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사회학 연구 (책소개)/6.아나키즘 39

한국의 아나키즘 (인물편)

책소개 총체적?입체적 분석으로 한국 아나키스트 활동을 체계화한 아나키스트사의 정수 지역별?시기별 대표적 아나키스트 8인의 장도를 따라 걷다 한국 아나키즘의 전범 『한국의 아나키즘』 시리즈의 결정판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을 집중 조명한 역작이 출간된다. 한국 아나키즘 연구의 제1인자인 저자는 당시 잡지, 신문, 증인신문조서 등 1차 사료와 연구 성과를 총동원하여 아나키스트들의 체취와 족적을 되살린다. 시기(수용기-일제강점기-해방 이후)와 지역별(국내, 중국, 일본)로 대표적인 8인의 인물을 선정, 분석함으로써 전방위로 전개되었던 그들의 활약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2001)이 아나키즘의 태동, 『한국의 아나키즘-운동편』(2015)이 조직 활동을..

유치환 문학과 아나키즘

책소개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풀어보는 유치환 문학의 특질 유치환은 그의 작품이나 행적에서 표면적으로는 많은 모순을 노정하고 있는 듯 보인다. 이러한 경향에 근거하여 그에 대한 평가 또한 여러 상반된 논의들이 공존해 있는 형국이다. 이 글은 유치환의 문학에서 드러난 모순성이나 평가의 양극화와 아나키즘 사상에 바탕한 그의 시의식과의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출발하였다. 아나키즘은 하나의 성격으로 확고하게 규정짓기 어려운 매우 광범위한 사상으로, 인간의 절대 자유에 대한 지향이라는 기치아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개인적 자아와 사회주의적 아나키즘의 사회적 자아라는 모순적 관계가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Ⅰ. 유치환 문학과 아나키즘 1. 유치환 문학에 관한 여러 시각들 2. 사상적 / 미학적 측면에서의 아나..

아나키즘 (존몰리뉴)-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책소개 국가와 권위, 부패한 의회 정치와 제 잇속만 챙기는 정당을 전면 거부하는 아나키즘 사상은 새로이 급진화한 청년들에게 인기가 높다. 그러나 고귀한 이상과 온갖 영웅적 행동에도 불구하고 아나키즘에는 이 사회를 바꾸고 그 이상을 실현할 진지한 전략이 없다. 마르크스주의자인 존 몰리뉴는 국가, 조직, 개인에 대한 아나키즘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지난 160년 동안 아나키즘이 운동에서 한 구실을 평가한다. 또 자율주의, 운동 속의 의사 결정, 직접행동 같은 오늘날의 논쟁도 다룬다. 이 책은 아나키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가 평등하고 계급 없는 사회라는 같은 목표를 추구하지만 이런 사회에 도달하려면 아나키즘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목차 머리말 1장 아나키즘의 매력 2장 아나키즘 사상 국..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

책소개 강명관 교수, 왜 〈허생〉을 다시 읽는가 허생에서 연암이 꿈꾼 새로운 세상을 찾아내다 가난한 선비 허생이 과일과 말총을 사재기하여 큰돈을 버는 이야기. 연암 박지원의 〈허생〉은 누구나 줄거리를 알 정도로 유명한 소설로, 당시 조선의 취약한 경제를 폭로하고 실학적 관점에서 북학과 상업주의를 지지한 작품이라고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이 책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허생〉의 의미를 산산이 깨뜨리는 파격적인 해석을 담았다. 저자 강명관 교수는 〈허생〉이 실린 〈옥갑야화〉의 모든 작품을 꼼꼼하고 면밀하게 읽는 동시에 연암의 방대한 사유와 『열하일기』의 전체 맥락 속에서 〈허생〉이 무엇을 말하는지 분석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허생〉을 만나게..

아나키즘 이론에서 실천 까지 (다니엘 게렝)

책소개 『아나키즘: 이론에서 실천까지』는 아나키즘에 일정 수준의 관심을 가진 독자가 이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할 때 접할 수 있는 “가장 간결하면서도 훌륭한 입문서”(New Statesman)다. 프루동, 바쿠닌, 크로포트킨 등 대표적인 아나키즘 사상가들의 육성을 생생히 되살리고, 파리코뮌에서 유고슬라비아의 노동자 자치까지 넘나들며 아나키즘의 이론, 역사, 실천을 단 한 권에 함축시켰다. 노엄 촘스키는 이 책의 영문판에 쓴 서문에서, 1965년에 처음 발간해 50년의 세월을 거치며 이미 이 분야 고전의 반열에 올랐지만 여전히 현재성을 지니는 이 책의 힘을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부록 ‘아나키즘과 마르크시즘’은 많은 부분에서 오해와 갈등을 빚어온 두 사상의 애증의 역사와 차별성을 명료하게 정리했..

한국의 아나키즘 100년 (구승희)

책소개 한국 아나키즘은 해방과 자주를 향한 투쟁에서 견인차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 역사에서 왜곡, 단절, 망각되어왔다. 이 책은 우리 아나키즘의 역사를 복원함으로써 20세기 한국사를 온전케 하고, 한국 사회의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아나키즘을 연구하는 10명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쓴 이 책은 지금까지 여기저기 흩어져 소개된 한국 아나키즘을 다학문적 차원에서 다양한 시각으로 재정리함으로써 한국 아나키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저변을 확대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책은 지난 한 세기 한국인에게 아나키즘이란 무엇이었던가를 정리함으로써 21세기 한국 아나키즘의 나아갈 길을 함께 고민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이 책의 공저자들은 영역별 집필팀과 위원회를 구성하..

아나키즘 정치철학

소개 아나키즘 정치철학 1. 최초의 아나키스트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 인간존재의 삶 그 자체는, 지극히 政治的이다. 一言以蔽之하여 ‘인간존재의 삶은 정치’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현실정치는, 어떤 드라마보다도 드라마틱하고, 나아가 어떤 예술작품보다도 예술적이며 재미있다. 그런 ‘정치 드라마’에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스스로의 삶 자체에 대해 긍정적이지 못한 탓이다. 그리고 정치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탓이기도 하다. 물론, 고도의 知的 行爲에 의해 조작되는 정치적 상황을, 서민대중으로서 쉬이 이해되고 분석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득권층의 ‘정치적 프로파간다’에 놀아나는 ‘개돼지 群衆’의 신세가 되지 않으려면, 현실세계의 인간존재는, 죽음의 순간까지 國際政治와 國內政治라는, 현실정치에 ..

ANARCHISM

소개 아나키즘의 철학, 국가관, 정의와 도덕 그리고 공산주의와 아나키즘의 관계를 다룬 표트르 크로포트킨의 논문 5편을 한 권으로 엮은 것으로, 아나키즘의 기본 개념과 이론, 그리고 입장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 소개된 다섯 편의 글은 연설문으로 기획되었거나 발표되었다. 혁명의 시대에 청중을 대상으로 하는 연설은 정치선전과 사상투쟁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였다. 대결의 시대를 반영하듯, 그의 논문에는 과학적 논증과 논리적 전개뿐만 아니라, 격한 감정의 토로와 분노 그리고 자기 방어와 도전의 정서가 넘친다. 때로 이러한 것들은 논문의 순수 이론적 성격을 약화시킬 수도 있지만, 반면에 하나의 이론과 사상이 동시대와의 치열한 대화, 소통 그리고 대결 속에서 배태되고 탄생되고 성숙하는 궤적을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아나키즘

책소개 아나키즘이 역사적으로 걸어온 길과 논쟁의 역사, 그리고 오늘날 아나키즘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흔히 '무정부주의'라 불리곤 하는 아나키즘에 대한 개념을 바로잡고 있다. 아나키즘은 국가만이 아니라 시장의 폭력에 맞서고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와 생태계를 파괴하는 개발주의에도 반대하기 때문에, '반강권주의'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 얘기한다. 또한 아나키즘을 자유와 평등은 대립하지 않고 서로를 전제할 때에만 제 가치를 다할 수 있는 자유와 연대의 철학으로 규정하며, 오늘날 곳곳에 존재하는 억압에 맞서 사회 전체의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얘기한다. 목차 1장 왜 다시 아나키즘인가 1.오래된 미래, 아나키즘 2.아나키즘이 우리에게 던지는 물음들 2장 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