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한국역사의 이해 (책 소개)/7.한국민족주의 23

민족 민족주의

책소개 한국에서‘민족’이라는 단어는 1906년 이후 량치차오의『음빙실문집』의 영향으로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는‘민족’을 지리·혈통·형질·언어·문자·종교·풍속·경제생활의 공통성을 지닌 집단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민족 개념은 민족 형성 과정에서의 ‘원초적 기반’과, 집단 내에서 공유되는‘문화적 기반’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후 한국 민족주의는‘문화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민족주의’는 내셔널리즘의 번역어이다. 내셔널리즘은 동아시아권에서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국가주의, 국민주의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민족주의로 번역되었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하나의 민족이 하나의 정치적 단위, 즉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영위하고자 하는 이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국권 상실과 민족 분단..

한국인의 민족주의 (2020) - 종족에서 시민으로

책소개 21세기는 민족, 민족주의가 더 이상은 필요 없는 낡은 관념일까? 국민과 민족이 같은 개념인 서구와 달리 민족과 국민이 구별되는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는 한국인의 삶을 어떻게 지배해 왔을까? 때로는 한국인을 하나로 뭉치게 만들고, 때로는 한 ‘민족’의 이익을 위해 희생하게 했던 지배담론인 민족주의를 백년의 여정에서 살펴보며 앞으로의 한국을 가늠해본다. 『한국인의 에너지, 민족주의』는 민족주의 관점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역동적 한국인의 에너지를 찾아 분석, 정리한 책이다. 국가가 필요에 따라 민족이라는 개념을 만든 서구의 민족과 달리 국가를 형성하지 못한 채 서구로부터 민족 개념을 수입하여 일제라는 외부의 적에 대항하며 시작한 한국의 종족적 민족주의와 신분제 폐지와 더불어 인간의 보편적 권리를 지키려..

북한 민족주의 운동 연구

책소개 『북한 민족주의운동 연구』 해방 이후인 1948년부터 1961년까지 전개된 북한의 통일정책과 그 속에서 월북·납북 정치인들이 펼친 통일운동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연구서이다. 이 책은 남북협상과 북측의 정부수립 과정의 상호관계에 주목하면서, 그것이 북조선이라는 또 하나의 정부 수립과 조국전선 결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치밀하게 추적했다. 또한 월북·납북 정치인들의 최대 활동무대였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조국전선’)과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재북평통’)를 중점적으로 논하고 있다. 월북·납북인의 활동이 북측의 통일정책을 홍보하는 선전도구에 불과했다는 기존의 주장은 과도한 것임을 증명해내며 우리나라 학계에서 소외되거나 오해되어왔던 기존의 학술적 오류를 바로잡고,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왔던 임시정부 요인들을 중..

민족주의와 역사교육

책소개 이 책은 역사교육이 민족주의와 반공국가주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의 결과를 모은 것이다. 역사교육 분야에서도 민족주의와 반공국가주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는 2005년 역사학대회에서 “역사교육과 민족주의”를 다루었던 ‘역사교육연구회’의 분과토론이 가장 큰 열기를 띠었던 데에서도 잘 드러난다. 역사교육의 주체인 역사교사에게도 민족주의와 반공국가주의 문제는 결코 비켜갈 수 없는 고민의 지점이 되고 있다. 반 만 년의 역사를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외세의 압력 속에서 살아온 우리 민족은 민족자결의 원칙을 관철할 수 없었고 따라서 지금까지도 분단의 모순과 전쟁 위협 속에서 살아온 우리 국민에게 민족주의 문제는 쉽게 풀 수 없는, 결코 합리적인 원칙..

21세기 민족주의 (2010)

책소개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담론을 민족론으로 통칭하면서, 그 재생적 담론을 시도한다. 여기서의 재생적이란 무지와 오해, 남용과 악용으로부터의 민족론의 복원적 재생, 촌것으로 몰려 퇴조와 포기되어 가는 민족론의 구원적 재생, 전가의 보검이 아니라 동네북으로 전락하고 있는 민족론의 계승적 재생을 함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재생적 담론의 초점은 한국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담론에 맞췄다. 목차 1부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과 민족주의, 그 재생적 담론.정수일 민족주의 이론과 유럽 중심주의.강철구 마르크스주의와 민족.민족주의.정영철 북한의 민족론과 민족주의.이계환 종족집단에서 민족국가로의 연속성.노용석 2부 우리 민족과 민족주의 현대사를 통해 본 민족주의와 반민족주의.정해랑 진보진영의 탈민족론에..

신채호 다시 일기 - 민족주의자에서 아나키스트로

책소개 민족주의자의 이름에 가려진 아나키스트 신채호 신채호 탄생 133주년을 앞두고 한국의 대표적 민족주의자라고 알려진 신채호를 아나키스트의 측면에서 재조명한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한국의 아나키즘』(지식산업사),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등 오랫동안 한국의 아나키즘 연구에 천착해온 역사학자 이호룡. 저자는 신채호의 생애와 사상을 그의 저술과 관련 문헌, 새롭게 발굴된 자료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신채호를 아나키즘 수용의 선구자이자, 아나키즘에 입각한 민족해방운동론을 집대성한 한국의 대표적 아나키스트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 독립운동가·사학자·언론인으로서 한국 근대사상사와 민족해방운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신채호를 모르는 한국인은 드물 것이다. ..

홍명희 - 어느 민족주의자의 생애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했다. 하나는 벽초의 개인적 체험과 이력을 근대사의 맥락 속에서 확인하면서, 특히 논란이 많은 그의 월북 동기를 가능한 한 정확히 밝히려고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林巨正』이 우리 문학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볼려고 힘썼다. 목차 1. 벽초 홍명희의 생애와 사상 2. 벽초의 문학세계와『임꺽정』 3.『임꺽정』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남겨진 과제 4. 연보 및 연구자료 저자 소개 저 : 홍기삼 1940년 청주 출생으로 동국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수학했으며, 일본 쓰쿠바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1년 〈현대문학〉 평론으로 데뷔, 현대문학상(1969), 편운문학상(1997), 서울시문화상(1999),..

유길준 개화사상과 민족주의

책소개 유길준은 조선사람으로는 최초로 미국과 일본으로 해외 유학을 한 선각자이며, 한국근대사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교육사에 있어서 중요한 족적을 남긴 역사적 인물이다. 책에서는 그의 정치사상과 개화사상, 교육사상 등을 분석하여 전통과 근대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더 나은 보편문명을 창출하고자 하였던 그의 고뇌를 알아본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존경하는 장준하선생님께 이 책을 드립니다 이 책을 추천하는 까닭 목차 Ⅰ 유길준의 생애와 사상형성 1. 시대적 배경 2. 가계와 생애 Ⅱ 신학문 체험과 해외사조 수용 1. 일본유학과 개화의 시발 2. 미국유학과 개화사상의 성숙 Ⅲ 『서유견문』을 통한 유길준의 사상 1. 서유견문 집필 경위와 출판 2. 서유견문에 나타난 개화사상 3. 유길준의 교육사상 4. 서유견문에 나타..

민족주의, 식민지, 문학

책소개 『민족주의, 식민주의, 문학』은 북아일랜드의 필드 데이 극단이 기획한 제5회 연속 강연회에서 발표된 테리 이글턴의 「민족주의: 아이러니와 참여」, 프레드릭 제임슨의 「모더니즘과 제국주의」, 그리고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예이츠와 탈식민화」를 엮은 책이다. 작가들은 민족주의 문제와 더불어 식민화의 여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작용하는 문화 생산물의 역할을 다룬다. 아일랜드의 식민지 역사와 그 속에서 나타난 모더니즘 문학을 다루는 이들의 논의는 식민지 조선의 모더니즘 문학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문제와도 맥을 같이 해 그 의미를 더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김준환 서론 셰이머스 딘 민족주의 : 아이러니와 참여 테리 이글턴 모더니즘과 제국주의 프레드릭 제임슨 예이츠와 탈식민화 에드워드 W. 사이드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