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생각의 힘 (책소개)/3.한국정치비평

탈서구주의와 그너머 (현대 한국정치사상 재구성)

동방박사님 2022. 6. 26. 07:54
728x90

책소개

정치사상은 당면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진단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구가 완제품으로 내놓은 답변들을 추종할 때, 그리고 더 빨리 그리고 가장 효율적으로 서구를 따라잡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였을 때는, 우리 사회가 밟아온 근대화의 경로를 반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국가적 비전을 정립하는 과제는 뒤로 미루어졌다. 물론 한국 사회는 압축적 근대화를 통해 ‘민족국가의 수립’, ‘민주주의의 형성’, ‘사회경제적 근대화’라는 근대화의 핵심 의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으로 야기된 국민 정체성의 문제, 민주화 이후 불거진 민주주의의 위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급속한 사회 변동과 혼란 등 다양한 도전과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가로막고, 맹목적으로 서구의 가치를 ‘표준’으로 삼는 인식의 편향성, 즉 서구중심주의를 지양해야 한다는 데서 우리의 작업은 출발한다.

 

목차

책 출간에 붙여

제1부 현대 한국 정치 이념의 재해석

1장 한국의 ‘사회주의 변혁’ 좌파의 인식과 지향_정승현
2장 한국의 반일 민족주의 연구: 담론의 변화와 특징_전재호
3장 2000년대 이후 한국 보수주의의 변화: 에드먼드 버크와 뉴라이트의 역사적 서사를 중심으로_이지윤

제2부 현대 한국 정치의 이론적 쟁점

4장 ‘시민의회’의 대표성: 유권자 개념의 변화와 유사성 문제를 중심으로_이관후
5장 정보/미디어 선택과 편향 동원: 태극기집회를 사례로_장우영
6장 여성 할당제인가, 젠더 할당제인가: 한국의 할당제 정책에 내재된 ‘비동시성의 동시성’_최일성

제3부 현대 동아시아의 이념적 모색

7장 일본 보수 지식인의 전후/탈전후 의식과 ‘아메리카’: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아메리카니즘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_장인성
8장 리쩌허우 서체중용론의 정치사상적 함의와 기술 철학적 토대_황종원
9장 대륙신유가의 유교 헌정주의 담론: 그 배경과 맥락, 그리고 비판들_정종모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 : 이관후
 
영국 런던대학교(UCL)에서 “대표”(representation) 개념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 전임연구원을 지냈고,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경희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경남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국무총리 연설비서관으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 “왜 대의민주주의가 되었는가?”를 썼다. 저서로 『한국 민주주의, 100년의 혁명 1919~2019』(공저, 2019)가...

저 : 이지윤

 
서강대학교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이다. 2018년 서강대학교에서 “친일 청산의 딜레마: 동원된 협력자 학병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보수주의의 변화: 에드먼드 버크와 뉴라이트의 역사적 서사를 중심으로”가 있고, 번역한 책으로 『미국 예외주의』(공역, 2006), 『정치와 비전』(1~3권, 공역, 2007~2013)이 있다.
 
저 : 장우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2003년 건국대학교에서 “인터넷 거버넌스의 정치: 규제레짐 제도화의 비교 연구”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촛불집회”, “소셜네트워크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공저, 2012), 『소셜네트워크와 선거』(공저, 2013), 『지방정치의 이해』(공저, 2016), 『촛불집회와 다중...

 

 

목차

책 출간에 붙여

제1부 한국 정치사상의 전통

1장 이상국가의 구성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과 맹자의 ‘사민’_이상익
2장 조선조 김시습론과 절의론: 남효온, 윤춘년, 이이, 박세당의 김시습 전기를 중심으로_김영수
3장 ‘제 나라에 대한 의리’의 정치적 함의 문제: 최명길의 주화론을 중심으로_유불란

제2부 전통 사상의 새로운 지평

4장 소수자 담론으로서 유학의 가능성: 캉유웨이 『대동서』를 중심으로_정종모
5장 최시형의 생태학적 사유와 평화_황종원
6장 유길준의 문명사회 구상과 스코틀랜드 계몽사상: 유길준, 후쿠자와 유키치, 존 힐 버튼의 사상연쇄_장인성

제3부 한국 정치사상의 현재

7장 박정희 시대의 국가주의: 국가주의의 세 차원_강정인
8장 2000년대 한국의 ‘극단적’ 민족주의에 관한 비판적 연구: ‘국수주의 역사학’의 존립 기반을 중심으로_전재호
9장 한국인의 가치관과 미래 선호 가치_손현주?강정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