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한국역사의 이해 (책 소개)/9.한국문화 33

간추린 한국 문화사 산책 (2024)

책소개 인류사회의 모든 문화들을 적절히 포용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어 가면서 언필칭 반만년이라는 민족사적 정통성을 이어 온 우리 민족의, 보다 바람직한 생존과 발전을 위한 자긍심을 확립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목차 서문: 우리 정통 문화 사관 확립의 필요성 1. 상고시대 2. 삼한의 강역과 문화 3. 삼한 전반기와 서토의 혼란 4. 삼한 후반기와 서토 춘추전국시대(기자 동래 이후) 5. 삼한 열국시대사 6. 삼국 및 가야의 정립(鼎立) 7. 고려와 남북조 시대 8. 조선시대 9. 현대 참고 자료 목록 글을 마치며 참고보충 1. 배달족(동이족)의 기원 2. 소도(蘇塗=수두) 3. 제천의식(祭天儀式) 보충 4. 조의(?衣) 5. 화랑제도 6. 고려 국선 7. 풍월향도(風月香徒) 8. 수륙재(..

남도 명량의 기억을 걷다 (2024) - 이순신 '조선수군 재건로' 44일의 여정

책소개 ‘조선수군 재건로’ 500여 킬로미터, 구국의 길에 깃든 명량대첩의 생생한 발자취 임진왜란의 변곡점이 된 명량대첩. 세계 해전사에 길이 빛나는 이 전투의 주역들이 흘린 피와 땀과 눈물이 어린 ‘구국의 길’은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 그 이야기의 중심에 이순신 장군이 있다. 모함으로 감옥에 갇혔다가 백의종군한 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고, 조선수군을 재정비하여 명량대첩을 이끈 그가 전라도 백성과 함께한 길. 총연장 500여 킬로미터에 이르는 이 길은 경남 진주에서 하동을 거쳐 구례에서 곡성, 순천, 보성, 장흥, 강진, 완도, 해남, 진도와 우수영에 이른다. 이 책에는 1597년 8월 3일(음력) 삼도수군통제사에 재임명된 이순신이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명량대첩에 이르는 44일..

야구의 나라 (2024) - 한국의 파워 엘리트들은 어떻게 야구를 국민 스포츠로 만들었나

책소개 ·일제 강점기 ‘귀족 스포츠’였던 야구는 어떻게 전 국민이 열광하는 스포츠가 됐을까? ·한국 스포츠사의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를 문화사로 풀어낸 역작 ·야구 명문교의 ‘학연’과 정치·경제·미디어·문화 엘리트의 결합이 건설한 야구의 나라 야구 애호가들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 출간됐다. 『야구의 나라』는 우리나라의 스포츠 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인 “왜 야구는 축구를 제치고 최고의 인기 스포츠가 되었을까?”에 대한 해답이다. 한양대학교에서 스포츠문화사학을 연구하는 이종성 교수는 일제 강점기부터 2000년대까지 야구가 국민 스포츠가 된 과정을 추적했다. 야구가 국민 스포츠가 된 데에는 엘리트들의 학연이 절대적이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명문교의 교기(校技)였던 야구는 질시의 대상이었다. 공 하나..

한식문화사전 (2024)

책소개 한식문화의 총람(總覽) 1,094개의 표제어, 462개의 도판 고대부터 현대까지 음식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춘향이와 이도령은 첫날밤 무엇을 먹었을까? 현진건의 소설 「운수좋은 날」에 나오는 설렁탕은 어떤 의미일까? 냉면은 누가 어디서 먹기 시작했을까? 조선시대 음식 조리서에 나오는 음식은 도대체 무엇일까? 조선시대 그림에 나오는 불고기는 도대체 무엇일까? 서민의 밥상과 양반의 밥상과 궁중의 잔칫상은 어떻게 차려졌을까?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오는 음식은 도대체 무엇일까? 문학 작품에서는 음식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을까? 옛 그림에는 한식이 어떻게 그려져 있을까? 우리 노래(국악)는 음식을 어떻게 표현했을까? 이러한 여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문학, 문헌, 미술, 식재료, 음식, 의례 등 6..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책소개 ‘아리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아리랑’의 역사, 그리고 역사 속의 ‘아리랑’ 이야기! 역사학자이자 평전 전문가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쓴 ‘아리랑 전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요이자 한국 문화의 상징적 노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아리랑], 망국(亡國) 시대에 독립운동가들이 왜적과 싸울 때 국가나 군가처럼 부르자 조선총독부가 금지곡으로 지정하며 탄압한 노래 [아리랑], 국내에서는 전통 구전민요로, 해외에서는 망향가로, 귀화인들은 한국인이 되었음을 인증하는 노래로 불리는 [아리랑], 문화적 독자성과 민족적 동질성을 내포하고 있어 향후 통일 한국의 ‘국가’로 지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노래 [아리랑]! 그래서 우리는 [아리랑]을 ‘겨레의 노래’, ‘민족의 노래’, ‘통일의 노래’라고 ..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 (2023)

책소개 조선시대 능묘(陵墓) 비석(碑石)은 건립 과정, 석재(石材)의 산지(産地), 제작 비용과 장인, 양식 특징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는 주제이다. 500여 년 간 끊임없이 건립된 조선의 능묘 석물(石物)은 수만 점 이상 남아 있기 때문에 조선시대 유교 미술을 대표하며, 미술 변화의 지표가 되는 문화재이다. 이 중 능묘 비석은 가장 정성 들여 제작해 예술성이 높고, 사료(史料)가 많아 명확한 검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 책은 방대한 조선시대 능묘 비석 작품을 조사하고, 사료를 통해 여러 사실을 증명했으며,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목차 머리말 5 서 론 1.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목적 27 2.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연구사 검토 29 3.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서울에서 만나는 한중연 (2023)

소개 서울의 시공간을 탐방하는 한중 문화유산 답사기 “그대와 하룻밤 말하는 것이 10년 동안 글 읽는 것보다 낫소.” 명나라 학자이자 서화가로서 조선을 방문했던 사신 예겸은 돌아갈 때까지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과 매일 시를 주고받으며 우정을 쌓았는데, 특히 정인지와의 각별함을 이렇게 표현했다고 한다. 예겸은 안평대군의 글씨 등 조선의 문화를 명나라에 알리는 역할도 했으며, 훗날 한명회의 별서에 ‘압구정’이라는 이름을 지은 인물도 바로 그다. 이처럼 서울 곳곳에는 오랜 시간 한국과 중국의 인연이 켜켜이 쌓인 흔적이 남아 있는데, 언젠가 우리가 지나갔던 익숙한 장소일 수도 있고, 예술작품일 수도 있으며, 이야기일수도 있다. 이 책은 한국과 중국의 인연, 즉 ‘한중연’(韓中緣)이라는 테마로 서울의 시공간을 ..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 ‘삼국통일’을 둘러싼 해석과 논쟁 (2023)

책소개 보통의 일반 독자라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고 배워왔으며 그렇게 알고 있을 것이다. 이른바 삼국통일전쟁론이며 학계의 주류로 자리 잡은 통설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끊임없는 반론이 제기되었는데, 이른바 백제병합(통합)전쟁론이다. 신라는 고구려까지 통합한 것이 아니라 백제만을 병합했을 뿐이며 고구려가 발해로 계승되었음을 중시하여 남북국시대론을 주장한다. 또한 일통삼한 의식의 형성 역시 전쟁의 와중에 혹은 전쟁 직후에 생겨났다는 7세기 성립설과 신라 말 김헌창의 난 때 국가 분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이데올로기로서 출현했다는 9세기 성립설이 논쟁을 거듭하고 있다.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이 책은 ‘삼국통일’을 둘러싸고 사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그에 따른 치열한 논쟁을 담고 있다. 목..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 (2021)

책소개 조선시대 문인들의 개성 기행 이야기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는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사연구반’의 역사학자들이 10년동안 함께 노력하여 이룬 결과물이다. 이 책은 이런 현장답사 경험을 토대로 하여, 현재 남아 있는 장서각본 『와유록(臥遊錄)』 및 같은 이름이지만 내용이 다른 규장각본 『와유록』 두 책에서 조선 초기부터 말기까지 선비들의 개성유람기를 시대순으로 뽑아 원문 표점을 달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1477년(성종8) 채수의 유람기를 필두로 1867년(고종4) 송병선의 서유기까지 연대순으로 18편의 유람기를 실었다. 목차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를 출간하면서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 해제 번역 유송도록(遊松都錄)|채수(蔡壽) 유송도록(遊松都錄)|유호인(兪好仁) 송경록(松京錄)|남효온(..

고려 태조 왕건의 동상 (2012)

목차 책 머리에 Ⅰ고려 태조 왕건 동상 탐사기 1. 기다림 2. 북한 방문 세 번째에 이루어진 만남 3. 보고서에 없는 새로운 사실들 4. 재 회 Ⅱ 동상의 현재와 원래의 모습 1. 채색 청동상의 현재 상태 2. 왕건 동상의 크기 실측 Ⅲ 동상의 조형상징 태조황제의 신성한 권위 1. 황제의 관복 2. 신성함의 조형적 표현 Ⅳ 고려 조정의 왕건 동상 경배 1. 태조 왕건의 신망·카리스마·신화화 2. 광종의 봉은사 건립과 태조 왕건상의 제작 3. 성종대 종묘 건립 후의 변화 4. 현종대 천하다원론계 정책 부활 후의 봉은사 5. 정종대의 제례법 제정 6. 강도江都의 봉은사와 개경 환도 7. 고려말 봉은사 태조진전의 명칭 변화 Ⅴ 태조 건국 후 지워진 봉은사의 위치 Ⅵ 숭의전 제례의 성립과 왕건 동상의 매장 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