵전략의 변화와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미국의 핵전략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함의를 담은 역작!

러시아와 중국의 핵전력 증강과 공세적 핵전략으로의 전환,
북한의 지속적인 핵개발과 핵능력 강화로 인해
핵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지금,
미국의 핵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읽어야 할 필독서


이 책은 미국의 핵전략에 초점을 맞춰 미국이 1940년대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해 핵무기를 얻게 된 과정부터 지난 80년간 미국의 각 행정부(아이젠하워 행정부부터 현재 바이든 행정부까지)가 이를 전략적으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발전시켜온 핵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미국의 핵전략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하고, 미국의 핵전략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함의를 진지하게 살펴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앞으로 미국이 북한의 핵개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만약 북한이 핵공격을 한다면 미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우리는 북한의 핵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핵전략이 단순히 핵무기 사용의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국제정치와 안보의 복잡한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접근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핵무기와 관련된 전략적 사고를 깊이 이해하고, 현대 국제정치에서 핵무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시점에서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무엇인가를 고민하고 우리에게 조금 더 현실적인 대안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우리는 왜 미국의 핵전략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미국 핵전략의 변화와 연속성
이 책의 구성

CHAPTER 1_핵무기, 새로운 전쟁의 패러다임으로

유럽에서 핵 과학이 시작되다
원자핵 그리고 핵분열을 둘러싼 숨 막히는 경쟁
미국으로 건너간 유럽의 과학자들
드디어 맨해튼 프로젝트의 서막이 오르다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최초의 핵실험, 악마를 깨우다
일본에 대한 핵폭탄 투하 결정

CHAPTER 2_핵전략의 태동

냉전의 시작
예상보다 빨랐던 소련의 핵실험
트루먼, 드디어 수소폭탄 개발을 결심하다
에드워드 텔러, 수소폭탄의 아버지
핵무기의 표준화와 대량생산
아이젠하워와 뉴룩 정책
대량보복전략, 유럽의 방위전략으로 채택되다

CHAPTER 3_핵전략의 신뢰성 논쟁

억제 이론의 발전
대량보복전략 비판과 제한 핵전쟁 구상
케네디와 맥나마라
유연반응전략을 채택하다

CHAPTER 4_핵 3축 체계의 개발과 확증파괴전략

전략폭격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핵 3축 체계의 상호보완성과 확증파괴전략의 실행
1970년대, 핵전략의 변화가 지속되다

CHAPTER 5_핵군비통제 전략의 기원과 교훈

쿠바 미사일 사태와 상호 공멸의 위기
제한적 핵실험 금지와 NPT
초강대국 핵군비경쟁의 격화
마침내 핵군비통제 시대의 서막이 열리다
전략무기제한조약-II(SALT-II)
레이건, 유럽에서 중거리 핵미사일을 완전히 없애다
핵군비통제의 교훈

CHAPTER 6_냉전의 종식과 핵전략의 대전환

소련의 몰락
소련의 핵무기를 물려받은 국가들
부시 대통령의 일방적 핵군축구상(PNI)
불량국가의 핵개발 모험
클린턴 행정부, 핵태세를 최초로 검토하다

CHAPTER 7_맞춤형 핵전략의 시대

맞춤형 억제 개념의 등장과 억제의 작전화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핵전략
오바마 행정부의 핵전략
트럼프 행정부의 핵전략
바이든 행정부의 핵전략
NPR, 핵전략의 변화와 연속성을 나타내다

CHAPTER 8_새로운 시대의 준비

핵무기의 역할과 효용성 논쟁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다자간 패권경쟁과 3자 억제
신기술 발전과 핵억제

에필로그
다섯 단계로 나눠지는 미국 핵전략의 역사
미국의 핵전략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미국 핵전략 전망
미국의 핵전략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함의
책을 마치면서

부록
SLBM의 종류와 상대적 크기, 운용하는 잠수함 종류
PNI-I / PNI-II

미주(尾註)

저자 소개

저 : 이만석
1983년 경기도 오산에서 태어나 2006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물리학 전공)했다. 2015년 미국 UC 버클리에서 핵공학 석사 학위 및 국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2023년 같은 대학에서 미국의 국가안보정책을 주제로 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과정 동안 미국 USC 아시아태평양 대전략 펠로우를 역임했고,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서 미국의 확장억제전략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핵안보, 한미동...
 
저 : 함형필
1968년 경기도 양평에서 태어나 1991년 육군사관학교를 수석 졸업했다. 미MIT대학에서 핵공학 석사(1996년)와 박사(2005년) 학위를 취득했다. 2005년 국방부군비증검단에서 핵검증 담당을 역임했으며, 2007년부터 한국국방연구원(KIDA) 북한군사연구센터에서 현역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2008년 북한군사 전략정보분석 실장으로 역임했다. KIDA 군사기획연구센터에서 현역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북핵문제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