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21세기는 민족, 민족주의가 더 이상은 필요 없는 낡은 관념일까? 국민과 민족이 같은 개념인 서구와 달리 민족과 국민이 구별되는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는 한국인의 삶을 어떻게 지배해 왔을까? 때로는 한국인을 하나로 뭉치게 만들고, 때로는 한 ‘민족’의 이익을 위해 희생하게 했던 지배담론인 민족주의를 백년의 여정에서 살펴보며 앞으로의 한국을 가늠해본다.
『한국인의 에너지, 민족주의』는 민족주의 관점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역동적 한국인의 에너지를 찾아 분석, 정리한 책이다. 국가가 필요에 따라 민족이라는 개념을 만든 서구의 민족과 달리 국가를 형성하지 못한 채 서구로부터 민족 개념을 수입하여 일제라는 외부의 적에 대항하며 시작한 한국의 종족적 민족주의와 신분제 폐지와 더불어 인간의 보편적 권리를 지키려는 시민적 민족주의가 어떻게 공론화되고 변화해 왔으며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상세히 밝혔다. 일제 식민지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도 어떻게 급속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는지, 비록 미완의 혁명이지만 4.19혁명을 시작으로, 광주민주화항쟁, 87민주화투쟁, 촛불혁명 등을 끌어낸 한국인의 심성에 도도하게 흐르는 것은 도대체 무엇에 기인한 것인지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에서 살펴본다.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지난 백 년(1880~1980) 동안 근대적 한국인이 출현하고 자리 잡은 과정을 분석한 학술서 시리즈이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에서 어떻게 정반대의 ‘다이나믹 코리안’이라는 역동적 한국인이 탄생했는지 평등주의, 민족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등 5가지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그 에너지를 찾아낸다. 5가지 주제를 다룬 5권의 책 외에 총론과 결론 등 모두 7권이다.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는 역동적 한국인 총서 3권으로 출간되었다.
『한국인의 에너지, 민족주의』는 민족주의 관점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역동적 한국인의 에너지를 찾아 분석, 정리한 책이다. 국가가 필요에 따라 민족이라는 개념을 만든 서구의 민족과 달리 국가를 형성하지 못한 채 서구로부터 민족 개념을 수입하여 일제라는 외부의 적에 대항하며 시작한 한국의 종족적 민족주의와 신분제 폐지와 더불어 인간의 보편적 권리를 지키려는 시민적 민족주의가 어떻게 공론화되고 변화해 왔으며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상세히 밝혔다. 일제 식민지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도 어떻게 급속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는지, 비록 미완의 혁명이지만 4.19혁명을 시작으로, 광주민주화항쟁, 87민주화투쟁, 촛불혁명 등을 끌어낸 한국인의 심성에 도도하게 흐르는 것은 도대체 무엇에 기인한 것인지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에서 살펴본다.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지난 백 년(1880~1980) 동안 근대적 한국인이 출현하고 자리 잡은 과정을 분석한 학술서 시리즈이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에서 어떻게 정반대의 ‘다이나믹 코리안’이라는 역동적 한국인이 탄생했는지 평등주의, 민족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등 5가지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그 에너지를 찾아낸다. 5가지 주제를 다룬 5권의 책 외에 총론과 결론 등 모두 7권이다.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는 역동적 한국인 총서 3권으로 출간되었다.
목차
서문 … 5
Ⅰ. 서론: 근대, 개인, 민족주의 … 13
Ⅱ.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 29
1. 민족과 근대 … 37
2. 야누스의 얼굴을 한 민족주의 … 49
3.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 55
4. 한국 민족주의와 행위양식 … 66
Ⅲ. 저항적 민족주의와 민족의 형성 … 73
1. 민족의 형성 혹은 수입 … 78
2. 민족의 전통과 사명 만들기 … 90
3. 역동적 민족주의의 형성 … 97
(1) 식민지적 공론장과 연고주의, 실용주의의 발명 … 104
(2) 민족적 공론장과 민주주의, 평등주의의 형성 … 114
Ⅳ. 공식 민족주의의 탄생과 식민지 행위양식의 재생산 … 125
1. 동양과 서양의 권위주의적 만남 … 134
2. 민족의 이익으로서 반공민족주의 … 144
3. 민족의 사명과 분단민족주의 … 152
Ⅴ. 발전민족주의와 동도서기론 … 159
1. 동도서기론과 연고주의 및 한국적 실용주의의 재생산 … 168
2. 민족의 이익과 반공발전주의 … 178
3. 통일을 위한 사명, 민족중흥 … 186
Ⅵ. 새로운 주체의 발견과 민중민족주의 … 195
1. 민족주의의 주체, 민중의 발견 … 201
2. 민중민족주의의 성공과 빠른 소멸 … 217
Ⅶ. 보편적 인권과 공존에 기반한 민족주의를 위하여 … 227
참고 문헌 … 241
찾아보기 … 251
Ⅰ. 서론: 근대, 개인, 민족주의 … 13
Ⅱ.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 29
1. 민족과 근대 … 37
2. 야누스의 얼굴을 한 민족주의 … 49
3.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 55
4. 한국 민족주의와 행위양식 … 66
Ⅲ. 저항적 민족주의와 민족의 형성 … 73
1. 민족의 형성 혹은 수입 … 78
2. 민족의 전통과 사명 만들기 … 90
3. 역동적 민족주의의 형성 … 97
(1) 식민지적 공론장과 연고주의, 실용주의의 발명 … 104
(2) 민족적 공론장과 민주주의, 평등주의의 형성 … 114
Ⅳ. 공식 민족주의의 탄생과 식민지 행위양식의 재생산 … 125
1. 동양과 서양의 권위주의적 만남 … 134
2. 민족의 이익으로서 반공민족주의 … 144
3. 민족의 사명과 분단민족주의 … 152
Ⅴ. 발전민족주의와 동도서기론 … 159
1. 동도서기론과 연고주의 및 한국적 실용주의의 재생산 … 168
2. 민족의 이익과 반공발전주의 … 178
3. 통일을 위한 사명, 민족중흥 … 186
Ⅵ. 새로운 주체의 발견과 민중민족주의 … 195
1. 민족주의의 주체, 민중의 발견 … 201
2. 민중민족주의의 성공과 빠른 소멸 … 217
Ⅶ. 보편적 인권과 공존에 기반한 민족주의를 위하여 … 227
참고 문헌 … 241
찾아보기 … 251
책 속으로
민족주의는 우리의 일상과 무관해 보이지만 우리의 행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이념이다. 최근에 일어난 두 가지 사건, 즉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둘러싼 논쟁과 2019년의 일본상 품 불매운동은 그 중요한 예가 될 것이다. 민족주의의 해체 혹은 변화를 보여주는 두 사건을 통해 민족주의, 그리고 한국 민족주의에 접근해 보자. … …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이 책은 ‘보편적 민족주의’의 표현이라고 인식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반일종족주의’라고 주장한다. 이렇게 한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담론으로서 민족주의는 반드시 규범적으로 올바른 이념이 아니라, 다양한 세력에 의해 정치적으로 구성되고 활용되는 담론이다. ‘반일종족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우리 민족을 근대적 민족이 되지 못한 ‘종족’으로 정의하지만, 이 책에서는 네트워크 세상의 ‘보편적 민족’으로 정의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민족주의는 정치적 담론이며 갈등하는 담론이다. 전근대 ‘종족’의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일본의 세례를 받기 위해 ‘반일종족주의’를 주장하지만, 탈근대 ‘민족’의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따로 또 같이 잘살기 위해 ‘보편적 민족주의’의 형성을 발견하는 것이다.
민족주의는 하나가 아니라 다양하며 역사적으로 변화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다양한 민족주의가 때론 갈등하며 때론 접합되면서 역사적으로 형성, 변화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특히 한국 민족주의가 왜 현재와 같은 민족주의가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다시 말해서 저항적 민족주의로 출발한 한국 민족주의가 어떻게 종족적 민족주의적 성격을 극복하면서 현재와 같은 시민적 민족주의로 성장했는가를 밝히려 했다. 한국 민족주의는 그 태생부터 종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의 갈등과 접합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래서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빠른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룰 수 있었고, 또한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평화로운 촛불시위로 민주주의를 공고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 … 최근 한국 민족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두 사건은 민족주의가 지속적으로 변화함을 보여준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민족주의는 저항적 민족주의에서 출발했고, 그로 인해 종족적 민족주의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순혈주의, 폐쇄성에 대한 지적은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전형적인 비판 가운에 하나다. 그런데 위 두 사건은 한국 민족주의가 더 이상 순혈적, 폐쇄적이지 않으며, 나아가 민족주의의 해체 가능성까지 보여준다. 이렇게 민족주의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변화하는 것이다.
민족주의를 변화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민족주의는 만들어진 것이며 게다가 수많은 사람에 의해 지금도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민족주의는 근대에 형성되었으며 한 집단이 아니라 민족 내의 다양 한 집단에 의해 형성되었다. ……“어떻게 우리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에서 유례없는 산업화와 민주화의 동시 성장을 이룰 수 있었을까?”라는 질문이 이 책의 출발점이다. 예를 들어 많은 학자가 4·19혁명을 미국식 교육의 효과로 설명했지만 전쟁과 가난, 이승만 시기의 교육 내용으로 볼 때 4·19혁명의 원인을 단순히 교육의 효과로 보는 것은 만족스러운 해석이 아니었다.
--- 서문 중에서
민족주의는 생면부지의 수많은 사람이 말 한마디 섞지 않고도 ‘우리는 같은 민족’이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마치 마술과도 같은 이념이다.
--- p.33
이승만 시기와 박정희 시기는 권위주의의 시기였고, 종족적 민족주의의 시기였다. 만약 한국에 이러한 민족주의밖에 존재하지 않았다면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대단히 지체되었을 것이다.... 지속적인 대중적 민주화운동을 성공시킬 수 있었던 것은 한국 민족주의가 그 형성기부터 단순히 종족적 민족주의가 아니라 시민적 민족주의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일제에 맞선 독립운동 기간에 ‘민주주의적 민족주의’를 발전시켜 왔기 때문이다.
--- p.197
한국의 민족주의가 ‘민주주의적 민족주의’였다는 사실은 한국의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속한 산업화와 빠른 민주화의 알려지지 않은 동력이었다. 민족적 동질감 형성은 민족적 열정을 산업화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토대가 되었고, 민주적 가치와 행위양식의 형성은 인권과 평등을 향한 민주화 열망의 전제가 되었다.
--- p.123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세계화가 일어났을 때 아래로부터의 민족주의인 시민적 민족주의와 개인주의적 민족주의는 한국 민족주의의 주류로 등장했고, 이것이 내장한 개인주의적이고 평등주의적인 행위양식 역시 한국인의 일반적 행위양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민족주의는 하나가 아니라 다양하며 역사적으로 변화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다양한 민족주의가 때론 갈등하며 때론 접합되면서 역사적으로 형성, 변화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특히 한국 민족주의가 왜 현재와 같은 민족주의가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다시 말해서 저항적 민족주의로 출발한 한국 민족주의가 어떻게 종족적 민족주의적 성격을 극복하면서 현재와 같은 시민적 민족주의로 성장했는가를 밝히려 했다. 한국 민족주의는 그 태생부터 종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의 갈등과 접합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래서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빠른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룰 수 있었고, 또한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평화로운 촛불시위로 민주주의를 공고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 … 최근 한국 민족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두 사건은 민족주의가 지속적으로 변화함을 보여준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민족주의는 저항적 민족주의에서 출발했고, 그로 인해 종족적 민족주의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순혈주의, 폐쇄성에 대한 지적은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전형적인 비판 가운에 하나다. 그런데 위 두 사건은 한국 민족주의가 더 이상 순혈적, 폐쇄적이지 않으며, 나아가 민족주의의 해체 가능성까지 보여준다. 이렇게 민족주의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변화하는 것이다.
민족주의를 변화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민족주의는 만들어진 것이며 게다가 수많은 사람에 의해 지금도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민족주의는 근대에 형성되었으며 한 집단이 아니라 민족 내의 다양 한 집단에 의해 형성되었다. ……“어떻게 우리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에서 유례없는 산업화와 민주화의 동시 성장을 이룰 수 있었을까?”라는 질문이 이 책의 출발점이다. 예를 들어 많은 학자가 4·19혁명을 미국식 교육의 효과로 설명했지만 전쟁과 가난, 이승만 시기의 교육 내용으로 볼 때 4·19혁명의 원인을 단순히 교육의 효과로 보는 것은 만족스러운 해석이 아니었다.
--- 서문 중에서
민족주의는 생면부지의 수많은 사람이 말 한마디 섞지 않고도 ‘우리는 같은 민족’이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마치 마술과도 같은 이념이다.
--- p.33
이승만 시기와 박정희 시기는 권위주의의 시기였고, 종족적 민족주의의 시기였다. 만약 한국에 이러한 민족주의밖에 존재하지 않았다면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대단히 지체되었을 것이다.... 지속적인 대중적 민주화운동을 성공시킬 수 있었던 것은 한국 민족주의가 그 형성기부터 단순히 종족적 민족주의가 아니라 시민적 민족주의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일제에 맞선 독립운동 기간에 ‘민주주의적 민족주의’를 발전시켜 왔기 때문이다.
--- p.197
한국의 민족주의가 ‘민주주의적 민족주의’였다는 사실은 한국의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속한 산업화와 빠른 민주화의 알려지지 않은 동력이었다. 민족적 동질감 형성은 민족적 열정을 산업화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토대가 되었고, 민주적 가치와 행위양식의 형성은 인권과 평등을 향한 민주화 열망의 전제가 되었다.
--- p.123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세계화가 일어났을 때 아래로부터의 민족주의인 시민적 민족주의와 개인주의적 민족주의는 한국 민족주의의 주류로 등장했고, 이것이 내장한 개인주의적이고 평등주의적인 행위양식 역시 한국인의 일반적 행위양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 p.70
'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 > 7.한국민족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 민족주의 (0) | 2022.11.02 |
---|---|
근현대 민족주의 정치사상 (0) | 2022.11.02 |
북한 민족주의 운동 연구 (0) | 2022.11.01 |
민족주의와 역사교육 (0) | 2022.11.01 |
21세기 민족주의 (2010)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