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서양철학의 이해 (책소개)/5.고.중세철학 27

중세 2-2 철학 (2018) - 1000~1200, 성당, 기사, 도시의 시대

소개 *해당 도서는 [중세 2 : 1000~1200 : 성당, 기사, 도시의 시대]의 분권 도서입니다.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컬렉션 저자 소개 저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기획)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장미의 이름』의 저자이자 역사, 철학, 미학, 기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시대의 지성을 대표하는 사상가다. 193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2016년 2월 사망했다. 토리노 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학위를 받았다. 이후로 여러 대학의 강단에 서면서 미학, 철학,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등의 이론서들을...

중세 1-2 철학 (2018) - 476~1000, 야만인, 그리스도교도, 이슬람교도의 시대

소개 *해당 도서는 [중세 1 : 476~1000 : 야만인, 그리스도교도, 이슬람교도의 시대]의 분권 도서입니다.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컬렉션 저자 소개 저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기획)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장미의 이름』의 저자이자 역사, 철학, 미학, 기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시대의 지성을 대표하는 사상가다. 193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2016년 2월 사망했다. 토리노 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학위를 받았다. 이후로 여러 대학의 강단에 서면서 미학, 철학,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등의 이론서들을...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2018) - 고대·중세 편

책소개 가장 먼 곳을 내다본 난쟁이 철학자로 남고 싶었던 ‘지식의 박물관’ 움베르토 에코가 안내하는 경이로운 사유의 역사 철학이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인들은 인간이 경이로움을 경험하면서 그 반응으로 철학을 시작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지혜에 대한 사랑’을 뜻한다는 어원적인 의미를 제외하고 나면 사실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일은 상당히 까다롭다. 움베르토 에코에게 철학이란 다른 종류의 학문들이 답해 줄 수 없는 질문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세상에 정의는 존재하는가? 사람은 왜 고통을 받아야 하는가? 내가 받은 고통을 보상해 줄 사후의 삶은 존재하는가? 소크라테스 이전 시대의 철학자들로부터 출발해 그리스와 라틴 철학, 그리스도교 철학과 중세 철학..

중세 스콜라 철학 (2007) - 신앙과 이성 사이의 조화와 갈등

책소개 스콜라 철학이라는 전문용어를 사용하면서도 우리는 수많은 편견과 오해를 가진다. 이러한 편견과 오해를 주제 삼아 저술된 책 혹은 스콜라 철합을 소개하는 입문서이다. 저자는 보에티우스 때부터 오컴 시대까지 있었던 다양한 형태를 염두에 두고 중세 철학의 그칠 줄 모르는 생동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토마스 아퀴나스만 이전에는 흩어진 상태에서 하나로 모아지려는 경향을 가졌던 다양한 사유 자료들이 이후에 곧바로 다시 뿔뿔히 흩어지게 된 까닭을 파악하고 동시에 그의 능력을 분명하게 보여주려는 의도 역시 가지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중간 시기"라는 경멸적인 말 중세와 고대의 경계: 상징적인 해인 529년 그리스도교 철학 젊은 민족들이 전승되어 온 내용을 자기 언어로 "배우다" 중세의 "끝" 규정의 어려움..

대이교도대전 3-1 (2019)

책소개 『대이교도대전』은 『신학대전』과 더불어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저로 꼽힌다. 13세기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파리 대학 교수였던 그는, 중세 이래 ‘천사적 박사’로 추앙받으며 교계와 사상계에 절대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성인·신학자·철학자·교회학자다. 이 책은 총 IV권 5책(I, II, III-1, III-2, IV)으로 구성된 『대이교도대전』의 제III-1권으로, 신으로부터 피조물의 발출, 즉 창조를 다룬다. 창조는 밖을 향한 신의 활동이다. 따라서 신에 대한 더 나은 인식을 위해서라도 피조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분명 창조의 ‘형이상학’을 내포하고 있으나, 전체 논증의 목적이 독자들에게 가톨릭 ‘신앙’의 진리를 확신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철학의 한 분야에 머무르지만..

대이교도대전 2 (2015)

책소개 『대이교도대전』은 『신학대전』과 더불어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저로 꼽힌다. 13세기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파리 대학 교수였던 그는, 중세 이래 ‘천사적 박사’로 추앙받으며 교계와 사상계에 절대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성인·신학자·철학자·교회학자다. 이 책은 총 IV권 5책(I, II, III-1, III-2, IV)으로 구성된 『대이교도대전』의 제II권으로, 신으로부터 피조물의 발출, 즉 창조를 다룬다. 창조는 밖을 향한 신의 활동이다. 따라서 신에 대한 더 나은 인식을 위해서라도 피조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분명 창조의 ‘형이상학’을 내포하고 있으나, 전체 논증의 목적이 독자들에게 가톨릭 ‘신앙’의 진리를 확신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철학의 한 분야에 머무르지만은 않..

대이교도대전 1 토마스 아퀴나스 (2015)

책소개 『대이교도대전』은 『신학대전』과 더불어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저로 꼽힌다. 13세기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파리 대학 교수였던 그는, 중세 이래 ‘천사적 박사’로 추앙받으며 교계와 사상계에 절대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성인·신학자·철학자·교회학자다. 이 책은 총 IV권 5책(I, II, III-1, III-2, IV)으로 구성된 『대이교도대전』의 제I권으로, 신(神)에 대해, 신의 존재와 본질에 대해 논구한다. 이성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그의 논변들은 오늘날까지도 그리스도교 신론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목차 『대이교도대전』 해제 『대이교도대전』 제I권 해제 본문과 역주 제1장_지혜로운 자의 과업 제2장_필자가 이 저술에서 의도하는 것 제3장_신의 진리가 알려질 수 있는 방식 제4장..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2017) - 고대/중세 사상-생각의 기원!

소개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고대/중세 사상-생각의 기원!) 세상을 바꾼 생각의 기원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 *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나요? 그 해답을 찾아 떠나는 머나먼 생각의 세계! 과연, -YES 일까요? -NO 일까요? 여러분은 어떤 생각인가요? 학문·법률·도덕·종교 등에 있어서의 일체의 보편타당성에 대한 소피스트적 부정이야말로 이러한 인류의 재보(財寶)를 위한 전사(戰士)로서의 소크라테스를 분기(奮起)시킨 기연(機緣)이 되었던 것이다. 불행하게도 소크라테스는 인심을 거스른 사고로부터 각성시키려고 한 그의 태도 때문에 근시안적인 아테네의 주권자로부터 소피스트로 간주되고 기원전 399년 독배를 마시게 되었다. 그는 실제적인 교육가로서 한 권의 저서도 남기지 않았다. 소크라테스가 비명(非命..

알수록 재미있는 그리스도교 이야기 (2021) - 중세 철학 전문가가 들려주는

책소개 서양 문화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그리스도교 서양 문화는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그리스도교 문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 과정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처음 로마인들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이러한 신들의 도움으로 로마의 번영이 지켜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리스도교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해서 수천 년에 걸쳐 서양 문화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을까? 그리고 그리스도교는 얼마만큼 서양 문화에 영향을 미쳤을까? 《알수록 재미있는 그리스도교 이야기》는 서양 문화의 뿌리를 이루는 그리스도교에 대해 지적인 호기심을 가진 이들에게 초기 교회부터 16세기 종교 개혁 직전까지, 약 1,500년 동안 가톨릭 교회가 걸어 온 발자취를 알기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는 책이다. 이 책을 읽는 ..

중세철학사 (2020)

소개 이 책은 중세철학사에 대해 다룬다. 각 시기별, 학파별로 어떤 철학들이 있었는지 확인해보자. 목차 서론_13 머리말_16 주요 참고 문헌_19 제I편 교부 철학 시기 1. 교부 철학 시기의 사상적 배경_23 2. 교부의 특징_25 3. 교부 철학 시기의 일반적 성격_25 제1장 니케아 공의회 이전 I. 이단설_29 1. 영지주의_29 2. 마르키온주의_32 3. 마니교_33 II. 그리스 호교론자_34 1. 인물_34 2. 사상_35 III. 알렉산드리아 학파_36 1.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_37 2. 오리게네스_38 IV. 아프리카 교부_40 1. 인물_40 2. 사상_40 3. 테르툴리아누스_41 V. 니케아 공의회_42 제2장 니케아 공의회 이후 I. 동방(그리스) 교부_43 1. 4~5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