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일본학 연구 (책소개)/8.일본기독교 25

일본 그리스도교사 (2008)

책소개 서울대학교 명예 교수이며 한국교회사연구소 고문인 이원순 선생이 번역한 『일본 그리스도교사』는 일본 그리스도교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통사서이다. 이 책(『日本キリスト敎史』)의 원저자인 고노이 다카시는 세계사적 시야로, 동양 선교의 선두에 나선 예수회의 창설과 일본 선교를 시작하는 때부터 신앙의 자유가 보장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일본 그리스도교사를 통찰한 결과를 이 책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천황제와 일본 개신교 (2020)

책소개 많은 한국인, 특히 한국 개신교인들은 한·일 간 갈등의 기저에 일본의 ‘천황제’가 자리한다는 것을 모르는 실정이다. 본서는 바로 이런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본서는 단출하게 천황제와 일본 개신교를 각각 다룬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5항목으로 엮어진 1부 “천황제의 태동과 발전”에서는 일본의 천황제가 근대화 과정 속에서 국가 기축적 “천황교”로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군국주의적 침략국가인 일본이 아시아를 전쟁의 참혹으로 몰고가는 데 있어 토대가 되었던 이데올로기로서 천황제의 종교적 이단성을 지적한다. 또한 오늘날까지도 “다이죠우사이”(大嘗祭)를 통해 천황을 국가 제사장으로 찬양하는 군국주의적 일본의 민낯을 고발한다. 2부인 “천황제 안에서 시작된 일본 개신교”는 이러한 천황교 ..

일본의 정신과 기독교 (2019)

책소개 일본 개혁파 교회의 입장에서 일본의 정신과 기독교의 역사를 정리했다. 일본을 움켜쥐고 있던 정신과 그에 맞서는 기독교를 역사적 측면에서 꿰뚫어 볼 수 있다. 오노 시즈오 교수는 일본인 특유의 치밀함으로 기독교 역사를 관찰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견주어 해석한다. 이 책을 통해 일본의 정신이 기독교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기독교는 어떻게 시대정신을 감당했는지, 앞으로 일본 선교의 방향성은 무엇인지 파악하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일본의 정신을 이해하고 그 정신이 기독교와의 상호 작용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한편으로 일본 기독교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고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고군분투한 과정도 만나 보게 될 것이다. 일본을 이해하고 일본 선교의 방향성을..

일본기독교 문학선 (2006)

목차 - 옮긴이의 말 1. 어머니이신 神 / 엔도 슈사쿠 2. 神의 피에로 / 시나 린조 3. 고목 / 오가와 구니오 4. 내 깊은 심연에서 / 시마오 도시오 5. 칼 바르트와 메밀꽃 / 시카타 히로오 - 지은이 소개 - 옮긴이 소개 저자 소개 저 : 엔도 슈사쿠 (Shusaku Endo,えんどう しゅうさく,遠藤 周作) 일본의 대표적인 현대 소설가. 가톨릭 신자인 이모의 집에서 성장하였으며, 열한 살 때 세례를 받았다. 1949년 게이오 대학 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현대 가톨릭 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수여하는 장학금으로 프랑스 리옹 대학에서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결핵으로 인해 2년 반 만에 귀국한 뒤,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1955년에 발표한 『하얀 사람』(白ぃ人)으로 아쿠타가와..

일본기독교사 (2012)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머리말 서장 일본에 도입된 기독교 제1장 메이지 시대 초기의 기독교 수용 제2장 초기의 기독교 제3장 천황제 확립기의 기독교 제4장 여러 교파의 성립과 전개 제5장 메이지 시대의 신학사상 제6장 자본주의 확립기 기독교인의 사상과 행동 제7장 다이쇼 시대의 기독교계 제8장 다이쇼 시대 기독교인의 사상과 행동 제9장 일본의 한국 통치와 기독교 제10장 파시즘 시대와 전시하 기독교계 제11장 파시즘 시대와 전시하 기독교인의 사상과 행동 제12장 전후의 일본 기독교 후기 재판후기 번역을 하고나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