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문학의 이해 (책소개)/6.현대사상고전 38

도덕 철학사 강의 (존 롤즈)

책소개 롤즈의 하버드대학 강의를 직접 듣는다! ‘정의론’의 철학자 롤즈가 강의한 흄, 라이프니츠, 칸트, 헤겔의 도덕철학 이 책은 사회·정치철학의 불후의 명저인 『정의론』의 저자이자 20세기 가장 위대한 철학자 중 하나로 평가받는 존 롤즈가 하버드대학에서 진행했던 전통적인 도덕철학 강의를 담은 강의록이다. 당대를 선도적으로 이끈 정치철학자 롤즈는 하버드대학에서 30년간 다양한 도덕철학 강의를 펼치며 철학적 윤리학에 대한 오늘날의 접근 방식과 이해 방식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한 세대의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고 새로운 도덕철학의 도래를 불러일으킨 롤즈의 강의를 모아놓은 이 책은 우리에게 현대 철학에 있어 가장 주목할 만한 실천가, 교사 중 하나인 롤즈가 이끄는 영감 어린 안내에 따라 근대 도덕철학의 가장 저..

존 롤즈의 정의론 (1971: 존 롤즈)

책소개 세계 26개 언어로 번역된 20세기 불후의 명저 2002년 11월 27일 국내의 주요 신문에는 일제히 ‘정의론’의 철학자, 존 롤즈의 타계를 알리는 기사가 실렸다. ‘단일 주제의 철학자’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평생 ‘정의justice’라는 한 우물만을 팠던 철학자, 그러면서도 당대에 영미는 물론 유럽 대륙의 전역에, 그것도 철학계만이 아니라 인문사회과학계 전반에 큰 획을 그은 “20세기 철학계의 거목, '정의론'의 저자 존 롤즈”의 별세를 알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기사였다. “롤즈 교수의 역작 '정의론'은 발간과 동시에 인문사회과학의 고전 반열에 올랐다.” 롤즈는 “고전의 반열에 오른 역작 '정의론'을 통해 정의란 철학적 진리나 종교적 신념이 아닌 사회적 합의의 대상이라는 독창적 이론을 제시했..

그라마톨로지 ( 1967: 자크 데리다)

책소개 개인적 독특성을 법적·정치적 사유의 핵심 주제로 제시함으로써 정치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놓은 데리다의 대표작 1967년 데리다가 출간한 『그라마톨로지』는 그가 발표한 80여권의 저서 가운데 가장 문제작으로 꼽힌다. 야곱슨의 언어학, 레비스트로스의 구조 인류학, 라캉의 혁명적인 정신분석학이 태동하던 1960년대 중반 데리다의 성찰은 다른 모든 사상의 지평을 넘어서는 저편을 가르키고 있었고 그가 개진하는 이론들은 새로운 사유와 패러다음의 전환을 가져왔다. 1962년 후설의 『기하학의 기원』의 번역과 장문의 해제를 발표하여 철학적 천재성을 인정받은 이후 5년 만에 내놓은 이 책을 통해서, 데리다는 프랑스 지성계가 구조주의의 열풍 속에서 그야말로 사상의 백가쟁명기라 할 수 있는 1960년대 중반기에 접..

과학혁명의 구조 (1962: 토머스 S.쿤)

책소개 출간 50주년 기념 개정 제4판 세계적인 분석철학자 이언 해킹의 서론 서울대학교 홍성욱 교수가 공역자로 참여한 새로운 번역판 『과학혁명의 구조』의 출간 5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된 제4판 이다. 저명한 분석철학자이자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푸코의 사회과학 이론에 접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과학철학자 이언 해킹이 쓴 서론이 이번 책에 새로 추가되었다. “이언 해킹의 서론”은 『과학혁명의 구조』가 서구 지식사회에 미친 방대한 영향들을 정리하고, “과학”의 진보가 이룩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요약한다. 또한 쿤에 의해서 제시된 패러다임과 공약불가능성 같은 개념들을 더 명확하게 정의하고 쿤의 아이디어들이 오늘날의 과학에 어떤 타당성을 가지는지를 검토한다. 목차 이언 해킹의 서론 저자의 서문 1 서론:역사..

인간의 조건 (1957: 한나 아렌트)

책소개 한나 아렌트는 유대인으로서 근대적 근본악을 온몸으로 경험했으며, 철학자로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간의 조건에 대해 사유했다. 한나 아렌트에게 “어떻게 근본악이 이 세상에 있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한 철학적 화두였다. 『인간의 조건』은 이전에 나온 『전체주의의 기원』과 이후에 나온 『정신의 삶』에 이르는 철학적 여정에서 나타난 근본악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그러므로 아렌트의 저서들은 자신의 철학적 화두에 대한 답으로 시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책의 의의는 세계에 관해 단순히 관조하고 성찰하는 형이상학적 전통을 넘어서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실천철학적 방향을 제시한다는 데 있다. 한편 이 책은 영어판 The Human Condition(Chicago, ..

게몽의 변증법 (1947: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책소개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두 지성이 함께 쓴 우리 시대의 고전. 나치즘을 통해 그 타락한 몰골을 드러낸 서구 중심적인 이성과 문명을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비판했다. 아도르노 연구자인 역자가 문예출판사에서 이 책을 공동 번역, 출간한 바 있으나 문학과지성사에서 새로 저작권 계약을 하여 기왕에 작업을 했던 역자가 기존의 번역본을 수정, 보완하여 개정판을 냈다. 이 책은 집단 수용소의 대량 학살과 전쟁을 통한 살육이 한창이던 2차세계대전의 와중에 두 망명 지식인이 "왜 인류는 진정한 인간적 상태에 들어서기보다 새로운 종류의 야만 상태에 빠졌는가"를 밝히기 위해 총체적이고 역사적인 해석을 시도한 저서로서, 적어도 사회적 차원에서는 - 심미적 차원이 아닌 - 그러한 야만 상태를 벗어날 수..

상상된 공동체 (1983 베네딕트 앤더슨)

책소개 민족 및 민족주의 연구에 결정적 전환점이 된 현대의 고전 민족은 상상되었다 제한적인 것으로, 주권을 가진 것으로, 그리고 공동체로 '민족’은 근대 이후 역사적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상상된 공동체”라는 앤더슨의 핵심 주장이 들어 있는 이 책은 숱한 사회과학도서에 인용되며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이에 새롭게 한국어판을 선보인다. 민족주의는 현대 정치의 중심 자리에서 물러난 적이 없고 아마도 미래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책이 제시하는 민족주의의 기원과 보급의 과정은 그러한 의식에서 출발한다. 목차 차례 감사의 말 제2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문화적 뿌리들 제3장 민족의식의 기원 제4장 크리올 선구자들 제5장 오래된 언어, 새로운 모델 제6장 관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제7장 마지막 물결 제8장 ..

근대세계체제 (1974 이메뉴얼 윌러스턴) - 자본주의 농업과 16세기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책소개 세계근대사를 세계적 석학인 이매뉴얼 윌러스틴이 나름의 관점에서 다시 정리하겠다는 야심찬 기획의 결과물. 그의 주장 핵심은 근대 자본주의라는 것이 16세기에 태어나서 팽창과 위기를 거듭하는 가운데 오늘날 거의 전세계를 아우르게 된 살아있는 실체, 즉 '역사적 산물'이며, 그것을 이해하려면 한 국가, 혹은 한 대륙정도의 차원이 아니라 전세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해내는 거시적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목차 1. 감사의 말 2. 인용문 출처 3. 서론 : 사회변화에 대한 연구 4. 중세적 서곡 5. 유럽의 새로운 노동분업 : 1450?-1640년 6. 절대와정과 국가통제주의 7. 세비야에서 암스테르담까지 : 제국의 실패 8. 강한 핵심부 국가들 : 계급 형성과 국제교역 9. 유럽 세계경제 : 주변부 대 외..

장미의 이름 (1980 저 : 움베르토 에코)

책소개 20세기 최대의 지적 추리소설이자, 움베르토 에코의 대표작 20세기 최고의 석학, 움베르토 에코가 쓴 놀라운 지적 추리 소설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프랜시스 베이컨의 경험주의 철학에, 에코 자신의 해박한 인류학적 지식과 현대의 기호학 이론이 무르녹아 있는 지적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중세 수도원 생활에 대한 가장 훌륭한 입문서로 알려져 있고 이미 우리 나라에서도 모든 신학생들의 필독서로 자리잡고 있는 움베르토 에코의 필생의 역작이다. 1327년, 영국의 수도사 윌리엄은 그를 수행하는 아드소와 함께 모종의 임무를 띠고 이탈리아의 어느 수도원에 잠입한다. 수도원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끔찍한 연쇄 살인이 〈묵시록〉의 예언에 따라 벌어지고 있었고, 사건의 열쇠를 쥔 책은 ..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 (1967~79 페르낭 브로델) - 자본주의 라는 이름의 하드라 이야기

책소개 역사학의 거장 브로델이 보여 주는 자본주의의 과거와 현재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자본주의의 맨얼굴과 밑동을 파헤친다 이 책은 페르낭 브로델이 1976년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세 번에 걸쳐 강연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 프랑스어 강연 원고를 토대로 1977년에 영역본이 먼저 출간되었고, 지금 출판하는 한국어판 번역서의 프랑스어 원저는 1985년에야 출간되었다.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강연은[물질문명과 자본주의]의 개요를 설명하는 자리였다. 브로델은 여러 가지 개념을 정밀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다양한 사료를 기반으로 방대한 분량을 저술했던 학자였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제한된 시간 내에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강연 원고는 브로델 자신의 생각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냈을 것이다. 한국의 독자들이 방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