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종교의 이해 (책소개)/5.샤머니즘 15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2012) -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혼과의 대화: 치유의 곳에서 제1장 샤머니즘과 인간 심리: 나의 탐구, 시작과 과정 제2장 샤머니즘과 무속은 다른 것인가 제3장 입무과정: 샤먼이 되는 길 제4장 귀령현상과 그 심리학적 상징성 제5장 한국민간의 질병관 및 정신병관 제6장 한국민간의 정신병치료 제7장 빙의현상과 증후 제8장 무속신앙과 정신장애 제9장 죽음, 저승, 사령과 살 제10장 굿과 정신치료 제11장 한국 샤머니즘과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상 제12장 한국 민간신앙과 윤리의식 제13장 무속문화를 배경에 둔 환자와 정신과 진료 제14장 샤머니즘과 한국인 에필로그 '샤머니즘'을 넘어서 용어해설 참고문헌 영문차례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이부영 (李符永) 서울대 의대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신..

샤머니즘 입문

소개 샤머니즘은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동유럽 서쪽 지역에 사는 투르크와 몽골 계 민족의 고대 영적 믿음입니다. 몽골과 시베리아에서는 “영혼에 대한 존중”을 뜻하는 “텡게리즘(Tengerism)”이라고도 합니다. 샤머니즘의 관행은 종교가 아니라, 하나의 실질적인 방법입니다. 이 관행은 다양한 문화에서 많은 종교와 공존합니다. 시베리아에서는 라마교와 불교가 혼재된 샤머니즘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불교와 혼재되어 공존하는 샤머니즘이 있습니다. 많은 샤먼들이 대체로 정령을 숭배하는 문화 속에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정령 숭배는 영혼의 존재를 믿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샤머니즘은 배타적이거나 하나의 신념체계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실제로 샤머니즘은 북부 및 중앙아시아의 여러 사회집단을 연구하고 있던 서..

샤머니즘과 타 종교의 융합과 갈등

책소개 샤머니즘은 고유의 성격을 본질로 하면서도 주어진 환경에 역동적으로 대응하며 다양한 현상으로 표출된다. 타종교와의 관계에서 샤머니즘은 융합하거나 대립하기도 하고 새로운 종교사상이 만들어지는 데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샤머니즘과 타종교와의 관계는 몇 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첫째, 타종교의 잉태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샤머니즘과 이들 종교 사이에는 친연성이 파악될 수 있다. 둘째, 샤머니즘과 외래종교가 만나면서 샤머니즘에 미친 영향이다. 외래종교가 샤머니즘의 의례행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외래종교에서 모시는 신격이 샤머니즘에 포함되기도 한다. 셋째, 양자가 만나면서 샤머니즘이 외래종교 속으로 들어가서 그 종교를 토착화 시키는 유형이다. 이 현상은 한국 불교나 기독교에서도 드러난..

샤머니즘의 세계

책소개 이 책을 옮긴이는 우리말의 뿌리에 관심이 많아 서정범 선생님 밑에서 알타이어학을 공부하려고 했다. 그러나 너무 방대하여 손을 제대로 댈 수 없었다. 자료가 주로 러시아에 있고 러시아어로 적혀 있어 러시아어도 조금 공부하고 시베리아의 소수민족 언어와 문화를 조사하려고 그곳을 답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자료가 부족하여 언어로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는 데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언어 외적인 문화에서 뿌리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문화는 스스로 만든 것도 있고, 가지고 들어온 것도 있고, 흘러 들어온 것도 있다. 곧 고유문화와 외래문화라는 것이 있지만 그것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 샤머니즘은 우리나라에 가지고 들어온 것일까 아니면 흘러들어온 것일까? 우리 민족은 주류가 북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