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로마카톨릭-천주교 (책소개)/2.천주신학교리 64

발타사르, 예수를 읽다 (2023)

책소개 20세기 대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알려 주는 예수님을 이해하는 길 우리는 예수님을 잘 알고 있는가? 우리에게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 예비 신자나 세례를 받은 지 얼마 안 된 새신자는 물론,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열심히 해 온 사람에게도 예수님은 알 듯 모를 듯한 분이시다. 이런 예수님에 대해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이야기한다. 『발타사르, 예수를 읽다』에서 발타사르는 예수님이 어떻게 인간을 아시며, 인간은 예수님을 어떻게 아는지 알려 준다. 특히 신자들에게 친숙한 성경의 여러 구절을 살펴보며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지 이해하고 그분과 더 깊이 친교를 이룰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말 · 8 제1부 예수님은 우리를 아시는가? · ..

남겨진 단 하나, 사랑 (2023)

책소개 가장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 위대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현대 가톨릭 신학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사람들이 있다. 카를 라너, 한스 퀑, 로마노 과르디니, 발타사르 등이다. 그중에서도 단연 독보적인 인물이 바로 발타사르이다. ─ 『세계의 심장』 중에서 현대 가톨릭 신학자들 중에는 유명한 사람이 많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다. 그는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 신학을 공부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문학을 공부하면서 과르디니의 강의를 듣고 신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신학과 문학, 예술에 관해 조예가 깊었던 발타사르는 아름다움을 통해 계시를 해석하고자 했고, ‘신학적 미학’이라는 새로운 신학적인 체계를 만들었기에 가장 독창적이..

발타사르, 예수를 읽다 (2023)

책소개 20세기 대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알려 주는 예수님을 이해하는 길 우리는 예수님을 잘 알고 있는가? 우리에게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 예비 신자나 세례를 받은 지 얼마 안 된 새신자는 물론,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열심히 해 온 사람에게도 예수님은 알 듯 모를 듯한 분이시다. 이런 예수님에 대해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이야기한다. 『발타사르, 예수를 읽다』에서 발타사르는 예수님이 어떻게 인간을 아시며, 인간은 예수님을 어떻게 아는지 알려 준다. 특히 신자들에게 친숙한 성경의 여러 구절을 살펴보며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지 이해하고 그분과 더 깊이 친교를 이룰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말 · 8 제1부 예수님은 우리를 아시는가? · ..

세계의 심장 (2022)

책소개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그가 죽기 직전에 재출간하려던 책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는 20세기 가장 독창적인 가톨릭 신학자로 오늘날 가톨릭만이 아니라 개신교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신학자이다. 그러한 그가 세상을 뜨기 직전에 재출간하려고 했던 책이 있다. 그는 재출간할 때에야 초판에는 쓰지 않았던 머리말을 쓰며 “이 책의 영적 함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았다.”고 단언했다. 이 책이 바로 『세계의 심장』이다. 곧 50년이 된다. 여름날 내 고향 호숫가에서 이 책을 집필했던 게. 그러나 새롭게 단장을 하고 제시되는 이 책의 영적 함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았다. ― 머리말 중에서 목차 옮긴이의 말 · 5 머리말 · 10 제1부 나라 1장 · 17 2장 · 41 3장 ·..

남겨진 단 하나, 사랑 (2023)

책소개 가장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 위대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현대 가톨릭 신학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사람들이 있다. 카를 라너, 한스 퀑, 로마노 과르디니, 발타사르 등이다. 그중에서도 단연 독보적인 인물이 바로 발타사르이다. ─ 『세계의 심장』 중에서 현대 가톨릭 신학자들 중에는 유명한 사람이 많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다. 그는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 신학을 공부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문학을 공부하면서 과르디니의 강의를 듣고 신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신학과 문학, 예술에 관해 조예가 깊었던 발타사르는 아름다움을 통해 계시를 해석하고자 했고, ‘신학적 미학’이라는 새로운 신학적인 체계를 만들었기에 가장 독창적이..

그들은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 (2024)

책소개 가장 영향력 있는 그리스도교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 현대인은 빠른 속도에 익숙해진 삶을 살아간다. 기술 문명을 통해 이전의 인류가 전혀 체험하지 못했던 놀라운 혜택을 누리는 셈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런 질문을 던지게 된다. 그래서 행복해졌냐고. 문명의 온갖 풍요를 즐기면서도 그다지 행복한 줄 모르는 듯하다. 지금 누리는 풍요와 속도는 과거에 왕이나 제후들만 누리던 혜택임에도 왜 우리는 답답하고 불안하다고 느낄까? 이러한 현대인에게 진정한 행복과 삶의 지혜를 알려 주는 사상가로 수많은 이들이 손꼽는 인물이 있다. 바로 아우구스티누스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한때 전성기를 누리던 거대한 로마 제국이 서서히 몰락하던 시기에 태어났다. 그는 기존의 사회 질서가 몰락해 가는 시대에 영향력을 가장 크게 발휘한 그..

영혼의 성약 (2001) - 고해성사의 이해

책소개 이탈리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유명한 설교가인 루이지 주세페 가브리아노 신부가 쓴 책으로 열심이 있는 신자들에게 완덕의 길로 나아가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은 이름만 신자요 죄를 자주 짓는 사람들에게 쉽고도 효과가 빠른 영혼의 치료방법인 고해성사가 영혼을 구하는데 얼마나 필요한 것인가를 똑똑하게 알려줄 뿐만 아니라 고해성사를 게을리하는 사람이나 이 성사의 신묘한 효력을 몰랐던 사람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1. 지옥에 떨어지는 가장 큰 원인 2. 이 불행한 사실의 많은 원인 3. 모고해를 시작하는 사람은 과연 불행하다 4. 벙어리 마귀 5. 무서운 결과를 가져오는 사음죄 6. 천주님은 항상 용서해주신다 7. 고해 사제는 사랑이 깊으신 아버지 8. 침해할 ..

치유하는 고해성사 (2010)

책소개 장로교 목사였으나 카톨릭으로 개종한 저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을 이야기하면서 고해성사가 왜 필요한지, 고해성사의 목적은 무엇인지, 실제로 고해성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해성사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관점에서 깊이 있게 설명한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제1장 이해하기 제2장 회개의 깊은 뿌리 제3장 활짝 피어난 성사 제4장 성사로 봉인된 참된 고백 제5장 무엇이 잘못인가? 제6장 죄는 왜 달콤한가? 제7장 계약으로서 고백 제8장 되찾은 아들의 비밀 제9장 집을 떠나서는 참고향이 없다 제10장 마음을 끄는 회심의 비결 제11장 효율적인 고해자의 습관 제12장 영적 싸움 제13장 열린 문 양심성찰 옮긴이의 말 저자 소개 저자 : 스콧 한 1957년에 태어나 10여..

새 신자를 위한 고해성사 길잡이 (2019)

책소개 『새 신자를 위한 고해성사 길잡이』는 첫걸음 떼는 아이에게 걸음마를 가르치듯 처음부터 하나하나 ‘고해성사’ 순서부터 고해소에 들어가서의 고해 방법까지 알려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십계명’을 바탕으로 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죄가 무엇인지 잘 살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여기에 가득 실려 있는 이웃의 질문은 우리가 평소에 갖고 있던 답답함 그대로 담겨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시원한 답변은 사제들의 지식과 경험, 깊은 신앙이 깔렸기에 우리가 지은 죄를 진심으로 뉘우치면서 용서의 은총을 청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준다. 목차 매일의 죄, 매일의 용서 고해성사 고해성사 5단계 십계명 고해성사 보기 반복되는 죄 - 자신의 나약함을 고백하다 고해성사 질문과 답 고백은 어느 정도 자세히 해야 하나 / 고..

프란치스코 교황과 함께 준비하는 고해성사 (2021)

책소개 이 책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일반 알현, 문헌, 강론 등에서 고해성사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했던 말씀을 추렸다. 그래서 고해성사의 진정한 의미란 무엇일지 생각해 보도록 이끌어 준다. 교황은 이 책에서 “고해성사는 우리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진정으로 용서를 받게 될 때 우리는 영혼의 평화를 얻고, 하느님과 더 가까워지며, 풍성한 은총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목차 서론 5 1장 우리는 그분께 용서받을 수 있습니다 죄의 고백이란 무엇인가 자비와 기쁨의 성사 17·하느님의 선물 19·하느님의 자비에 자신을 맡기는 것 20·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을 선사합니다 22·진정한 평화를 찾는 것·25 어떻게 죄를 고백할까 솔직함 27·겸손 28·어린아이처럼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