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1.천주교일반 62

아퀴나스의 윤리학 (2021)

책소개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있는 『신학대전』의 절반 분량을 넘는 제2부(윤리신학) 전체를 정밀 조명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성 토마스의 윤리신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활발히 일고 있지만 토마스의 방대한 윤리신학 논의 전체를 조망하는 책은 본서가 처음이다. 『신학대전』 제2부는 다시 제1편과 제2편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제2부 제1편에서는 행복, 인간적 행위, 정념, 덕, 죄, 자연법, 은총 등 10개 주요 논고가 다뤄지고, 제2부 제2편에서는 신앙, 희망, 참사랑의 대신덕(對神德)과 현명, 정의, 용기, 절체의 사추덕(四樞德)과 이에 관련된 악습들을 9꼭지에 걸쳐 정밀 조명하고 있다. 이 19개의 본론(이 책 제1부와 제2부)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독자를 미리 준비시키는 "서론부"에서는(1편..

그들은 침묵으로 말한다 (2022) - 봉쇄 수도원에서 온 편지

책소개 『그들은 침묵으로 말한다』는 저명한 봉쇄 수도원인 카르투시오회의 침묵과 고독의 심연에서 길어 올린 90개의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글들은 영적인 삶의 정점에 도달하여 끊임없이 거기에 머문 한 수도승의 단상을 편지 형식으로 담고 있다. 이 글들은 저자의 사후에 발견되어 순차적으로 출간됨으로써 세상에 알려진 영적 보화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카르투시오회 수도승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그랬던 것처럼 하느님과의 일치를 삶의 목표로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이 책에 담긴 단상들은 소음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하느님과의 일치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이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목차 추천사 · 4 추천사 · 6 머리말 · 8 1. 카르투시안의 침묵 카르투시안의 침묵..

구마 (2015) - 한 사제의 구마 실화

책소개 악한 것들은 정말로 끈질기게 대를 이어가며 전달된다. 그리고 악마는 바로 이 점을 무기 삼아 무수한 생명을 짓밟는다. 하느님께서 눈에 보이지 않으시듯 악마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있다. 어떤 영화에서 악마의 존재를 믿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의 존재도 믿지 않는다고 했다. 즉,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임을 믿지 않는다는 뜻이다. 악마의 최종 목표가 바로 그것인데! 이 책은 악마는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느님의 소중한 자녀라는 사실을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고 거부하도록 만들기 위해 온갖 방법으로 우리를 방해해서 진정한 삶을 외면하고 포기하게 만들지만 절대 굴복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아무리 악마의 힘이 강해도 하느님의 힘 앞에는 굴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이 책은 악마의 훼방으로 미약..

네 번째 잔의 비밀 (2023)

책소개 파스카, 최후의 만찬, 네 번째 잔, 십자가…… 신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스콧 한, 예수님과 파스카에 얽힌 비밀을 밝히다 『네 번째 잔의 비밀』은 미국의 신학자이자 성서학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스콧 한이 쓴 책이다. 이 책에서 스콧 한은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과 십자가 죽음에 담긴 비밀을 밝히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그는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 때 파스카 만찬의 전통에 따라 마셔야 하는 ‘네 번째 잔’을 드시지 않았음을 깨닫고,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성경을 비롯한 교부들의 문헌, 학자들의 연구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며 연구한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비밀을 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추리 소설 한 편처럼 흥미진진하게 펼쳐 나간다. 그리하여 독자들은 예수님께서 구약의 옛 언약을 새 언약..

성 엘리사벳 수녀 순교자 (한국정교회 출판부) - 샹테르부르크의 황녀

책소개 상페테르부르크의 황녀 성 엘리사벳 수녀의 생애를 다루었다. 성 엘리사벳 수녀는 1864년 11월 1일에 독일 대공작 루드비히 4세와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공주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20살도 되기 전에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로스 2세의 아들인 대공작 세르기오스의 약혼녀로 정해졌으며, 그와의 결혼으로 정교회를 신앙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 책은 성 엘리사벳 수녀의 탄생부터 러시아 혁명 중에 순교하기까지의 전 생애를 다루고 있다. 목차 성인의 성장배경 성인의 가족에게 닥쳐 온 비극의 시작 러시아에서의 결혼 생활 정교인이 된 성 엘리사벳 비극의 시대 시작 남편의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성녀 수도원을 설립한 성녀 모범을 보인 수녀원장 성 엘리사벳 고난의 예고 혁명이 일어난 그 이후 순교의 길을 떠나는 성..

근 현대 천주교의 실천과 삶

책소개 종교학 연구자들의 관심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종교전통과 이론으로 구분된다. 종교전통의 연구자들은 특정 종교, 예를 들어 유교, 불교, 기독교 가운데 어느 하나의 종교를 가지고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종교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론 연구자들은 다양한 종교들을 특정 이론과 방법, 예를 들어 사회학, 심리학, 현상학 등의 이론을 빌려서 종교 전체를 이해하려 한다. 어느 것이 옳다거나 바른 관점이라고 할 수는 없고 각각 장단점이 있지만, 종교학을 위해서는 모두 필요한 분야들이다. 이 책은 총3부로 나누어 근대 시기의 천주교와 현대 시기의 천주교 그리고 천주교인으로서의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천주교에 관한 글이 주를 이루지만 기독교, 즉 천주교와 개신교를 함께 논한 글도 포함하였다. 목차 제1부 근대..

교부들의 신앙 (제임스 C. 기본스 지음)

책소개 초판 발행 이후 그리스도교 고전의 반열에 오른 스테디셀러, 가톨릭 교회의 빛나는 유산을 만나다 시간이 지나도 잊히지 않고 사람들의 손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얻는 책들이 있다. 우리는 그런 책들을 ‘고전’이라고 부른다. 『교부들의 신앙』이 바로 그런 책이다. 이 책은 1876년 미국에서 초판이 나온 이래, 많은 이들에게 진리의 빛을 전해 주었다. 이 책이 사랑받은 까닭은 가톨릭 교리를 이토록 상세히 설명한 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 온 스테디셀러, 『교부들의 신앙』(가톨릭출판사)을 개정하여 출간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현대에 어울리는 표현으로 문장을 다듬었으나, 편역자인 장면 박사의 번역문에 담긴 가치를 고려하여 원문을 최대한 준수하였다. 그리고 성경을 20..

수도 영성의 기원

책소개 수도 영성의 기원을 공부하는 것은 우리 신앙의 교부들과 초기 수도승들의 작품에 담겨 있는 정신을 만나는 것과도 같다. 이 책에서는 수도 영성의 모태가 되는 고대 교부들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수도승생활 역사의 두 위대한 시조라 할 수 있는 성 안토니우스와 성 파코미우스를 비롯하여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요한 카시아누스, 요한 클리마쿠스에 이르기까지 수도 영성의 위대한 교부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약어표 제1장 전사(前史) 1. 수도승생활 현상 2. 역사와 전사(前史) 3. 그리스도교 수도승생활의 원천 제2장 수도승생활 개관 1. 이집트 북부(나일 강 하류) 2. 이집트 남부(나일 강 상류) 3. 팔레스티나 4. 시리아 5. 소아시아 6. 북아프리카 7. 로마 8...

사막 안토니우스

책소개 3세기 중엽, 부모에게 물려받은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깊은 사막으로 가 죽을 때까지 은수 생활을 한 성 안토니우스의 삶에 대해 소개한다. 사막에서 수도생활을 방해하는 온갖 유혹에 맞서 싸우며 굳건히 한길을 간 그의 삶은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유혹에 맞서고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야 하는지 그 모범을 제시한다. 이 책은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가 쓴 『안토니우스의 생애』와 안토니우스의 「금언」, 「서간」을 담아 이 위대한 사막 교부에 대해 자세히 알려 준다. 목차 약어표 서론 아타나시우스와 『안토니우스의 생애』 『안토니우스의 생애』의 구조 안토니우스의 여정 안토니우스의 생애 머리말 1 출생과 유년기 2 말씀에 순종하여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다 3 마을 변두리로 은거하다 4 다른 은수자..

종군신부 카폰 : 6.25전쟁의 성인, 전장의 그리스도

책소개 6·25 전쟁의 성인, 전장의 그리스도 에밀 카폰 신부! 처참하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 가운데 카폰 신부로부터 너무나 큰 감동을 받은 병사들은 그를 ‘전장의 그리스도’라고 불렀고, 냉혹한 공산군 수용소에서 감격한 동료 포로들 역시 그를 ‘성인’이라고 불렀다. -위치토 교구, 마크 K. 캐럴 주교 2021년 봄, ‘6·25 전쟁의 성인’, ‘전장의 그리스도’라고 불린 신부의 유해가 발견되어 70년 만에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미군 군종 신부로 참전했다 벽동 포로수용소에서 숨진 에밀 J. 카폰 신부의 이야기다. 카폰 신부는 군대에 신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말을 들고 자원입대하였다. 군인들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자신의 소명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병사들과 함께 생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