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성서연구 (책소개)/5.이스라엘유대사 22

유대인 이야기 (2013) - 그들은 어떻게 부의 역사를 만들었는가

책소개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유대인의 내밀한 저력을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밝혀낸다 이스라엘의 경제적 성과는 눈부시다. 세계 경제위기 가운데서도 최저의 실업률과 호황을 맞은 부동산 시장, GDP 대비 R&D 투자비율 세계 1위와 같은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자원이 풍부한 것도 아니고, 연일 이슬람 국가들과의 전쟁 공포에 휩싸인 나라에서 경제대국 미국의 경제를 주무르는 유대인들의 부의 지배력이 어떻게 나오는 것일까? 22년간 KORTA에서 근무하며 세계 곳곳의 다양한 경제 환경을 경험한 저자는, 이 책에서 경제의 역사를 주도한 유대인들이 어떻게 지금의 성공을 이룰 수 있었는지를 파노라마처럼 들여다본다. 이 책은 쉽고 간결한 문체로 그려낸 한편의 대하 다큐멘터리이다. 어떤 현상이나 사건에 관한 지엽적 서술이 아..

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한다 (2023)

책소개 『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한다』는 우리가 지금껏 알지 못했던 유대인들에 관한 이야기로, 죽은 유대인들을 즐겨 소비하는 세상의 뒤틀린 애착을 흥미롭고도 논쟁적으로 탐구한다. 홀로코스트에 대해 알수록 반유대주의가 줄어든다는 근거 없는 믿음에 구멍을 내고, 홀로코스트를 인류의 ‘보편적’ 경험으로 마케팅하는 일이 홀로코스트의 공포를 폄하하는 방식들을 밝혀낸다. 『안네의 일기』가 지금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진짜 이유를 비평적으로 제시하며, 하얼빈, 마르크 샤갈, 한나 아렌트에 관한 전혀 새로운 관점의 이야기들을 풀어놓는다. 낡고 오래된 편견을 깨부수는 통렬한 문제 제기, 은밀하고 교묘한 차별에 저항하는 신랄한 통찰력, 누구도 얘기한 적 없는 희극적이면서 비극적인 소재를 유려하게 풀어내는..

홍익희의 신 유대인 이야기 (2022) - 자본주의 설계자이자 기술 문명의 개발자들

책소개 어떻게 신 유대인들은 위기에서도 부와 권력과 미래를 만들어냈는가! ***** 드디어 조선일보 최고 인기 연재물 ‘홍익희의 신 유대인 이야기’ 출간! 이 책은 국내 최고 유대인 전문가 홍익희 전 세종대학교 교수가 조선일보에 2021년 1월부터 연재하고 있는 ‘홍익희의 신 유대인 이야기’를 출간한 것이다. 지금 전 세계는 코로나 버블 후유증에 따른 고금리, 고환율, 인플레이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전대미문의 복합 위기 앞에 있다. 그런 우리에게 신 유대인이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성취해나간 이야기는 문제해결의 힌트를 준다. 또한 이 책은 신 유대인 이야기이자 그 자체로 현대 경제사이고 과학기술사이고 문명의 발전사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왜 우리는 지금 유대인을 알아야 하..

오늘의 이스라엘 (2023) - 7가지 키워드로 읽는

책소개 전 이스라엘 대사가 말하는 ‘리얼 이스라엘’ 성경속의 이스라엘이나 유대인의 성취에 관한 이야기만이 아닌, 현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이스라엘의 실제 모습을 들여다본다! 우리에게 있어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은 어느 정도 익숙하다. 이스라엘에 관심을 가진 사람도 많다. 우리와 이스라엘은 여러 면에서 닮아 있다. ‘탈무드’나 유대인의 교육방식에 대한 우리의 관심도 크다. 하지만 정작 1948년에 건국된 이스라엘이라는 젊은 나라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알고 있는 사람은 적은 편이다. 현장에서 바라보는 이스라엘은 때때로 우리에게 낯설게 다가오기도 한다. 우리가 이스라엘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이 이스라엘의 실제 모습과는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대인의 나라 이스라엘에서는 유대인이 아닌 국민들이 1..

시온의정서 (2008) - 세계지배 프로젝트

책소개 홀로코스트와 반유대 감정을 정당화한 '시온의정서'의 허구를 파헤치고 있는 책이다. 반유대주의의 성경인 '시온의정서'가 20세기 초 러시아 황제의 비밀경찰에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수많은 역사학자의 증언을 통해 널리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시온의정서는 전세계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그 의정서를 반박하고 있다. 의정서의 다양한 표지들, 의정서의 영향과 의정서에 대한 개설과 다양한 주장을 수록하였으며, 24조에 달하는 의정서를 조문별로 싣고 그에 대한 반박문으로 구성하고 있다. 목차 감사의 말 머리말 시온의정서의 다양한 표지들 오늘날의 의정서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에서 시온의정서의 영향 도입과 근거 음모론 : 왜 음모인가? 왜 유대인인가 : 반유대주의라는 암 홀로코스트와 이스라엘 탄..

시온의정서 (2015) - 세계 단일정부 구축을 꿈꾸는 악마의 계획서

책소개 ‘그들’의 섬뜩한 세계 지배 시나리오 오랜 시간에 걸쳐 치밀하고 계획적으로 진행되어 온 세계 지배 음모. 이 계획은 어느새 세계 구석구석까지 스며들어 우리의 삶을 뒤에서 조종하고 있었다. 바로 이 세계 지배 지침서 ‘시온의정서’는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자칭 유대인들의 세계 단일정부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각국에 정치가들을 꼭두각시처럼 앉혀 놓고 정치, 경제, 언론, 식량, 연료 등을 지배해 세계 정부를 실현한 뒤에는 걸림돌이 되는 꼭두각시들을 제거하기 위해 초국가적인 비밀결사 조직인 프리메이슨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들은 모두가 유대인들 소유이며, 또한 시온의정서에 적혀 있던 내용들이 속속들이 실현되어가고 있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

시온 의정서 (2022) - The 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

소개 시온 장로 의정서(러시아어: Протоко?лы сио?нских мудрецо?в, 영어: The 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 간단히 시온 의정서(영어: The Protocols)는 전 세계를 정복하려는 유대인의 계획을 담고 있는 내용으로,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서이다. 1897년 8월 29일부터 31일에 걸쳐 스위스의 바젤(Basel)에서 열린 제1차 시오니스트 회의에서 발표된 시온 14인의 장로들의 의결문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1903년 러시아에서 처음 출판된 이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세기 초반에 전 세계에 퍼졌다. 헨리 포드는 1920년대 미국을 통해 배포되었던 500,000개 복사본 인쇄에 자금을 댔다. 전통적인 사회를 붕괴시..

Zionism through Christian Lenses : 기독교 렌즈를 통한 시오니즘(2013)

책소개 Description: Dear to the hearts of many Christians is the land of the Bible, which today is convulsed by strife. Contradictory claims abou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is land can bewilder us. The essays in this volume invite Christians of every denomination to share in perspectives that are solidly grounded in Scripture and tradition, yet serve as alternatives to the currently prevai..

The New Christian Zionism 새로운 기독교 시오니즘 (2016)

- Fresh Perspectives on Israel and the Land 이스라엘과 땅에 대한 신선한 관점 책소개 Christian Zionism is often seen as the offspring of premillennial dispensationalism. But the authors of this work contend that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connections between covenant and land are nearly as close in the New Testament as in Old. Written with academic rigor, this provocative volume proposes a place for Christian Z..

Zionism Without Zion : 시온 없는 시오니즘 (2016)

- The Jewish Territorial Organization and Its Conflict With the Zionist :유대 영토 조직과 시오니스트와의 갈등 책소개 While the ideologies of Territorialism and Zionism originated at the same time, the Territorialists foresaw a dire fate for Eastern European Jews, arguing that they could not wait for the Zionist Organization to establish a Jewish state in Palestine. This pessimistic worldview led Territorialists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