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서양사 이해 (책소개)/2.서양고중세사

인류 혐오의 역사, 마녀 사냥 이야기 (마녀사냥 400년 역사의 실체)

동방박사님 2022. 8. 5. 18:41
728x90

책소개

중세 여자들은 왜 마녀로 몰렸는가
여성들에게 가해졌던 폭력의 실태


인류학자 모니카 헌터(Monica Hunter)는 마녀사냥 연구는 당시 사회를 가장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접근이라고 설명하면서 당시 사회가 무엇을 가장 두려워했는가를 단적으로 나타내 준다고 설명하였다. 본 도서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집단광기 현상 중 하나인 마녀사냥을 주제로 인류 혐오의 역사의 한 단면을 소개하고 있다. 인류 역사상 마녀는 실존 인물이 아니고 시대가 만들어낸 희생양으로 마녀사냥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존재하였다.

마녀사냥은 역사적 제 조건들과의 연계성을 통해 전개되었고 그 과정은 누가 보아도 매우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인 측면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인류 역사를 통해 볼 때 마녀사냥의 전개 과정은 ‘성과 권력’이 어떻게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가를 가장 잘 보여 주는 예이기도 하다. 이 책을 통해서 역사를 통한 깊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오늘날 다양한 인류 혐오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극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 2

Ⅰ마녀사냥: 그 혐오의 시작 … 7

Ⅱ마녀 이미지 형성의 지적기반 … 27

Ⅲ 종교적 변화와 마녀사냥의 확산 … 39

1. 카톨릭 종교의 위계질서와 종교재판 …41
2. 청교도적 종교관과 가부장적 악의 개념 …53

Ⅳ성적 억압 기제로서의 마녀사냥과 마녀재판 … 85

Ⅴ집단적 광기의 역사적 의미 … 107

미주 … 114
참고문헌… 120
찾아보기… 124
 

저자 소개 

저 : 이창신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 대학교 사학과에서 ‘미국 여성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미국의 현대운동사》(공저), 《미국학》(공저), 《미국 여성의 역사, 또 하나의 역사》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미국의 퍼스트레이디 엘리노어 루즈벨트의 감성 리더십에 관한 연구>, <미국 혁신주의 시대의 환경운동과 젠더의식에 관한 연구: 시카고 도시환경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
 

책 속으로

『마녀의 망치』는 매우 인기 있었던 책자로 엘리트와 대중 모두에게 마녀에 관한 이미지를 고착시키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이 책에서는 마녀를 카톨릭 신앙의 포기, 악마에게 정신과 육체 모두를 통한 봉사, 세례 이전의 아동을 악마에게 제물로 바친 악마와의 성관계를 포함하는 집회에 참석하는 이들로 규정하고 있다. 이 책은 교황의 인가 하에 유럽 전역으로 퍼지게 되면서 마녀재판의 합법적 근거를 제시해 준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했다.
--- p.35

역사가 쥘 밋쉘(Jules Michelet)은 그녀의 저서에서 마녀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판하면서 마녀는 추하고 늙은 사악한 마녀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죄인이기보다 중세교회 질서의 “희생양”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다시 말해서, 중세 말 마녀재판이 종교재판의 이름으로 성행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 p.43

마녀사냥은 대중 신앙에 대한 박해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중세 말 마녀사냥에서의 많은 희생자는 대중적인 전통신앙을 신봉한 여성들이었다. 악마와 마녀에 대한 신 앙은 대개 전통신앙과 결부되어 있었고, 전통신앙은 모든 “계시종교”의 대립물로 존재해 왔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준 다. 여성 전통에 있어서 마녀 신앙은 공동체적 힘을 여성에 게 부여해 줄 수 있었고, 이는 곧 가부장적, 카톨릭적 위계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이 되었다.
--- p.48

청교도 종교관에서는 여성들을 악의 숭배를 불러오는 존재들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유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7세기 뉴잉글랜드 식민지에서 여성들은 마법을 전수하고 성적 충동을 발산하는 존재들이었다. 젠더화된 여성들의 미덕을 젠더화된 악의 개념과 관련시킴으로써 여성들의 무력함을 합리화시켰으며, 그들에게 허용되지 않은 권력을 소유한 여성들은 여성으로서 지녀야 할 미덕의 결핍과 악의 잠재력을 구실로 징벌의 대상이 되었다.
--- p.81
 

출판사 리뷰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약자를 향한 혐오
그중에서도 가장 악랄했던 중세 서양사 속의 마녀사냥을 파헤치다


카톨릭 중심으로 삶을 이어가던 중세 유럽, 사람들은 악을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마녀’라는 존재는 종교 교리에 반하여 사람들을 현혹시켰다. 종교질서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녀를 없애야 했다. 유럽을 강타한 마녀재판은 바다 건너 북미 대륙에도 전파됐다.

4세기 동안 마을의 질서를 어지럽힌 마녀는 수만 명에 이르렀다. 유실된 기록이 많아 정확한 수를 집계하긴 힘들지만, 악을 뿌리 뽑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당시 사회는 그것이 정의였다. 나의 안위와 사회의 질서유지를 위해 내 이웃, 내 가족까지도 고발하는 용기가 필요했다.

그런데, 그 사람들 정말 마녀가 맞나?

재판 기록에 따르면 마녀로 고발된 사람 중 대다수가 여성이었다. 그녀를 보호할 남자 가족이 없고, 상속받은 재산이 많으며, 의술 행위를 하는 사람이 표적이 되었다. 그들은 마녀임을 증명하는 시험을 당하고 목숨을 잃었다. 사형된 여자 중 진짜로 마법을 부리고 사람들을 유혹해 사회를 어지럽힌 마녀는 없었다.

마녀사냥은 오늘날에도 무고한 누군가를 거세게 몰아가는 여론을 의미하는 단어로 정착했다. 옛날에는 주된 대상이 여성이었지만, 이제는 나이와 성별을 가리지 않는다.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행위로 대중이 얻는 건 무엇일까? 투철한 정의감으로 잘못의 진위를 파헤치기 위함일까?

결국, 마녀사냥이란 ‘사회악을 처단하는 정의롭고 도덕적인 나’에 취한 집단 광기 행위를 표현하는 단어라 할 수 있다. 혐오를 기반으로 쌓인 역사를 어떤 방향으로 틀어야 할지 고심할 시기이다.